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위키독 보존 프로젝트/아름드리 위키/레진코믹스 불공정행위 사태

최근 편집: 2022년 12월 30일 (금) 21:43

출처: 레진 불공정 규탄연대 (유튜브, 2018.02.21.)

우리 협회 회원 모두는 협회가 그동안 싸워온 투쟁의 역사를 기억한다. 우리는 작가의 입에 재갈을 물리고, 그림 그리는 손을 꺾는 자들과 끝까지 싸울 것이다. ―(사)한국만화가협회·한국웹툰작가협회, 2018년 1월 30일[1]

개요

웹툰플랫폼 '레진코믹스'의 불공정행위 때문에 논란이 된 내용들을 정리한 문서이다.

논란

MG 논란

MG(Minimum Guarantee) 제도(이하 'MG')는 2015년 레진코믹스 측이 작가들에게 일방적으로 통보, 시행했다. 이후 MG는 다른 웹툰 업체에도 퍼지면서 비슷하게 시행되거나 사측에 유리하게 변형되어 시행되는 등 사실상 업계 표준으로 자리잡았다.

레진코믹스는 MG를 '저수익 작가에게도 최소 월 200만원을 보장하는 제도'라고 홍보했다. 일종의 복지제도인 것처럼 홍보한 것이다. [2]

그러나 작가들은 유료수익 배분이 레진 7:작가 3이라고 말한다. MG는 이 7:3 기준으로 계산한다. 레진코믹스의 '코인'은 약 140~180원이며 이중 작가에게는 50원이 배분된다('코인당 50원'이라는 기준도 일방적으로 내려갔다. 레진코믹스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주장하지만 신인작가에게는 코인당 50원이 적용된다는 것을 인정했다.[3]) 이 50원으로 월 MG 200만 원을 채우지 못하면 '저수익 작가'로 분류되는 것이다.

총 유료매출이 559만 원이라고 가정해보자. 7:3 비율에 따라 작가는 167.7만 원의 수익만 낸 것이 된다. MG 200만 원은 채우지 못했다. 레진코믹스는 167.7만 원이 아니라 "최소 보장금액" MG 200만 원을 작가에게 준다. 나머지 359만 원은 레진코믹스의 몫으로 돌아간다.

이에 대해 항의하거나 의문을 제기한 작가들에게 레진코믹스는 블랙리스트 등으로 보복했다. 1차 블랙리스트 문건 폭로 단락 참조.

웹소설 무단 종료 논란

2015년 9월 7일, 레진코믹스는 웹소설 서비스를 개시했다.[4] 2017년 8월 17일에는 제이에스픽쳐스와 업무 제휴를 위한 협약(MOU)을 맺고 웹툰·웹소설 지적재산권(IP)을 활용한 드라마 제작에 나서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5] [6]2017년 3월에는 '제2회 웹소설 only BL 공모전'을 열고 3월 29일부터 5월 31일까지 접수를 받아 6월 22일 수상작을 발표했다. 대상 1천만 원, 최우수상 2명에게 각각 5백만 원, 우수상 3명에게 각각 250만 원 등 총상금 2750만원을 내건 공모전이었다.[7]

그런데 2017년 8월 말, 웹소설 서비스가 종료될 거라는 소문이 돌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는 곧 사실로 밝혀졌다. 8월 24일 공지에서 레진코믹스는 수익성 악화를 서비스 종료 이유로 들었다. 작가들은 크게 반발했다. 서비스 종료 공지 전까지 두 달간 신작 33개가 투입됐고 하루 전인 23일에도 신작이 연재됐기 때문이다. [8]

웹소설 작가들은 이후 레진코믹스에게 간담회를 열 것을 요구했으나, 2018년 1월 13일 현재까지도 레진코믹스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또한 레진코믹스는 피해 작가를 대상으로 사실상의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법적대응까지 고려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2차 블랙리스트 문건 폭로 단락 참조.

1년여가 지난 2018년 9월이 되어서야 레진코믹스 측은 웹소설 일방 종료에 대한 설명간담회를 열겠다고 공지했다. 그러나 간담회 시간을 30분만 잡은데다 간담회 장소가 스터디 룸으로 주로 사용하는 공간 대여 사업장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되었다. [9]

2018년 10월 19일, 레진엔터테인먼트 측은 공식 네이버 블로그에 웹소설 작가들에게 사과문을 올렸다. 사태 발생 후 약 1년이 지난 뒤였다.

직원 내부계정 대여·세이브 연재분 유출 및 여론 조작 정황

2017년 9월 10일, 트위터 아이디 @DAMIssHong가 레진코믹스 연재만화 <그다이>의 미공개 연재분을 트위터에 공개했다. 9월 14일 용성 작가는 해당 트윗을 발견, RT하고 '내일 올라온 유료분인데 업로드 일 해주시는 분이신가..?'라는 의문을 제기했다.[10] @DAMIssHong은 해당 유출분을 공유한 것에 대해 레진코믹스 직원에게 내부계정을 대여받았다고 주장했다.[11]

9월 20일, 레진코믹스가 회색 작가의 휴재 관련 폭로에 대해 부정하는 공지사항을 올렸다.[12] 이 트윗에 @DAMIssHong은 "작가가 이상한데 아무리 봐도... 이건 카바쳐주지 말자 진짜"라는 멘션을 달았다. [13] 계속하여 논란이 되자 해당 계정은 삭제됐다.

