페미니즘의 역사

최근 편집: 2023년 1월 5일 (목) 19:27

페미니즘의 역사, 여성주의의 역사, 또는 여성주의사 (영어: history of feminism)는 여성의 동등한 권리를 목표로 일어났던 운동이나 이데올로기에 대한 연대기적 서사를 의미한다.[1]

페미니즘의 기원: 프랑스 혁명기의 여성들

중세 신분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전환은 근대적 평등사상과 함께 계몽주의를 퍼트렸다. 그러나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는 천부인권이 계몽주의의 기조임에도 불구하고 평등의 대상은 남성에 한정되어 있었다. 이에 여성들은 남성과의 동등한 권리를 주장하며 천부인권 선언문을 다시 작성했다.

여성의 이익을 옹호하는 관념들과 행동들은 1789년 프랑스 혁명 이전에도 있었지만, 여성해방을 옹호하는 사상이자 그것을 실현하고자 하는 운동으로서 페미니즘은 프랑스 혁명 과정에서 등장했다. 여성의 역사는 프랑스 혁명을 기점으로 일대 전환기를 맞았다. 프랑스 혁명기에는 새로운 정치 기구 내에서 여성이 어떤 지위를 가져야 하는가라는 새로운 문제가 제기되었다. 하지만 결국 여성들은 정치 밖으로 쫓겨나고 시민사회에서 종속적 지위로 전락했다.

베르사유 행진

근대 초기 유럽에서는 여성들이 봉기에 가담하는 일은 일반적이었다. 파리 민중들이 일으킨 수차례의 봉기에서도 여성들은 맨 앞에 나섰다. 1789년 봉기, 1793년 5월 봉기, 1795년 봉기에서도 파리 여성들은 앞장서서 선동자 역할을 했다. 1789년 프랑스 혁명에서 계몽주의의 영향 아래 ‘인간의 권리’가 천명된다. 그러나 인권은 공적 영역에 참여할 권리가 있는 ‘능동적’ 시민과 능동적 시민에 의해 대표되며 그들이 제정한 법률에 복종해야 하는 ‘수동적’ 시민으로 분할되었다. 여성은 수동적 시민으로 규정되었다.

1789년 이후 프랑스 전역에서 생겨난 정치클럽은 대부분 여성을 배제했다. 하지만 여성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클럽활동을 함으로써 정치에 참여하고자 했다. 일부 여성들은 독자적으로 여성 정치클럽을 결성했다. 이들은 정기적인 모임을 열어 법안이나 신문기사를 놓고 토론하고, 지역 차원의 문제와 전국 차원의 정치 쟁점까지 논쟁했으며 자선사업에 참여했다. 파리의 두드러진 여성 클럽으로 '진리의 벗 애국자선협회'와 '혁명적 공화주의 여성시민클럽'이 있었다. 여성들은 조직의 해산 명령에도 전혀 개의치 않고 정치 활동을 계속하고 반정부 시위와 봉기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대부분의 프랑스 여성들은 유인물이나 공식 연설문을 통해 공식적으로 의견을 개진했다. 당시 프랑스 여성들의 팜플렛과 청원서들은 언제나 개혁에 대한 열망과 여성의 권리에 대한 요구와 제안들이 언명되어 있어 당시 여성들의 노력을 보여준다. 일부 여성들은 혁명을 위해 국민방위군에 들어가 투쟁할 권리를 요구했고 실제로 100명 가량의 여성들이 개별적으로 국민방위군에 입대했다. 지배계층의 여성들은 살롱에서 남성와 함께 정치를 논하며 정치 활동의 장으로 활용했다.

프랑스 여성들은 ‘자유로운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일반 이익을 위해 활동하고, 그럼으로써 국민 모두의 자유를 위한 싸움에 동참하는 여성이 되려 했다. 하지만 프랑스사회의 이상적인 여성상은 ‘공화국의 어머니’로, 여성의 임무는 아이들에게 자유와 평등에 대한 사랑을 심어 줌으로써 아이들을 훌륭한 공화국 시민으로 키우는 것이었다. 남성 혁명가들은 여성이 공적 영역에 참여함으로써 그들에게 운명지어진 가내 의무들, 아내와 어머니로서의 의무로부터 멀어질 것을 우려했다. 1793년 자코뱅은 여성클럽들을 폐쇄하고 여성들의 정치활동 일체를 금지했다. 1804년 나폴레옹 민법은 남편의 보호를 대가로 남편에 대한 아내의 복종을 의무화해 가족 내 가부장적 권력을 재확립했다.

프랑스 혁명을 주도하는 정파인 자코뱅의 정치이념은 직접민주주의혁명권을 강조하는 루소사회계약론이었다. 여성에 대한 루소의 입장은 철저한 反페미니즘이었기 때문에 자코뱅의 입장도 기본적으로 反페미니즘이었다. 최초의 페미니스트들은 자코뱅에게 반대하는 정치이념과 연대했다. 지롱드적인 입장은 테루아뉴 드 메리쿠르(프랑스),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영국)가 있었다. 지롱드적인 입장이면서 입헌군주제를 주장한 올랭프 드 구즈(프랑스)도 있었다.

당시 여성의 위치는 기민이라고는 하지만 정치적 권리를 갖지 못한 애매한 위치였다. 여성의 시민성이라는 쟁점을 둘러싼 논쟁이 벌어졌다.

