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위키독/아름드리/범용직렬버스

최근 편집: 2023년 1월 6일 (금) 21:13

1. 개요

USB(Universal Serial Bus)는 직렬 버스의 일종으로, 범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설계된 버스이다. 컴퓨터 본체와 주변기기를 서로 연결하는 데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컴퓨터 이외에도 게임 콘솔이나 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하고 있다. USB의 대안으로 FireWire, ThunderBolt 등의 다양한 버스들이 있으나 고비용의 라이센스 비용 등의 이유로 비교적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다.

 

2. 버전

USB의 2016년 8월 기준 최신 버전은 3.1이며, 이전 버전으로는 1.0, 1.1, 2.0, 3.0 버전이 있다. 버전에 따라 보통은 대역폭의 향상 등이 있었다. 각 버전은 하위 호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USB 3.0 포트에 USB 2.0 기기를 꽂아도 인식되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단, 대역폭 속도 등은 낮은 버전에 맞춰진다.

 

3. 포트의 종류

USB 포트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3.1. USB Type-A

가장 많이 쓰이는 USB 포트이다. 겉모양은 직육면체 모양이라 위아래 구분이 없어 보이지만 안쪽에 보면 한쪽에 회로가 있다.

3.2. USB Type-B

프린터 등에서 많이 쓰였던 USB 포트이다. 현재도 이 포트를 달고 나오는 기기들이 종종 있다.

3.3. USB Mini Type-A

일부 캠코더 등에서 많이 쓰였던 USB 포트이다.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3.4. USB Mini Type-B

외장하드디스크, 타블렛 등에서 많이 쓰였던 USB 포트이다.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3.5. USB Micro Type-A

잘 사용되지 않는 포트이다.

3.6. USB Micro Type-B

스마트폰, 타블렛, 플레이스테이션4 무선 컨트롤러, 외장배터리 등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USB 포트이다. 점차 USB Type-C로 옮겨가고 있다.

3.7. USB 3.0 Micro Type-B

무선인터넷 카드, 외장하드디스크 등에서 쓰이고 있는 USB 포트이다. 점차 USB Type-C로 옮겨가고 있다.

3.8. USB Type-C

위아래 구분이 없는 포트이면서 작은 모양을 가지기 때문에 각광받고 있다. 점차적으로 모든 USB 포트 타입을 대체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똑같은 모양의 포트를 ThunderBolt 3.0에서도 사용할 예정이다. 일부 기사 등에서 USB 3.1의 포트를 Type-C라고 부르는 경우도 종종 있으나 USB 2.0에서도 USB Type-C를 사용할 수 있으며, 2015년에 나온 넥서스 기기들이 그 증거이다.

 

4. 전송

USB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버스 규격이며, 버전마다의 특징도 대부분 데이터 전송 대역폭에 관한 것들이다. 다만 USB로는 전력도 전송이 가능하며, 이 전력을 가지고 대부분의 장치가 움직인다. 특히 스마트폰 등의 장치는 USB 버스를 타고 들어오는 전력으로 충전하기도 한다.

 

  • USB 2.0은 480Mbps(초당 60MB)의 대역폭을 가진다.
  • USB 3.0은 5.0Gbps(초당 625MB)의 대역폭을 가진다. 버스 전류가 2.0의 500mA에서 900mA로 늘어난다.
  • USB 3.1은 10.0Gbps(초당 1.25GB)의 대역폭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