'지각비' 논란

레진코믹스는 2015년 8월부터 이른바 '지각비' 제도를 도입했다. 마감을 어긴 작가에게 월 수익의 최대 9%까지 패널티를 지우는 지체상금을 말한다. 레진코믹스는 '마감을 지키지 않는 작가들 때문에 독자에게 신뢰를 잃을 수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도입했다'라고 주장한다. 레진코믹스 '지각비'는 1회는 면제, 2회 때는 월 수익의 3%, 6%, 9%를 가져간다. 레바 등 일부 작가의 주장[14]과 달리 이마저도 작가들이 주장하여 완화된 조건이며[15] [16][17]작가에 따라 지각비를 다르게 책정하고 있었다. [18]

작가들과 한국만화가협회·한국웹툰작가협회는 이를 불공정계약이라고 주장한다.[19][20]  레진코믹스의 마감기일은 실제 업데이트보다 2일 전이며 단 1~2분이라도 늦으면 지각으로 처리된다. 이 2일 사이에 레진코믹스가 원고를 검수하거나 수정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레진코믹스 측이 원고를 잘못 올리거나 아예 올리지 않는 경우에는 작가에게 보상하는 제도가 없다. 레진코믹스의 고용 인원 100여 명 중 편집자(PD)는 단 8명에 불과하다. 레진코믹스의 연재 작품은 185개이므로 편집자 한 명당 20개가 넘는 작품을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레진코믹스가 가져간 지각비가 어떻게 쓰이는지 공개된 바 없다.[21] 2017년 11월 9일 레진코믹스는 2018년 2월부터 순차적으로 지각비를 폐지하겠다고 선언했다. [22]

회색 작가는 암 투병에도 불구하고 지각비를 1000만 원 이상 냈다고 밝혔다.[23] 대지 작가는 지각비 조항이 계약서에 없는 데에도 불구하고 지각비를 뜯겼다.[24][25] 다드래기 작가는 어머니 병수발에도 연재를 했는데 사측에게 지각비 면제를 위한 서류(진료 영수증 등)를 요구받았다. 이를 위해 병원에 가자는 작가의 말에 어머니가 투신해 숨졌다. [26]이후 레진코믹스에는 지각비 면제에 관련된 제도가 전무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다드래기 작가는 지속적으로 레진코믹스에게 사과 및 책임있는 대처를 요구하고 있으나 레진 측은 이를 묵살하고 있다.[27]

한편 한국만화가협회는 2017년 12월 12일 지각비 관련 레진코믹스에게 보낸 공개질의서를 공개했다. 이에 대해 레진코믹스는 "지각비는 부당하지 않으며 보상 없음", '사측 과실에 대한 보상은 개별 실시하고 있으나 계약서 명시는 어려움', '지각비 폐지 시점은 별도 합의서가 필요하므로 2월부터 실시'라는 기존 입장을 반복했다.[28]

2018년 3월 27일, 공정거래위원회는 웹툰 서비스 업체를 대상으로 벌인 심사 결과, 레진엔터테인먼트의 '지각비'를 불공정 계약으로 적발했다.[29]

< 부당한 지체상금 부담 조항 >

㈜레진엔터테인먼트, ㈜탑코는 작가가 웹툰 작품을 인도하는 시기가 지연되거나 무단 휴재의 경우에만 지체상금을 부과하고 있다.

본 약관상 지체상금은 작가가 계약서상 기재된 원고의 마감 시간을 어길 경우 콘텐츠 제공 대가의 일정 비율을 손해액으로 부과하는 규정이다.

그러나 보통 작품의 마감 시간은 게재 시간보다 2일 전을 설정하는 경우가 많고, 지연의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매출이나 이용률의 하락 등 피해가 크게 발생한다고 보기 어렵다.

그럼에도 콘텐츠 제공을 지연하는 경우 부당한 지체상금을 부과하는 규정은 고객에게 부당하게 불리한 조항이므로 무효이다.

무단 휴재의 경우에만 일부 지체상금을 부과하거나 해당 약관 조항을 삭제했다.

26개 웹툰서비스사업자의 웹툰연재계약서 상 불공정약관 시정, 공정거래위원회, 2018.03.27.

2018년 3월 28일, 한국만화가협회는 '지각비 반환에 대한 소송'을 진행한다는 공지를 올렸다. 참여 작가 모집은 4월 12일까지이다. [30]

해외정산 문제

허위사실 유포

레진코믹스 관계자가 '블랙리스트 작가'들에 대한 허위사실을 퍼뜨린다는 주장. 주로 '이들과 교류하지 말라'는 내용이다. 회색 작가는 '돈을 많이 준다는 다른 플랫폼으로 가기 위해 아픈 것을 핑계로 멀쩡한 PD를 하나 잡아 누명 씌우고 골로 보냈다', '계약 해지 후 레진코믹스 사옥에 찾아가 오열하며 무릎꿇었다', '작가가 돈을 노리고 농탕쳤다' 등등 자신에 대한 루머를 레진코믹스가 퍼뜨렸다고 증언했다. [31]레진 측이 유포한 루머는 2017년 12월 19일 한국웹툰작가협회 주최 간담회에서 사실로 확인됐다(한국웹툰작가협회 간담회 단락 참조).

간담회 이후로도 작가 및 한국만화가협회·한국웹툰작가협회가 제보를 받고 있다.[32][33]

  • 한국만화가협회 제보 이메일: coreamanhwa@naver.com
  • 한국웹툰작가협회 제보 이메일: coreawebtoon@naver.com

1차 블랙리스트 문건 폭로

2017년 11월 21일, 한국만화가협회는 블랙리스트·지각비 제보를 공식적으로 접수했다. 당시에는 레진코믹스라는 이름이 언급되지는 않았다.[34]

그러나 일요시사 보도를 통해 블랙리스트 존재가 확인되었고 SBS 보도를 통해 블랙리스트 작성을 지시한 메일 본문이 공개되었다. 의혹이 팩트로 증명된 것이다.

처음부터 레진코믹스는 블랙리스트 의혹에 대해 적극 부정했다. 2017년 12월 22일 일요시사의 블랙리스트 보도가 나온 뒤 레진코믹스는 은송 작가와 미치 작가에게 '사실이 아니다'라는 이메일을 보냈다. 은송·미치 작가가 2018년 1월 11일 공개한 레진코믹스 측의 2017년 12월 22일 이메일에는 "회사는 특정 작가의 작품을 배제한 사실이 없습니다", "해당 작품을 프로모션에서 배제한 적은 없습니다", "특별히 어떤 문서를 만들어서 불이익을 드릴 이유가 없습니다", "사실과 다른 내용에 상처받지 않으시길. 진심으로 바랍니다"라고 적혀있다. [35][36][37]다드래기 작가는 레진코믹스 홍보팀장이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관리하고 싶어도 인력이 부족해 못 한다'고 말했다고 증언했다. [38]레진코믹스는 SBS 보도 하루 전인 2018년 1월 10일에도 철도신문 취재에 "여러 차례 말씀드린 것처럼 회사는 특정작가에게 프로모션 불이익을 드린 바 없습니다"라고 답변하며 블랙리스트 존재를 부정했다. [39]

다음은 2018년 1월 11일 SBS를 통해 공개된 블랙리스트 메일 본문 중 일부이다. 굵기, 밑줄 등을 그대로 따랐다. 본문의 '레진님'은 레진엔터테인먼트 대표 한희성을 말한다.