콩도르세의 ⌈여성의 시민권을 위한 청원⌋(1790)

여성의 시민권을 위한 청원⌋(1790)을 쓴 콩도르세(Marquis de Condorcet)는 주로 여성의 법적 지위에 관한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여성도 남성처럼 이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인간의 권리에 기초한 새로운 사회 질서를 확립한 사람들마저 일말의 양심의 가책도 느끼지 않은 채 여성들의 요구를 묵살해 왔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하지만 남녀간의 불평등 문제를 일반적인 불평등의 특수한 사례로 취급해서 권리의 평등이라는 보편적인 문제가 해결되면 저절로 해결될 것으로 보았다.

구즈의 ⌈인간과 시민의 권리선언⌋(1791)

올랭프 드 구즈는 여성의 정치적 역할에 관심을 가졌다. ⌈인간과 시민의 권리선언⌋(1791)에서 남성에게 부여된 모든 권리와 자유를 여성에게도 적용 할 것을 요구했다. 더 나아가 남성뿐 아니라 여성도 포함하는 시민성에 대한 새로운 관념을 제출하고 시민성의 성별화된 성격을 규정했다.

울스턴크래프트의 ⌈여성의 권리 옹호⌋(1792)

자유주의 페미니즘의 기원이라고 여겨지는 사상가로, 『여성의 권리 옹호』(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the Woman, 1792)의 작가인 메리 울스턴크래프트가 있다. 여성의 동등한 정치적 권리와 법적 지위, 그리고 경제적 기회를 주장한 자유주의 페미니즘은 20세기 초·중반까지 지속된 여성참정권 운동의 기폭제가 된다. 이 자유주의 페미니즘은 여성과 남성이 동등한 정치적·경제적·법적 권리를 갖는다는 평등을 중요하게 제기했다.

⌈여성의 권리 옹호⌋(1792)를 쓴 영국의 메리 울스턴크래프트는 주로 여성의 사회적 존재 양식에 관해 관심을 가졌다. 정치투쟁과는 일정한 거리를 두면서 더 근본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주로 문화적인 차원에서 여성 억압 문제를 제기했다. 여성을 보호하고 여성의 행복을 보장한다는 명분으로 여성을 권리로부터 배제하는 것은 프랑스 혁명가들이 자신들이 공격했던 이전의 전제자들의 모델을 따르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여성도 남성처럼 이성을 소유하고 있으므로 자연권으로부터 여성을 배제하는 것은 불공정하다고 항의했다.

유토피아 사회주의 운동의 여성이론

유토피아 사회주의 운동에서 여성이론이 활발히 등장했다. 다음을 참고할 것 유토피아 사회주의

1세대 페미니즘

1세대 페미니즘이라는 용어는 급진적 페미니스트들이 자신들의 이론을 2세대 페미니즘이라고 부르며 이전 시기의 자유주의 페미니즘을 1세대 페미니즘이라고 부른 데서 비롯되었다.1세대 페미니즘은 자유주의 페미니즘과 상당 부분 겹치는 점이 많으며, 책에 따라 1세대 페미니즘/2세대 페미니즘이 아닌 자유주의 페미니즘/급진 페미니즘의 구분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다만 1세대 페미니즘은 참정권 운동을 중심으로 결집했던 시기의 페미니즘만을 가리키기에 1세대 페미니즘 안에 자유주의 페미니즘이 포함될 수는 있지만 자유주의 페미니즘이 곧 1세대 페미니즘인 것은 아니다. 사회주의자들은 1세대 페미니즘이라는 용어가 유토피아 사회주의의 페미니즘 담론을 배제시킨다고 비판하기도 한다.

투표권의 요구는 여성 시민권에 대한 의회주의적 해법이었다. 1세대 페미니즘의 투표권 요구는 자유주의에 사상적 기반을 두었지만 투표권 운동은 사회주의 운동과 결합했다. 사회주의 운동 내부에서 여성해방에 대한 관심이 구체화된 것은 독일 사민당베벨이 출판한 ⌈여성과 사회주의⌋를 통해서였으며, 푸리에의 영향도 있었다. 이념을 막론하고 투표권으로 단일화된 1세대 페미니즘의 목표는 운동의 동력이었다. 운동의 성과로 1차 세계전쟁 이후 대부분의 나라에서 투표권을 도입하게 된다.

하지만 투표권만을 단일한 목표로 삼고 여성의 참정권을 주장해 온 자유주의 페미니스트들은 1920년 참정권을 획득하게 되자 김이 빠진 듯이 페미니즘 운동을 한 숨 놓게 된다. 1920년부터 1960년까지는 별다른 페미니즘 운동이 없던 페미니즘의 암흑기였다. 한편 자유주의 페미니즘은 1세대 페미니즘 이후에도 계속 영향력을 가진다.

19세기 이후 계급모순과 사유재산, 생산수단 문제라는 마르크스주의의 이념을 받아들이면서 동시에 이로 인해 여성 억압이 나타났다고 보는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이 등장한다. 사회주의 페미니즘과는 달리,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은 여성 억압과 차별의 궁극적 원인을 계급 모순으로 본다.

