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 영화이론

최근 편집: 2023년 8월 27일 (일) 20:01

페미니즘 영화이론(Feminism Film Theory)페미니즘적으로 영화를 분석하거나 비평하는 접근 방식을 뜻한다. 다른 형태의 영화 비평, 분석과 달리, 페미니즘 영화이론은 영화에서 여성 서사의 구성과 여성이 영화에서 어떻게 표현되는 지에 중점을 둔다.

페미니즘 영화이론은 제2물결 페미니즘의 영향을 받아 1970년대에 미국에서 일어난 페미니즘 운동과 페미니즘 이론에서 파생되었으며, 페미니즘과 정신분석학, 영화이론을 배경으로 하여 탄생되었다.

역사

페미니즘 영화이론은 1970년대 초 미국에서 처음으로 탄생하였다. 페미니즘 운동이 중요 정치 세력으로 등장한 1970년대에 영화이론가인 로라 멀비는 선구적인 에세이 <시각적 쾌락과 서사 영화>(1975)에서 ‘볼거리spectacle’로서의 여성과 이를 지배하는 ‘남성적 시선’에 대하여 비판했다. 로라 멀비는 주류 영화가 남성의 판타지와 쾌락을 제공하며 남성의 응시gaze를 위해 구성된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여성 이미지에 대한 남성 관객의 관음증적이고 페티시즘적인 반응을 규명하며 페미니즘 용어를 사용해 관객과 스크린 사이의 상호작용을 다룬 최초의 시도였다.

멀비에서 시작된 논쟁에 뒤를 이어, 카자 실버만, 테레사 드 로레티스, 바바라 크리드는 1980,90년대 페미니즘 영화이론에 중요한 기여를 한 이론가들이다.

미국의 영화이론가인 카자 실버만의 저작은 프랑스 정신분석학자인 자크 라캉의 사고를 발전시킨 그녀만의 페미니스트적 전망을 담고 있었다. 그녀의 저서인 <주변부의 남성 주체>(1992)에서는 고전적으로 ‘여성적’ 특성으로 여겨진 남성의 마조히즘과 남성 주체성의 또 다른 형식에 대해 다루었다. 이를 통해 실버만은 남성성 자체가 재현적 범주가 되는 양상을 보여주면서, 소위 남성적 ‘표준’이 가진 이데올로기적 취약성을 폭로했다.

테레사 드 로레티스는 정신분석학이 여성의 다양한 체험을 다룰 수 없다고 보고, 정신분석학으로 채워진 페미니스트 이론 및 젠더 테크놀로지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한 미셸 푸코를 넘어서는 대안적인 젠더 테크놀로지 이론을 모색했다. 또한 로레티스는 레즈비언 욕망을 다루면서 로라 멀비에서 시작된 젠더와 섹슈얼리티, 응시와 시각적 쾌락에 대한 논쟁을 발전시켰다.

바바라 크리드프로이트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정신분석학적인 틀 위에서 페미니즘 영화이론을 발전시켰다. 크리드는 특히 ‘괴물스러운 여성성’이 넘쳐나는 호러 영화 장르를 분석하여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대한 매우 영향력있는 분석을 보여주었다.[1]

같이 보기

위키백과 “Feminist Film Theory

  1. 쵸두리, 쇼히니 (2012년 10월 15일). 《페미니즘 영화이론》. 도서출판 엘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