[공유] 운영기획팀...운영관련 주요 내용

2017년 5월 13일

안녕하세요. ○○○입니다.

표제의 건으로 아래의 내용 공유 드립니다.

(전략)

  • 블랙리스트(?) 작가
    • 앞으로 진행될 모든 이벤트에서 '은송', '미치' 작가의 작품은 노출되지 않습니다. 레진님이 별도로 지시하신 사항입니다.
    • 현재 확인된 3작품: <양극의 소년> <340일간의 유예> <봄의 정원으로 오라>

(후략)

이상입니다.

고맙습니다.

○○○ 올림

SBS 보도에서 최건 변호사는 '공정거래법 제23조 제1항에 따라 (레진코믹스가) 과징금을 부과받을 수 있는 계약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공정거래법(정식명칭은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23조 제1항은 다음과 같다.

제23조(불공정거래행위의 금지) ①사업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로서 공정한 거래를 저해할 우려가 있는 행위(이하 "不公正去來行爲"라 한다)를 하거나, 계열회사 또는 다른 사업자로 하여금 이를 행하도록 하여서는 아니된다.

1. 부당하게 거래를 거절하거나 거래의 상대방을 차별하여 취급하는 행위

2. 부당하게 경쟁자를 배제하는 행위

3. 부당하게 경쟁자의 고객을 자기와 거래하도록 유인하거나 강제하는 행위

4. 자기의 거래상의 지위를 부당하게 이용하여 상대방과 거래하는 행위

5. 거래의 상대방의 사업활동을 부당하게 구속하는 조건으로 거래하거나 다른 사업자의 사업활동을 방해하는 행위

6. 삭제 <1999.2.5.>

7. 부당하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통하여 특수관계인 또는 다른 회사를 지원하는 행위

가. 특수관계인 또는 다른 회사에 대하여 가지급금·대여금·인력·부동산·유가증권·상품·용역·무체재산권 등을 제공하거나 상당히 유리한 조건으로 거래하는 행위

나. 다른 사업자와 직접 상품·용역을 거래하면 상당히 유리함에도 불구하고 거래상 실질적인 역할이 없는 특수관계인이나 다른 회사를 매개로 거래하는 행위

8. 제1호 내지 제7호이외의 행위로서 공정한 거래를 저해할 우려가 있는 행위

독점규제및공정거래에관한법률, 국가법령정보센터 (2018.01.13. 확인)

블랙리스트 문건에서 말하는 '이벤트'는 '프로모션'을 말한다. 홈페이지·앱 첫 화면에 노출되거나 할인 이벤트 등이다. 이는 고스란히 수익으로 직결된다. 프로모션에 포함되면 수익이 2배에서 4~5배까지 차이가 난다. 이때문에 사측이 작가를 압박하는 수단으로 악용되기도 한다.[40] 2017년 12월 20일, 한국웹툰작가협회는 블랙리스트 제보 내용을 문화체육관광부와 공유했으며 해당 내용은 청와대에 보고될 예정이라고 밝혔다.[41] 이후 언론보도를 통해 블랙리스트의 존재가 확인되면서 한국만화가협회는 다음과 같은 글을 올렸다.

"블랙리스트는 없다"는 대답을 반복하는 레진코믹스에, 신중하게 답변하시라고 여러차례 충고했지만 끝내 그 존재를 부정했습니다. "블랙리스트"라 명명하고 특정작가를 거론하며 이벤트 금지령을 내린 '레진님의 지시'에 대해서는 무어라 변명할지. 거짓과 변명이 반복되는 사이 작가들의 신뢰는 깨어진 지 오래입니다. 미래를 논하기에 앞서, 각 사안사안에 대한 진정성 있는 사과가 우선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한국만화가협회, 페이스북, 2018.01.11.

레진코믹스는 2018년 1월 12일 오마이뉴스를 통해 블랙리스트 문건이 내부 자료라는 점은 인정했다. 그러나 불이익과 블랙리스트는 부인했다. 은송·미치 작가가 허위 사실을 유포하고 비밀유지의무를 위반했으며 해당 문건은 담당 실무자가 감정적으로 격양된 상태에서 작성했다는 주장이다.[42] 이후 간담회에서도 다시 한 번 블랙리스트의 존재를 부정했다(1차 레진코믹스 간담회 단락 참조). 하지만 레진코믹스는 해외정산 문제를 해명하는 과정에서 회색 작가의 수익을 무단으로 공개한 바 있다.[43]

1차 레진코믹스 간담회

레진과의 미팅에서 윤태호 협회장이 요구한 사항은 명료합니다.

살을 후벼팠다고 느껴질 정도의 공개사과문, 그것을 계약서에 명명백백하게 명시할 것, 그리고 그것으로 언론플레이 하지 말 것!

회피하지 말고 변명하지 말고, 진정성 있는 태도와 노력을 요구합니다. 작가 간담회, 지켜보겠습니다.

한국만화가협회, 페이스북, 2018.01.16.

2018년 첫 번째 레진코믹스 주최 간담회는 당초 2018년 1월 11월에 할 예정이었으나, 레진코믹스가 시위를 이유로 2018년 1월 16일로 연기했다. 작가들은 지속적으로 '한희성 대표(레진님)가 참석하고 공개적으로 진행하라'고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고 비공개로 진행되었다. 레진코믹스는 내용 녹취·외부 공개 불가, '소란이 발생하면' 퇴장 조치, 계약해지된 작가는 입장만 가능하고 발언에 제한이라는 불공정한 조건을 걸었다. [44]해외 정산문제와 지각비 문제에서 가장 논란이 되었던 <월한강천록>의 회색 작가가 계약해지된 작가에 속한다.