존 스튜어트 밀, 「여성의 종속」 (1861)

존 스튜어트 밀은 「여성의 종속」 (1861)에서 자유주의 페미니즘의 사상적 토대를 제공했다. 밀에 따르면 여성의 ‘개인적 권리’에 대한 제한이 없어진다면, 여성의 시민적 생활이 가능해질 것이다. 여성에게 가해지는 제한 중 대표적인 것이 의회 내에서 여성의 배제이다. 하지만 밀의 ‘개인적 권리’ 개념은 여성의 독자적 권리라기보다는 남성의 권리를 여성에게 확대하려는 것이었다.

미국

1866년 수정헌법 14조는 해방된 남성 흑인노예의 투표권은 인정했지만 백인과 흑인을 불문하고 여성의 투표권은 부인했다. 여성들의 분노했고 엘리자베스 캐디 스탠튼(Elizabeth Cady Stanton)과 수전 앤서니(Susan Anthony)는 수정헌법 14조를 여성에 대한 배신으로 간주했다. 같이 투쟁하던 남성 흑인노예들이 여성참정권 배제에도 불구하고 1866년 수정헌법에 만족하는 것에 실망해 여성권을 위한 투쟁에서 모든 동맹세력을 분리할 것을 선언했다. 여성들은 노예제 폐지운동에서 탈퇴하여 독자적인 여성조직을 형성했다.

프랑스

오클레르는 남성의 병역의 의무와 비교되는 여성의 모성의 의무에 근거하여 여성투표권을 옹호했다. 여성권 청원을 하원에 제출했다. 투표를 거부당했을 때 납세 거부를 실천해야 한다고 보았다.

2세대 페미니즘

그 이후 성/성별 체계를 여성 억압의 근본 원인으로 사유하는 급진적 페미니즘이 등장한다. 이들은 제도상 결함이 여성에게 가장 큰 억압이 된다는 자유주의 페미니스트들과는 달리, 사회로 인해 내면화된 성별 규범과 가부장제가 여성을 억압하는 근본원인이자 가장 뿌리깊은 문제라고 지적한다. 다음을 참고할 것 제2물결 페미니즘

급진적 페미니즘은 이후에 생물학주의문화주의로 나뉘어진다. 생물학주의 레디컬 페미니즘임신/출산 등 여성의 생물학적 특징이 여성 억압을 만들어냈다는 주장으로, 생물학적 차이가 극복될 수 있을 때 완전한 평등을 이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비해 과격파 문화주의 페미니즘은 생물적 특징보다는 사회가 만들어낸 성규범과 가부장제가 여성 억압을 만들어내었고, 교육과 사회 인식 개선 등을 통해 평등을 이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문화주의 페미니즘은 가부장제라는 단어를 대중에 알리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문화주의 페미니즘은 자유지상주의 페미니즘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다음을 참고할 것 문화주의 페미니즘과 자유지상주의 페미니즘의 비교

70년대 중반 들어 2세대 페미니즘의 급진주의 경향이 퇴조하고 레즈비언 페미니즘문화주의 페미니즘이 성행했다. 일부 여성들은 전미여성 기구(NOW: National Organization for Women)로 대표되는 자유주의 페미니즘으로 이동했다. 페미니즘 내 급진주의의 퇴조로 인한 공백은 사회주의 페미니즘이 부활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1960년대에 미국에서 시작되어 세계로 확산된 페미니즘 운동을 가리킨다. 1세대 페미니즘이 여성참정권 운동을 중심으로 법률상 권리의 평등을 의제로 삼았던 것에 비해, 2세대 페미니즘은 직장과 가정에서의 평등, 재생산권, 가정폭력 등의 폭넓은 이슈를 다뤘다.

중심 사상

  • 시몬 드 보부아르, 「제 2의 성」 (1949) 상 하

시몬 드 보부아르는 프랑스의 실존주의 철학자이다. 보부아르의 가장 저명한 책 중 하나인 「제 2의 성」은 역사를 통틀어 여성에 대한 억압이 얼마나 극심하고 보편적이었는지를 폭로하며, 또한 이러한 억압이 어디에서 기원했는지를 탐구한다. 「제 2의 성」은 2세대 페미니즘 운동의 시작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라는 유명한 인용구는 후대 페미니스트들이 '섹스'와 '젠더'를 구분되는 개념으로 정립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 베티 프리단, 「여성의 신비」 (1963) 링크

베티 프리단이 시몬 드 보부아르의 「제 2의 성」의 영향을 받아 집필한 「여성의 신비」는 2세대 페미니즘을 촉발한 가장 중요한 저서 중 하나로 평가된다. 「여성의 신비」에서 프리단은 주류 미디어에서 여성을 묘사하는 방식을 비판하며, 여성의 영역을 가정으로 제한하는 것은 여성의 가능성을 제한하는 일이라고 주장하였다.

  • 캐럴 해니쉬, <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이다> (1969) 원문

급진적 페미니스트인 캐럴 해니쉬는 자신의 에세이 <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이다>에서 성, 외모, 낙태, 육아, 가사노동 등의 사안이 개인적인 영역이며 공적 논의의 영역이 아니라는 고정관념을 논박하였다. 이 에세이는 그 제목 그대로 2세대 페미니즘의 상징적인 구호가 되어, 여성에 대한 구조적인 억압과 착취가 우리 생활의 가장 깊숙한 부분까지 스며들어 있다는 것을 폭로하는 역할을 하였다.