간담회가 열린 서울시 논현동 파티오나인 건물 앞에는 웹툰·웹소설 작가들의 1인 시위가 3시간 여 진행됐다. [45]간담회는 당초 예정된 15시 30분보다 10분 지체되어 시작됐으며 예정보다 1시간 연장된 19시 45분까지 진행되었다. 간담회 1부는 사업설명회가 진행되었으며 질의시간은 40분에 불과했다. [46] 간담회에 참석한 연대 작가들은 검은 마스크를 착용하였는데 간담회 진행자가 의도적으로 이들에게 발언권을 주지 않았으며 그나마 질문하는 작가들도 '시간 문제'로 도중에 끊어버렸다고 참석자들이 증언했다. [47][48]

레진코믹스 측은 간담회에서 "블랙리스트는 존재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그렇게 보이긴 하지만 블랙리스트는 아니다"라며 블랙리스트의 존재를 다시 부정했다. 레진 측은 문제가 된 메일 본문 중 '블랙리스트(?)'의 물음표는 블랙리스트가 확정이 아니라는 증거이며, 프로모션은 혜택이기 때문에 프로모션 배제는 작품·작가에게 피해를 준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49][50][51]

이에 대해 한국만화가협회는 "블랙리스트라고 쓰여져 있지만 블랙리스트는 아니다, 대표가 지시했지만 잘못은 실무자에게 있다. 그런 주장인가요?"라는 글을 페이스북에 올리며 이를 비판했다.[52]

2차 간담회 당일 취소

2018년 1월 18일 16시 30분에 예정된 2018년 두 번째 레진코믹스 간담회가 당일 12시에 취소됐다. 레진 측은 대관처가 집회 신고를 이유로 취소했다며 11일 당시 연기했던 것과 같은 이유를 들었다.[53] [54]대관처 앞에는 11일처럼 '대규모' 시위가 아니라 16일처럼 1인 시위가 예정된 바 있으나 이것을 간담회 취소 이유로 든 것이다. [55]또한 16일 당시에는 집회 신고는 15일에 되었으나 대관처는 취소하지 않았으며 대관처 측에도 1인 시위만 하겠다고 사전 공지했다.[56] 킬러 작가는 16일 당시, 레진 측과 대관처 측에게 간담회 취소 여부를 질의·응답했던 메일을 공개했다. 메일에 따르면 대관처 측은 간담회 취소 여부가 레진 측의 의사에 달려있다고 답변했고, 레진 측은 취소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변했다.[57]

갑작스러운 간담회 취소와 소극적인 공지 때문에 간담회장 근처까지 왔다가 발길을 돌려야 했던 작가들도 있었다. 1 2 3

일각에서는 간담회 취소가 추가로 공개된 '2차 블랙리스트 문건' 보도 때문이라고 추측했다.[58] 기사 공개 시점(15시 39분)은 간담회 취소 시점(12시 경)과 맞지 않으나 레진 측이 사전에 이를 파악하고 행동했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2차 블랙리스트 문건 폭로 단락 참조.

2차 블랙리스트 문건 폭로

2018년 1월 18일, 오마이뉴스는 레진코믹스에 기존 '블랙리스트' 외에도 또다른 블랙리스트 문건이 존재했다는 보도를 내었다.[59] 웹소설 폐지에 항의하는 웹소설 작가들과 웹툰 작가들을 '강성 작가'로 분류하고 소송을 준비했다는 내용이다. 보도에 따르면, 레진코믹스는 작가들의 SNS를 사찰하고 이를 토대로 소송까지 검토했다.

레진엔터테인먼트 재무이사 홍 모씨는 '9/1 TF 미팅에서 논의된 주요 이슈'라는 제목의 자료를 사내에 공유했다. 다음은 오마이뉴스를 통해 공개된 블랙리스트 문건의 일부이다. 제목으로 보아 2017년 9월 1일 전후로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안녕하세요. 홍○○입니다.

9/1 TF 미팅에서 논의된 주요이슈 다음과 같이 정리하여 공유 드립니다.

  • 공지 채널 추가확보 관련
    • 현재 아래와 같은 채널을 통해 공지 진행
      • Web 홈화면 상단 배너(고객지원 페이지 링크)
      • 고객지원 페이지 안내
      • 웹소설 에피소드 목록 상단 공지
      • 전체 고객 대상 이메일 발송
    • 추후 공정위로부터 공지 부족에 대한 지적 가능성이 있어 다음과 같은 대안 고려(경영진 별도 의사결정 진행 예정)
      • 1안) 앱 하단 배너에 전체 공지
      • 2안) KR 소설열람 이력이 있는 유저 한정 알림함 발송
      • 3안) 시정명령 받은 후 조치
  • 강성 작가에 대한 대응
    • 법적 대응 고려
      • 비밀유지 조항 위반, 허위사실 유포 등이 도를 넘어선 작가에 대해서는 추후 소송까지 고려
      • 진행시점은 미정이나 1차적으로 PR팀에서 SNS 모니터링 등을 통해 증거 수집 진행
    • 추가 인입문의 대응
      • 현재는 강성작가 10여명이 반복하여 메일/전화 등을 통해 문의를 하고 있는 상황이며 잠재적인 강성작가까지 포함하면 약 20여명으로 추정
      • 문의에 대해서는 이미 안내한 내용을 바탕으로 재안내하는 방식으로 대응(9월 계약 해지 시 추가보상 지급시점은 10월 20일이라는 내용 포함)
    • 특이사항
      • ○○○ 작가(본명 ○○○)는 기존 30회 이상 입고를 약속했음에도 11회까지 입고한 바, 선인세 지급이 불가함을 안내(메일/전화/SNS 등을 통해 강성문의를 주도하고 있어 법적 대응 고려 검토)
      • ○○○ 작가(본명 ○○○)는 코인 소진 데이터를 신뢰할 수 없음을 이유로 금일 방문하겠다는 의사를 밝힘(방문 시 개발팀/법무팀에서 전일 전달한 자료를 재설명하는 방식으로 대응 예정)
      • ○○○ 작가의 SNS 상 여론몰이로 인해 강성작가 10여명이 결제데이터를 요청한 바, 개발팀에서 추출 작업 진행 중이며 차주 초에 개별 전달할 예정
  • 기타 참고사항
    • 웹툰 작가 대응 기조 점검 : 차주 TF 미팅에 CCP 함께 참석하여 PR/CR/웹툰팀 간 웹툰 작가에 대한 대응기조 공유
    • 웹툰팀에서 작가 관리 시트 재구성 예정 : 강성작가의 경우 법무 대응이 필요한 바 구분하여 관리할 예정

감사합니다.

--

홍○○ | ○○○○ | LEZHIN Entertainment. Inc | Finace Director

(주)레진엔터테인먼트 재무이사

홍 이사는 오마이뉴스 인터뷰에서 문건 내용을 인정했으나 경영 차원에서 필요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신효정 작가는 '30회 이상 연재하기로 약속해놓고 웹소설 서비스를 폐지해서 연재 시작도 못했다'며 레진 측을 비판했다.[60] 신 작가는 자신이 2차 블랙리스트의 '특이사항' 첫 번째 작가이며 '30회 이상 입고를 약속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또한 웹소설 폐지 당시 레진코믹스가 자신에게 '선인세 못 받는 작가는 신 작가 뿐이다'라는 거짓말을 했다고 폭로했다.[61] [62]또한 블랙리스트 작성자인 홍 모 이사에게 직접 통화했으나 사과를 거부했다고 밝혔다. 홍 모 이사는 통화에서 '드릴 말씀이 없다', '회사의 입장을 대변할 뿐이다'라고 주장한 데 이어, 신 작가가 허위 사실이라는 법적 용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책임을 져야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63]킬러 작가와 김공령 작가는 '강성작가 리스트가 이미 구성되어 있었다는 말'이라며 블랙리스트가 없다는 레진 측의 주장이 거짓이라고 비판했다.[64][65]

사과 없는 조삼모사 '개선안'

2018년 1월 19일 새벽 한 시 경, 레진코믹스는 소속 작가들에게 이메일로, 오후에는 공개적으로 '개선안'을 공개했다. 레진 측이 새벽에 작가들에게 보낸 메일에는 '유포 금지'를 내걸었지만, 오후에 '언론 보도자료'로 공개되었다.

레진코믹스는 작가들과 협회의 요구 중 지각비 폐지만 받아들였으며, 이마저도 당초 주장했던 '2월부터 점진적 폐지'에 불과했다. MG 폐지는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금액만 조정되었다. 외국어 서비스 전송권은 해외서비스를 1년동안 하지 않을 경우에만 작가에게 돌려준다. 중국 연재작 고료 지연에 대해서는 원금 40여만 원과 이자·위로금을 추가하여 지급한다. 공식적인 사과는 여전히 없었다.[66]

Object box 작가는 해당 공지에 대해 레진코믹스의 공식적인 사과가 없고, 미진한 조치를 개선안이라 칭한 것에 대해 '눈속임'이며 '여론전'이라 지적했다.[67] 흰귀 작가는 영양가 없는 회피와 조삼모사라고 지적했다.[68] 연양갱 작가는 새벽에 보낸 메일에 '유출하지 말라'는 문구를 비판했다.[69] 레진 불공정행위 피해작가연대는 레진 '개선안'이 본질이 아니며, 작가들이 지적하는 수익배분문제(7:3) 등이 하나도 해결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70]

언론기자 '접대 리스트' 폭로

2018년 1월 29일, 미디어스는 레진코믹스가 기자를 상대로 지출한 법인카드 사용 내역을 공개했다. 레진코믹스는 이들 언론 기자들을 상대로 약 1년 9개월 간 2437만 5020원을 접대 등으로 사용했다.[71]

레진코믹스가 접대한 언론사는 다음과 같다(가나다 순). 이들 언론사는 레진코믹스 사태와 관련한 고발기사를 단 한 건도 작성하지 않았다. 대신에 레진코믹스의 보도자료는 받아쓰기했다. 레진코믹스 측은 '통상적인 홍보활동'이라고 해명했다.

  • IT조선
  • 게임포커스
  • 글로벌이코노믹
  • 뉴시스
  • 동아일보
  • 매일경제
  • 머니투데이
  • 미디어펜
  • 브레이크뉴스
  • 블로터
  • 이코노믹리뷰
  • 전자신문
  • 조선비즈
  • 한국경제
  • 한국경제 게임톡
  • 현재경제신문

해당 보도가 공개되자 작가들은 허탈함과 배신감을 토로했다. 대다수의 작가들이 레진코믹스 사옥을 방문하여 제작·연재 관련 미팅을 했을 때 식사를 대접받은 적이 없다고 증언했다. 일각에서는 '지각비로 접대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다드래기 작가는 모 언론사에게 무지·무례한 질문을 받았다는 말에 이 모 이사가 '해당 언론사 기자와 커넥션이 좋지 않다'는 말을 들은 바 있었다며, 해당 언론사가 접대 리스트에 있다고 증언했다.[72] 킬러 작가는 미팅 때마다 다괴를 준비한 것은 레진이 아니라 자신이었고 그게 예의라고 생각했다며 허탈해 했다.[73] 김온 작가는 레진 미팅 당시 '보리차 한 잔 마셨다'며 미팅 당시 미리 약속을 했는데도 레진 측에서 미팅룸을 예약하지 않아 로비에서 계약서를 읽어야 했다고 증언했다.[74]