  • 글로리아 스타이넘, <블랙 파워 다음은 여성의 해방> (1969) 원문

언론인이자 페미니스트 운동가인 글로리아 스타이넘은 자신의 칼럼 <블랙 파워 다음은 여성의 해방>에서 진보주의 운동진영 내부의 여성 차별을 고발하며, '여성의 해방이라는 의제는 자유를 위한 투쟁이라는 더 큰 맥락 속에서 추구되어야 한다'는 이데올로기를 비판하였다.

  • 슐라미스 파이어스톤, 「성의 변증법」 (1970) 링크

급진적 페미니즘 이론가인 슐라미스 파이어스톤은 임신과 출산의 생리학적 현상이 여성 억압의 근원이라고 보았다. 이에 따라 파이어스톤은 성 역할, 젠더, 아동기, 일부일처, 어머니의 돌봄, 가족 단위, 자본주의, 정부, 임신과 출산이 모두 제거된 사회를 상상하였다. 「성의 변증법」은 인공자궁에서 태아를 잉태함으로써 남성도 임신과 출산이 가능하도록 생식을 기계화하고 자손들을 공동으로 양육하면서 가능한 한 가장 이른 나이부터 성인과 다름없이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파이어스톤의 주장은 남성의 육아휴직, 기본소득, 차별금지법 등의 제도화에 영향을 미쳤다.

중심 의제

  • 운동의 성립 배경

2세대 페미니즘 운동은 몇몇 사회적 상황과 중요 사건을 토대로 하여 촉발되었다. 2차 세계대전의 종전 이후, 전쟁 중 다양한 분야에서 노동력으로 동원되었던 많은 여성들이 가정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전례없는 전후 경제 호황과 교외 지역의 성장, 베이비붐 등이 커다란 사회 흐름으로 대두되었다. 미디어는 가정을 이상적 공간으로 묘사하고 가정 속에서 여성의 역할을 전형화하였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시몬 드 보부아르의 저서 「제 2의 성」의 출간은 성별에 대한 통념에 문제를 제기하였다. 피임약의 개발과 보급은 여성이 예상치 못한 임신으로 인해 직업을 포기해야 하는 상황을 예방할 수 있게 해 주었다. 케네디 대통령은 여성 문제를 주요 의제로 추진하며 여성 지위에 대한 위원회를 수립하였다.

이러한 모순적 사회 분위기 속에서 많은 여성들이 법적 권리의 평등을 넘어선 생활 속 다양한 분야에서의 평등을 추구하게 되었고, 이러한 인식은 2세대 페미니즘 운동의 시작으로 이어졌다.

  • 직장에서의 평등

직장에서의 평등은 2세대 페미니즘 운동의 시작을 알린 의제였으며 2세대 페미니즘의 가장 중요한 의제 중 하나이기도 했다. 2세대 페미니스트들은 고용에서의 평등, 동일노동 동일임금, 임신으로 인한 해고 금지 등을 목표로 투쟁하였다.  

  • 여성에 대한 폭력

당시 미국에서는 가정폭력 및 성폭력에 대한 인식과 관련 법안이 미비하였다. 인식개선과 법제화를 위해 투쟁함으로써 부부 간 강간의 인정, 성폭력에 대한 정당방위의 인정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밤길 되찾기' 행진 등을 통해 강간 문화에 문제를 제기하였다.

  • 재생산권

낙태 문제를 여성의 자신의 신체에 대한 자기결정권의 문제로 보고, 이러한 자기결정권의 획득을 위해 투쟁하였다. 낙태 금지 법안이 위헌이라는 판결이 내려지는 등 이러한 투쟁은 상당한 승리를 거두었다.

  • 가정

미디어가 이상화하는 가정주부의 이미지, 가정에서 여성이 가사 노동을 전담해야 한다는 통념 등을 비판하였다.  

  • 성역할 고정관념/성적 대상화

2세대 페미니스트들은 남성에 의한 여성의 성적 대상화를 비판하였다. 특히 급진적 페미니스트들은 미스 아메리카와 같은 미인대회를 방해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연표

(*국가를 따로 명시하지 않은 경우 미국의 사건이다.)


1961

'여성의 지위에 대한 대통령령 위원회'의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이 보고서에서는 미국인의 삶의 모든 측면에 여성에 대한 차별이 존재한다는 것을 밝히고, 평등을 촉진하기 위한 계획들을 제시하였다. 이 계획들 중에는 동등한 고용, 유급 출산휴가, 저렴한 비용의 보육시설 등이 포함되었다.

1963

처음 발의된지 20년 만에 동일임금법안이 통과되었다. 동일임금법안은 동일 노동을 하는 남녀에게 동일 임금을 지급할 것을 규정하였다. 그러나 이때의 동일임금법안의 대상은 기업 임원, 외판원, 전문직을 포함하지 않았다.

베티 프리단의 「여성의 신비」가 출간되었다.

Alice S. Rossi가 미국예술과학아카데미에서 "양성의 평등: 무례한 제안"이라는 제목의 발표를 하였다.

1964

'1964년 인권법안'이 통과되었다. 해당 법안의 제7조에서 민간 고용주, 직업중개업체, 조합 등에서 성별, 인종 등에 의거한 고용상의 차별을 금지함을 명시하였다.

동등고용기회 위원회가 설립되었다. 설립 후 최초 5년간 5만건의 성차별 민원이 접수되었다.