미치·은송 작가 작품 무단 서비스 종료

2018년 1월 30일, 레진코믹스는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은송 작가의 <양극의 소년>과 미치 작가의 <340일간의 유예> 서비스 종료를 공지했다.[75][76] 사유는 '계약 종료'이며 종료 시점은 2월 6일이다. 홈페이지의 인터페이스 때문에 공지사항이 뜬 날짜는 확인할 수 없으나, 직전에 뜬 공지사항의 날짜가 1월 30일로 명시된 것과 해당 공지를 최초로 확인한 날짜가 1월 30일인 것으로 볼 때, 해당 공지는 1월 30일에 개시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은송 작가는 '양극의 소년 서비스 종료는 공지 받은 적 없는 무단 해지 통보'라고 밝혔다.[77] 미치 작가 역시 해당 공지를 처음 접했다는 반응을 보였다. [78]

레진엔터테인먼트의 작가 상대 소송 제기

2018년 1월 30일, 레진엔터테인먼트는 일련의 사태는 근거 없는 비방이라 주장하며 공식적으로 법적 대응을 시작했다. 레진 측은 작가 2명이 허위 사실을 퍼뜨리고 확산시켰다고 주장하며 법무법인을 소송대리인으로 선임, 소장을 제출했다고 밝혔다.[79] 레진 측은 블랙리스트 보도가 나간 뒤에도 '블랙리스트는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_내_성폭력 당시, 가해 지목인들이 고발인들을 상대로 법적 소송을 제기한 것과 유사하다.

미치 작가는 레진 측이 자신과 은송 작가에게 일방적으로 허위 사실을 퍼뜨렸다며 사과를 요구했다고 밝혔다. 이어 레진 측이 SNS를 삭제하지 않으면 서비스 종료와 고소를 하겠다고 내용증명을 보냈다고 밝혔다.[80]

레진 측의 대응에 한국만화가협회·한국웹툰작가협회는 레진 측을 "작가의 입에 재갈을 물리고, 그림 그리는 손을 꺾는 자들"이라 칭하며 피해 작가들에 대한 협회측의 지원을 선언하는 등 연대를 공식 선언했다. 자세한 것은 한국만화가협회·한국웹툰작가협회 연대 성명서 단락 참조. [81]

<로열 서번트> 프로모션 배제

2018년 2월 2일, 레진코믹스 성인 BL장르 이벤트 '주종관계 특집'에서 <로열 서번트>가 배제된 것이 확인되었다.[82] 해당 작품은 해당 프로모션 테마에 언급되는 작품으로 레진 측이 주최했던 제2회 세계만화공모전 우수상 수상작이다. <로열 서번트>의 작가인 MasterGin 작가·청년 작가는 레진 블랙리스트에 항의하여 해당 작품을 휴재 중이었다.[83] 청년 작가는 '예상은 했지만 이런 식일줄은 몰랐다'며[84] '프로모션 배제가 블랙리스트'라고 밝혔다. <로열 서번트> 공식 트위터 계정은 반 년간 매달 진행되던 해당 이벤트에서 <로열 서번트>가 이번에 처음 배제되었다며 프로모션 배제 이유에 의문이 든다고 국문[85]과 영문[86] 으로 밝혔다. 영문으로 입장을 밝힌 이유는 레진코믹스가 1월 말 영어 입장문을 통해 자신들의 행위를 정당화한 입장문을 내놨기 때문으로 보인다.

<돌핀 요정> 무통보 연재 중단

2018년 3월 12일, 레진코믹스 성인BL 웹툰 <돌핀 요정>이 연재 중단되었다. 레진코믹스 측은 연재 종료 공지에서 "작가님의 요청으로 <돌핀 요정>은 연재가 중단되었습니다."라는 글을 올렸다. 해당 작품은 2017년 12월 24일 스톤헨지 작가의 항의성 휴재 중이었다. [87] 그러나 스톤헨지 작가는 '연재종료를 요청한 것은 사실이나 레진 측에게 답변을 받지 못한 상태였다', '레진 측의 공지로 연재종료를 알게 됐다'고 밝혔다. [88]

레진 라이브 성폭력·2차가해 사건

2018년 3월 23일, 레진코믹스에서 <사랑의 기원>을 연재하던 산사 작가는 연재 중단을 공지했다. [89]이어 다음날인 24일, 산사 작가는 레진코믹스에서 주최했던 '레진 라이브 2017' 행사(2017년 4월 25일)에서 만취한 남성 작가에서 성희롱·성추행을 당했다고 폭로했다. 이어 담당 PD가 가해자와 피해자를 분리하였으나, 피해자에게 '싫다고 하지 그랬냐'는 말을 했고 다음날 가해자에게 허락 없이 피해자의 연락처를 주었다고 폭로했다. 또한 사흘 뒤 통보나 합의 없이 <순정 바로미터>의 프로모션이 진행됐다고 밝혔다. 또한 1년 후인 2018년 3월, 산사 작가는 연재 복귀 후 편집부의 무성의한 검수 때문에 항의하던 도중 다음과 같은 일이 있었다고 폭로했다.

  • 담당 PD가 "최근 벌어지고 있는 미투 운동 때문에 언젠가 이 일이 터질 거라 생각해 내부적으로 논의했다"고 발언.
  • 레진코믹스 편집부가 '이게 이렇게까지 비꼼 당할 일입니까?'라고 공식 계정으로 이메일을 보냄.

이 직후 산사 작가는 레진 측과 상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연재 중단을 통보했다고 밝혔다.[90] 해당 트윗·블로그 글에는 가해 작가·담당 PD의 이름이 적시되지는 않았다.