미국: 캘리포니아에 세계 최초의 현대적 여성 보호소인 헤이븐 하우스가 설립되었다.

1965

Casey Hayden과 Mary King가 「성과 카스트에 대한 비망록」을 집필하여 인권운동단체인 학생비폭력조정위원회(SNCC) 내부의 성차별을 고발하였다.

'그리스월드 대 코네티컷주 재판'에서 결혼한 부부가 피임약을 사용하는 것을 금지한 법안이 존재하는 마지막 주인 코네티컷의 해당 법안이 폐지되었다.

'위크스 대 서던 벨 재판'에서 여성 노동 규제에 대항하여 승소함으로써 남성만 종사하던 많은 직업의 문이 여성에게도 열리게 되었다.

민주사회를위한학생모임(SDS) 회담에서 최초로 '여성 문제'가 제기되었다.

동등고용기회 위원회 위원들이 1964년 인권법안 조항 집행관으로 임명되었다. 위원들 중 유일한 여성인 Aileen Hernandez는 훗날 전미여성기구(NOW) 회장이 되었다.

Pauline M. Leet가 프랭클린 앤 마셜 대학 학생-교직원 모임에서 섹시즘(성차별주의)라는 단어를 처음으로 사용하였다고 추정된다.

1966

베티 프리단을 위시한 28명의 여성이 전미여성기구(NOW)를 창립하였다. 전미여성기구는 오늘날 미국에서 가장 큰 여성주의 단체 중 하나이다.

Barbara Jordan이 텍사스주 상원의원에 당선되었다. Jordan은 텍사스주 최초의 흑인 여성 국회의원이었다.

여성 비행기 승무원들이 1964년 인권법안 제 7조에 의거하여 결혼 또는 임신 시나 35세가 되었을 시 사직을 강요받는 데 대한 항의를 제출하였다.

1967

영국: 특정 상황에서의 의료 감독 하에서 낙태를 허용하는 법안이 통과되었다.

Valerie Solanas가 「SCUM 선언서」를 출간하였다.

존슨 대통령이 행정명령 11375호를 내려 정부 기관 및 정부 하청업자들이 여성과 인종적 소수자들이 백인 남성과 같은 교육과 고용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도록 하였다.

타임지의 표지를 피임약이 장식하였다.

전미여성기구(NOW)가 동등고용기회 위원회에 성별을 구별하는 채용공고를 규제할 것을 청원하였다. 또한 여성권리장전을 채택하였다.

민주당 상원의원 Eugene McCarthy가 동등 기회 헌법 수정안을 발의하였다.

슐라미스 파이어스톤과 팸 앨런이 뉴욕급진여성모임(NYRW)을 창설하였다.

Anne Koedt이 '의식고양 모임'을 조직하기 시작하였다.

전미복지권기구(NWRO)가 창설되었다.

1968

Robin Morgan이 뉴욕급진여성모임(NYRW)의 회원들을 이끌고 성차별적이고 인종차별적이라는 이유로 미스 아메리카 선발대회에 항의하였다.

미국 전역의 여성주의 단체들의 첫 회합이 일리노이주 시카고 교외 Lake Villa에서 열렸다.

Coretta Scott King이 남편의 사후 아프리카계미국인 인권운동 지도자 자리를 이어받아 운동의 범위를 여성 인권까지 포함하도록 확대하였다.

동등고용기회위원회(EEOC)가 성차별에 대한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새로운 가이드라인은 구인광고에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는 것이 인권법안 7조에 위배된다는 것을 명시하였다.

Jeannette Rankin이 이끈 워싱턴 배트남전 반대 시위에서 뉴욕의 페미니스트들이 '전통적인 여성상'을 상징하는 마네킹을 땅에 묻었다.

"여성 동지애는 강하다(Sisterhood is powerful)"라는 구호가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뉴욕급진여성모임(NYRW)가 페미니즘 이론 저널인 Notes from the First Year를 창간하였다.

전미여성기구(NOW)가 "장미 대신 권리를"이라는 구호와 함께 어머니날을 축하하였다.

보스턴대 신학 교수 Mary Daly가 가톨릭 교회의 여성에 대한 관점과 대우를 비판하는 <교회와 제 2의 성>이라는 글을 발표하였다.

영국: Dagenham의 포드 공장의 850명의 재봉공이 성차별 반대와 동등한 임금을 요구하며 파업에 들어갔다. 이 파업은 영국에서 양성간 임금에 대한 차별을 금지한 첫 법안인 1970년 동등임금법안의 도입으로 이어졌다.

Caroline Bird의 On Being Female이라는 글에서 섹시즘(성차별주의)라는 단어가 최초로 출판물에서 사용되었다.

1969

급진적 페미니스트 그룹인 '레드스타킹'이 조직되었다.

뉴욕 주 낙태 금지 법안 관련 재판에서 레드스타킹 회원들이 배심원단이 14명의 남성과 1명의 수녀로 조직된 것에 항의하였다. 레드스타킹은 낙태 금지 법안을 수정만 할 것이 아니라 아예 폐지할 것을 주장하였다.

전미중절권획득운동연맹(NARAL)이 설립되었다.

캘리포니아에서 '무귀책사유' 이혼이 허용되었다. 해당 법안의 통과로 캘리포니아는 미국에서 최초로 부부가 상호 합의에 의해 이혼하는 것이 가능한 주가 되었다.