2018년 3월 24일 21시 47분, 우상호 작가는 자신의 트위터 글을 모두 삭제하고 사과문을 올렸다. 해당 글에는 피해 작가의 이름이 적시되지 않았으나, 당시 행사에서 자신이 성폭력을 저질렀고, 이후 피해 작가들의 연락처를 레진 측에 전달받아 전화를 했다는 점, 현재 레진코믹스에서 연재하는 만화 <변태클럽>이 연재 종료된다는 등의 내용이 담겨있다.[91] 2018년 3월 24일 0시경, 레진코믹스 공식 홈페이지 공지사항과 블로그에는 우상호 작가의 <변태클럽>, <유혹의 기술> 서비스 중단 공지가 올라왔다. 해당 공지에는 연재 중단 사유를 "불미스러운 사건"이라고만 밝히며 구체적인 사유는 적시되지 않았다. [92] [93]이어 블로그에 올린 공지에는 산사 작가의 <사랑의 기원> 연재 중단 내용과 함께 당시 행사에서 성폭력 사건이 있었다고 인정했다. 해당 공지에는 가해 작가·가해 작가의 작품·담당 PD의 이름이 적시되지 않았다.[94]

같은 날 22시 41분, 도트리 작가는 해당 행사 당시 우상호 작가의 성폭력 가해를 증언하는 글을 올렸다. 해당 글에 따르면, 당시 우상호 작가는 만취 상태로 산사 작가 뿐만 아니라 자신에게도 성폭력을 행사했으며 이지피 작가에게는 폭언을 했다고 주장했다.[95][96]

같은 날 23시 47분, 산사 작가는 자신의 트위터에 <사랑의 기원> 뿐만 아니라 <순정 바로미터>의 전송권도 회수를 요구했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레진 측(담당 PD)은 "<순정 바로미터>의 전송권을 돌려드리면 올리실 공지문의 내용(담당 PD의 2차가해 및 정보 유출 건)을 줄여줄 수 있느냐"는 답을 들었다고 폭로했다. 또한 이 과정에서 가해자인 우상호 작가가 DM으로 직접 연락하여 사실 확인과 사과문 첨삭, 게시 방법 등을 물어보았다고 폭로하면서 다시 한 번 가해자·피해자 분리가 이뤄지지 않았음을 알렸다. [97]

2018년 3월 28일, 이 일로 징계를 받은 담당 PD가 담당 작가들에게 해당 사건과 산사 작가의 SNS 대화 내용을 첨부한 메일을 보내는가 하면 루리웹에도 해당 내용을 연달아 올려 물의를 일으켰다.[98] 이에 몇몇 작가들은 해당 PD와 미팅을 하면서 받았던 가스라이팅을 폭로했다.  [99]

미성년자 작가에게 선정적 장면 강요 및 원작자 주장 논란

2018년 9월 13일 오마이뉴스 보도로 알려진 논란이다. 레진코믹스 대표 한희성 씨가 PITO 작가의 데뷔작이었던 <나의 보람>(2013)에 선정적인 장면을 넣을 것을 주문했다는 것이다. PITO 작가는 당시 미성년자였다. 또한 해당 작품은 PITO 작가가 그림 뿐만 아니라 스토리도 담당한 작품이었으나, 앞서 설명한 장면을 포함하여 몇 가지 제안을 했다는 이유만으로 스토리 작가·원작자 이름에 한 대표의 이름이 올라갔다. 원작자에 이름을 올린 한 대표는 연재 당시 수익의 30%를 가져갔다. PITO 작가는 2017년 12월에 저작권 반환과 배상, 계약 해지 등을 요구했으며 2018년 9월 말에는 공정거래위원회 신고도 계획한다고 밝혔다. 레진코믹스 측은 '상당한 기여가 있었다', '그러한 계약을 했다'고 주장했으나 2013년 계약 당시 PITO 작가의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받지 않았다는 점은 인정했다.  [100][101]

대응과 연대

1차 청와대 청원

2017년 12월 7일, 청와대 국민청원 및 제안 홈페이지에 레진코믹스 세무조사를 청원하는 글이 올라왔다. 청원 개시 하루만에 2만 7천여명이 서명했다.[102] 2018년 1월 6일 마감된 청와대 청원은 총 81,315명이 서명했다.[103] 작가라고 밝힌 글쓴이는 해당 청원에서 MG 논란, 정산 문제, 지각비, 웹소설 졸속 종료, 블랙리스트 의혹, 해외정산 문제 등을 지적했다.

레진코믹스는 청원 개시 하루만에 공식입장을 내고 "사실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104]그러나 블랙리스트 등 의혹은 사실로 드러났다. 1차 블랙리스트 문건 폭로, 2차 블랙리스트 문건 폭로 단락 참조.

한국웹툰작가협회 간담회

2017년 12월 19일 서울 명동에서 한국웹툰작가협회 주최로 이루어진 간담회이다. 레진코믹스에서 연재중이거나 연재를 했던 작가를 대상으로 불공정행위 등 사례를 확인하는 자리였다. 윤태호 한국만화가협회장과 만취 한국웹툰작가협회 부회장 등 임원들이 참여했다. 레진코믹스 관계자는 참여를 제한했다.[105][106]

간담회 후 한국웹툰작가협회는 지각비, 해외 정산 문제, 블랙리스트, 사측의 악의적인 허위사실 유포를 공식적으로 확인했다.[107]

레진코믹스 사옥 앞 1차 시위

2018년 1월 11일 레진코믹스 강남사옥 앞에서 진행된 시위. 피해 작가 뿐만 아니라 독자들도 연대하여 참여했다. 당초 시위는 레진코믹스가 주최하는 간담회 대관처 앞에서 열릴 예정이었다. 그러나 레진코믹스 측은 웹소설 작가의 참여를 거부한 데 이어 계약이 유지된 작가로 참여자를 제한했다. 이 기준에 따르면 회색 작가는 참여할 수 없다. 더군다나 '대관처가 시위를 이유로 대관을 취소했다'는 이유를 들어 간담회를 연기했다. 이에 시위 주최측은 시위 장소를 레진코믹스 강남사옥 앞으로 변경했다. 이는 집회신고를 할 때 대관처 앞과 사옥 앞 두 군데를 동시에 신청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시위는 예정대로 진행되었다. 폴리스라인 안에서 질서정연하게 진행되었으며 레진코믹스 사옥 안 화장실까지 청소하는 등 뒷정리까지 이뤄졌다.[108]

언론 보도

심우섭, [단독] "레진코믹스, 작가 항의하면 블랙리스트로 관리"…증거 입수, SBS, 2018.01.11. (2018.01.12. 확인)

한국만화가협회·한국웹툰작가협회 성명서

2018년 1월 20일, 한국만화가협회(이하 '만협')와 한국웹툰작가협회(이하 '웹협')는 레진코믹스 불공정행위 사태에 대한 공식 성명서를 발표했다.[109] 성명서 본문이 이미지 파일로 되어 있어 활용하기 어려우므로 이 문서에서는 텍스트로 전문 인용한다. 인용문 중 주석과 하이퍼링크는 원본에는 없으나 가독성을 위해 임의로 추가한 것이다.