1970

케이트 밀레트가 「성 정치학」을 출간하였다.

호주: Germaine Greer가 「거세된 여자」를 출간하였다.

슐츠 대 휘튼 유리 주식회사 재판에서 고용주들이 여성에게 남성보다 임금을 적게 지불하기 위해 같은 일에 다른 직무명을 붙이는 것이 위법이라고 판결하였다.

Robin Morgan이 편집한 「여성 동지애는 강하다: 여성해방운동가들의 글 모음집」이 출간되었다.

여성의 건강에 대한 소책자 「우리의 몸」이 출간되었다.

Ladies' Home Journal에서 '여성 잡지'라는 분류는 성차별적이라는 연좌 농성을 하였다.

북미원주민여성연합(NAIWA)가 설립되었다.

멕시코계 미국인 페미니스트들이 전미멕시코계여성위원회(CFMN)을 설립하였다.

이탈리아: '여성 반란(Rivolta Femminile)'가 형성되어 선언서를 발표하였다.

Toni Cade Bambara가 「흑인 여성」을 출간하였다.

여성참정권 획득 기념 50주년을 맞이하여 미국 전역에서 수만 명의 여성들이 베티 프리단이 조직한 '평등을 위한 파업'에 참여하였다.

페미니스트 운동가인 Bella Abzug가 미국 하원의원으로 당선되며 "여성이 속한 곳은 국회(House)다"라고 선언하였다. (*'여성이 속한 곳은 가정(house)이다'를 풍자한 표현)

닉슨 대통령이 연방 예산으로 보육 시설 설립을 지원하는 '포괄적 아동발달 법안'에 거부권을 행사하였다.

미국노동총연맹–산별노조협의회(AFL-CIO) 모임이 열려 조합 내 여성들의 지위에 관해 토론하였다.

미국루터교회가 여성이 성직에 임명되는 것을 허용하였다.

공공보건서비스 법안이 통과되었다. 해당 법안의 제10조는 연방 단위의 가족계획 관련 서비스 제공을 명시하는 유일한 법안이다.

영국: 최초의 전국 단위 여성해방운동 집회가 러스킨 대학에서 열렸다.

영국: 1970년 동일임금법안이 통과되었다.

영국: 미스 월드 선발대회가 밀가루와 물총을 들고 대회장에 난입한 페미니스트들에 의해 방해를 받았다.

1971

스위스: 전국 단위의 선거에서 여성에게 투표권이 주어졌다.

New York Magazine에 Jane O'Reilly의 기사 '가정주부의 진실의 순간'이 실렸다.

예술 잡지 ARTnews에 Linda Nochlin의 에세이 '왜 위대한 여성 예술가가 없는가?'가 실렸다. 이 에세이는 페미니즘 예술 비평의 지평을 열어준 글로 평가된다.

영국: 첫 여성해방주의자 행진이 런던에서 열렸다.

리드 대 리드 재판에서 사망한 자녀의 부동산에 대해 아버지에게 어머니보다 우선권을 주는 아이다호 주법이 위헌이라고 판결되었다.

호주: Helen Reddy의 노래 'I Am Woman'이 발표되었다. 이 노래는 여성해방운동의 주제가 중 하나가 되었다.

8월 26일이 '여성 평등의 날'로 지정되었다.

1972

영국: 영국의 첫 여성주의 잡지 '여분의 갈비뼈(Spare Rib)'가 창간되었다.

이집트: Nawal El-Saadawi가 「여성과 성」을 출간하였다.

글로리아 스타이넘과 Letty Cottin Pogrebin이 페미니즘 잡지 '미즈(Ms.)'를 창간하였다.

Eisenstadt 대 Baird 재판에서 결혼하지 않은 연인들에게 피임약을 복용할 권리가 있다고 판결하였다.

1972년 교육 수정법안이 통과되었다. 해당 법안 제9조에서 어떠한 연방 자금으로 운영되는 교육 프로그램이나 활동도 성별에 근거하여 학생을 차별해서는 안된다고 명시하였다. 또한 동일임금 법안이 기업 임원, 외판원, 전문직을 포함하도록 개정되었다.

전미여성정치연맹(NWPC)가 설립되었다.

글로리아 스타이넘이 '미국의 여성들에게'라는 연설을 하였다.

뉴욕급진페미니스트모임(NYRF)가 강간에 대한 사법제도의 문제점을 비판하는 모임과 회담들을 열었다.

Carol Downer과 Lorraine Rothman이 로스엔젤레스에 페미니스트 여성 건강 센터를 열었다.

Margo St. James가 샌프란시스코에서 최초의 성노동자 모임인 COYOTE를 조직하였다.

1973

영국: 런던 증권 거래소에 여성의 입장이 허용되었다.

여성 테니스선수 Billie Jean King이 '성대결' 테니스 매치에서 한때 남자 세계챔피언이었던 Bobby Riggs에게 승리하였다. 이 시합은 여성과 남성에 대한 많은 사람들의 생각에 영향을 미쳤다.

Roe 대 Wade 재판에서 낙태를 금지하는 법안이 위헌이라고 판결하였다. 단 각 주에서 임신 3개월 이후의 낙태를 제한하는 주법을 도입하는 것은 허용되었다.

피츠버그 신문사 대 피츠버그 인적자원위원회 재판에서 성을 구분하는 구인공고는 위법이라는 판례가 재확인되었다.

AT&T사에서 불평등한 임금 지급을 중단하고 여성 근로자들에게 소급분을 지급하기로 동의하였다.

전미흑인페미니스트기구(NBFO)가 창설되었다.

MIT 학생회장 Mary Rowe의 성문제를 다룬 보고서 '토성의 고리'에서 '성희롱(sexual harassment)'라는 단어가 처음 사용되었다.

1974

남학생만 입학 가능하던 옥스포드대의 다섯 개 단과대가 여학생의 입학을 허용하였다.

영국: 피임약이 무료로 제공되게 되었다.

영국: Carmen Callil이 페미니스트 출판사인 Virago Press를 설립하였다.

영국: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소들간의 협력을 위해 여성구제연합(WAF)가 설립되었다.

동등신용기회 법안이 통과되었다. 이 법안은 시중 은행이 채무자를 성별, 인종, 결혼 여부, 종교, 출신 국가, 나이 등에 따라 차별하는 것을 금지하였다.

Corning Glass Works 대 Brennan 재판에서 고용주가 '관행적 급여 수준'을 내세워 여성에게 더 적은 임금을 지불하는 것을 정당화할 수 없으며, '여성은 남성이 받는 것보다 더 적은 임금을 받고도 일할 의사가 있는 반면, 남성은 그 임금을 받고는 일하려 하지 않기 때문에' 남성에게 더 많은 임금을 지불하는 것은 용납되지 않는다고 판결하였다.

영부인 베티 포드가 임신중절 합법화에 찬성하였다. 중도파 공화당원이었던 포드를 많은 보수파 공화당원들이 'No Lady'라고 부르며 비난하였다.

전미멕시코계미국여성연합(MAWNA)이 설립되었다.

노동조합여성연합(CLUW)이 설립되었다.

1974년 여성동등교육법안이 제정되었다. 이 법안은 여성들을 위한 동등한 교육기회를 증진하고 교육기관들에 지원을 제공하였다.

Dell Williams가 페미니스트 여성을 위한 미국 최초의 섹스토이 회사인 '이브의 정원'을 설립하였다.

1975

영국: 1975년 성차별 법안이 통과되었다. 이 법안은 교육, 고용, 광고에서 여성을 차별하는 것을 불법으로 규정하였다.

영국: 1975년 고용보호 법안이 통과되었다. 이 법안은 법정 출산휴가를 도입하였으며 임신을 이유로 여성을 해고하는 것을 불법으로 규정하였다.

테일러 대 루이지애나주 재판에서 여성을 배심원 후보 목록에서 제외하는 것이 위헌이라고 판결하였다.

UN: 첫 국제 여성 회의가 멕시코시티에서 개최되었다.

연방단위 공무원의 급여에 자녀수당이 포함되었다.

전미여성기구(NOW)의 고령여성프로젝트팀 대표인 Tish Sommers가 'displaced homemaker'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이는 가정주부로 일하다 이혼, 사별, 남편의 실직 등의 이유로 경제력을 잃은 여성을 뜻하는 용어이다.

수전 브라운밀러가 성폭력에 관한 저술인 「의지에 반하여」를 출간하였다. 브라운밀러는 이 책으로 타임지의 '올해의 여성'에 선정되었다.

전미여성기구(NOW)가 "Alice Doesn't"의 날을 만들어 전국의 여성들에게 하루동안 일을 하지 않을 것을 권하였다.

수감 중 간수에게 강간을 당한 Joan Little이 강간범을 살해한 데 대해 무죄판결을 받았다. 이 사건은 강간에 대한 자기방어 살인의 중요 판례가 되었다.

첫 여성전용 은행이 뉴욕시에 설립되었다.

여성이 사관학교에 입학할 수 있게 되었다.

타임지가 페미니즘 운동의 약진을 기념하여 '올해의 인물'을 '미국 여성들'로 선정하였다.

영국: 성차별과 동일임금의 관리감독을 위해 동등기회위원회가 발효되었다.

필라델피아에서 첫 '밤길 되찾기' 행진이 열렸다. 이 행진은 미생물학자 Susan Alexander Speeth가 혼자 귀가하던 중 칼에 찔려 사망한 사건으로 인해 촉발되었다.

아이슬란드 : 1975년 10월 24일 여성총파업이 있었다. 아이슬란드 여성 90%가 참여했다.

1976

영국: 가정폭력 법안이 도입되었다. 이 법안의 발효로 여성들은 폭력적인 남편 또는 애인에게 접근금지명령을 요청할 수 있게 되었다.

네브라스카주에서 첫 부부강간 관련 법안이 도입되었다. 이 법안으로 인해 남편이 아내를 강간하는 것이 불법으로 규정되었다.

텍사스 첫 여성 국회의원 Barbara Charline Jordan이 흑인 최초이자 여성 최초로 민주당 전당대회 기조연설을 하였다.

범아시아계여성기구(OPAAW)가 설립되었다.

벨기에: '여성대상폭력에 대한 국제재판' 행사에서 '밤길 되찾기' 행진이 열렸다.

위스콘신주에서 미국 여성참정권 운동 기념일인 '수전 B. 앤서니의 날'이 제정되었다.

1977

캐나다: 인권 법안이 통과되었다. 해당 법안은 성별과 성적지향에 근거한 차별을 금지하고 동일노동에 동일임금을 지급할 것을 규정하였다.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전국 여성 회의가 열려 2만여명의 여성이 참석하였다.

전미쿠바계미국여성연합(NACAW)가 설립되었다.

미 공군 첫 여성 조종사들이 사관학교를 졸업하였다.

UN: 유엔 총회에서 국제 여성의 날이 연례행사로 정식으로 지정되었다.

영국: 첫 강간위기대응센터가 런던에 문을 열었다.

미국원주민 여성 Yvonne Wanrow가 자신의 자녀를 보호하기 위해 아동성추행범을 권총으로 살해한 사건에 대한 워싱턴주 대법원의 재판에서 '오랜 성차별의 역사로부터 영향을 받은 Wanrow의 시각과 입장'을 고려하여야 한다고 판결하였다. 이 판결은 여성이 재판과정에서 직면하는 편견과 어려움을 고려한 첫 판례가 되었다.

1978

오레건주 대 라이드아웃 재판의 판례를 계기로 많은 주에서 부부강간 및 동거인강간의 기소가 가능해졌다.

임신차별 법안이 통과되었다. 해당 법안은 고용주가 임신 사실이나 임신 가능성을 이유로 해고하거나 고용 또는 승진을 거부할 수 없다고 명시하였다.

1979

영국: 마거릿 대처가 첫 여성 총리가 되었다.

페미니스트 미술가 Judy Chicago의 작품 '저녁식사 파티'가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박물관에 전시되었다.

Duren 대 미주리주 재판에서 여성 배심원 비율이 15%밖에 되지 않는 것은 헌법에 명시한 배심원의 다양성 규정에 어긋난다고 판결하였다.

1980년대

2세대 페미니즘 운동이 비서구권 국가로 전파되었으나, 미국의 2세대 페미니즘 운동은 포르노와 성매매 등의 이슈에 대한 페미니즘 내부 논쟁인 '페미니스트 성 대립'과 함께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비판/한계

2세대 페미니즘 운동에 대한 가장 중요한 비판은 이 운동이 지나치게 백인 중산층 이성애자 여성 중심으로 전개되었다는 데 있다. 여성 내부에 존재하는 인종간, 계층간, 성적 지향간 차이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또한 베티 프리단과 전미여성기구(NOW)를 중심으로 하는 2차세계대전 발발 이전 출생한 기성세대 페미니스트들의 온건적 노선과, 슐라미스 파이어스톤과 캐럴 해니쉬, 뉴욕급진여성모임(NYRW)등을 위시한 젊은 페미니스트들의 급진적 노선 간의 갈등도 2세대 페미니즘의 문제 중 하나로 지적된다. 이러한 2세대 페미니즘의 한계에 대한 반성과 비판으로부터 여성 내부의 차이를 주목하고 긍정하며 나아가 여성 범주 자체를 해체하는 3세대 페미니즘이 부상하게 된다.

사회주의 페미니즘

80년대의 사회주의 페미니즘은 여성의 성적 자기결정권 옹호, 여성에게 성적 위험 및 경제적 의존을 낳는 사회경제적 조건 변경시킬 필요성 제기 등의 이론을 폈다. 다음을 참고할 것 사회주의적 페미니즘

3세대 페미니즘

1960년대 이후 정신분석학, 해체주의, 탈구조주의, 탈식민주의 이론이 제공하는 통찰을 페미니즘의 목적에 맞게 비판적으로 전유하기 시작 하면서 평등보다는 차이를 말하는 페미니즘의 흐름이 생겨난다.

이는 흑인 페미니즘포스트모던 페미니즘으로 이어진다. 엘리자베스 그로츠(Elizabeth Grosz)는 보브와르, 베티 프리단, 밀렛, 파이어스톤 등과 같은 이른바 평등주의적 페미니스트들이 여성의 종속적 지위는 생물학적 본성이 아니라 문화적 구성의 결과이며, 그렇기 때문에 변화될 수 있다는 견해를 전파시켰다고 본다. 그로츠는 이들이 만일 남성과 여성이 다시 사회화될 수 있다면 평등하게 될 수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몇 가지 실수를 저질렀다고 보는데, 평등주의 페미니스트들은 ‘남성의 업적과 가치기준들’을 여성이 열망해야하는 규범으로 삼았으며, 여성들의 특별한 욕구나 이해관계―여성의 몸과 성욕―을 무시했다는 것이다. 이와 달리 차이의 페미니스트들(포스트모던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의 육체들, 생식의 리듬들, 성적기관들을 찬양한다. 그들은 여성들은 남성들과 똑같아지는 권리를 원하는 것이 아니라 여성들은 남성들처럼 자유로워지는 권리를 원한다고 말한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이 지금까지 받아들여져 왔던 학문적 중립성과 합리성에 대해 비판해온 것처럼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은 근대성에 내재해 있는 성별화된 문화적 지적 가정들을 지적함과 동시에 페미니즘 자체의 보편화하는 근본주의적 입장들에 대해 도전한다.

같이 보기

각국 여성주의의 역사(ㄱㄴㄷ 순)

출처

  • (사)한국여성연구소.새 여성학 강의(개정판).동녘
  • 캐럴 페이트만, 메어리 린든 쉐인리.페미니즘 정치 사상사
  • https://en.wikipedia.org/wiki/History_of_feminism#cite_note-Walters20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