레진 대표이사의 공개사과와 레진 사태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합니다!

"레진은 작가들의 창작활동과 정당한 이익을 저해하는 행위에 대해 즉각 사과하고 합당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예술인복지법 제6조2(불공정행위의 금지)'를 위반한 레진을 즉각 조사하고 시정명령을 내려야 한다."

(사)한국만화가협회, 한국웹툰작가협회(이하 '협회')는 그동안 레진과 관련된 여러 문제들에 대하여 작가들의 제보를 통해 확인하고, 피해 작가들의 동의를 받아 12월 27일 (주)레진엔터테인먼트(이하 '레진')에게 "(1)지금까지 벌어진 문제에 대해 대표명의의 공개 사과 (2)불공정한 계약인 지체상금(지각지) 즉시 폐지 (3)기존 지각비 전액 작가에게 반환 (4)블랙리스트 폐지 (5)운영과 실로 인한 피해 보상책 마련 및 계약서에 명기 (6)프로모션 기준(합리적이고 공정한 프로모션 기준, 연간 최소 프로모션 등) 계약서에 명기 (7)계약해지를 희망하는 작가의 계약해지 및 피해보상 (8)해외 및 2차저작물 계약 완전 분리"를 요구했다.

그러나 2018년 1월 20일 현재 레진은 대표명의의 공개 사과도 하지 않았고, 기 징수한 지각비를 작가에게 반환하라는 요구에도 응하지 않았으며(레진은 작가들 복지 증진을 위해 대승적인 차원의 정책 도입예정이라고 답변), 협회와 작가 간담회에 다른 답변을 하는 등 상황을 모면하려는 태도로 일관했다.

가장 큰 문제는 블랙리스트의 운용이다. 블랙리스트는 특정 작가를 배제하는 대표의 지시사항이 담긴 이메일(2018년 1월 11일 SBS뉴스), 이사가 작성해 공유한 회의자료에 법적대응을 고려한 작가 명단을 만들고 이를 '강성작가'라 명명한 내용(2018년 1월 18일 오마이뉴스) 등 구체적으로 존재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레진은 여전히 블랙리스트를 인정하지 않고 작가와 협회의 문제제기에 대해 성의있는 자세로 대처하지 않고 있다.

레진은 작가들과 소통하겠다며 준비한 세 번의 간담회중 두 번을 일방적으로 취소하고 한 번은 협의과정 없이 일방적 설명회의 형식을 띄었으며, 작가의 질의문답이 제한되었다.

지금까지 협회는 작가들의 증언을 취합했으며, 사실에 근거해 8가지 요구를 레진에 전달했지만 사과와 그에 따른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레진의 행태는 '예술인복지법 제6조2(불공정행위의 금지)'를 명백히 위반하고 있으며 그 항목은 다음과 같다.

(1)우월적 지위를 이용하여 불공정한 조건의 계약

대표적인 사례는 지체상금(지각비)제도다. 업데이트가 되는 당일 이틀 전 오후 3시까지 마감을 하지 않으면 지각이고, 월 2회 이상 지각한 경우 월 매출의 최소 3%에서 최대 9%까지 지각비를 징수한다. 일반적인 계약서의 지체상금[110]의 경우 지체된 시간에 따라 전체 지불 금액의 일정 퍼센트를 수령한다. 그러나 레진은 해당 회차의 채출에서 지체된 시간만큼 지불된 금액의 일정 부분을 징수하는 것이 아니라 지각하지 않은 다른 회차의 매출까지 포함한 전체 금액에서 지각비를 징수한다. 또한 PD의 재량에 따라 지각비를 면제하기도 하며, 월단위 MG 이상의 지각비를 징수당한 작가도 있다. 징수 기준도 모호하고, 임의에 따라 적용하는 징벌적 성격의 지각비는 플랫폼의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대표적인 불공정한 조건의 계약이다.

또한 공모전에 수상해 연재하게 된 한 작가의 경우, 신작 오픈 4주차부터 연재 종료를 언급하고 이후 지속적으로 연재 종료를 요구받았다. 해당 작가의 계약서 제17조(계약기간) 1항에서 계약체결일을 6개월로 명시했고, 계약만료일 30일 전까지 어느 일방의 계약해지에 대한 의사표시가 없는 경우 6개월씩 자동으로 연장된다고 밝혔지만, 2항에서 "전항 단서에 따른 갱신 계약기간 동안 작품의 완성도 또는 구독 지표 등이 현저히 부족하여 레진이 더 이상 본 계약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고 판단하는 경우, "레진"은 30일 전의 통지로 본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고 규정했다. 이는 일방적으로 플랫폼측에 유리한 조건으로 작가의 창작 안정성을 저해하는 불공정 계약조건이다.

(2)적정한 수익 배분의 거부, 지연, 제한

해외수익의 정산 누락 문제도 구체적으로 확인되었다. 해외 연재 수익이 계약서에 따라 정산되지 않은 것을 확인한 작가가 정산을 요구하자 레진은 '해외 유통사에서 정산하지 않아 못 주는 것'이라고 주장했자몌, 해외 유통사에서는 계약에 따라 정산을 제공했고 레진측이 작가에게 거짓말을 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후 작가가 지속적으로 내역서와 정산을 요청하자 2년치 정산분을 지급했다. 레진 측에서는 해외 정손권에 대한 계약기간을 수정하고, 뒤늦게 정산에 들어갔으나 작가들의 동의없이 진행된 프로모션 비용을 제외하고 수익을 지급한 경우도 있었다. 정산 관련하여 작가들에게 구체적이고 신뢰할만한 정산내역이 제공되지 않고 있다.

지각비의 징수에 있어서, 에이전시와 계약한 작가들의 계약서는 관련 조항이 명기되어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공지메일을 보낸 후 지각비를 징수했으며 이에 대해 작가가 항의하자 "지각비를 공지한 전체 메일이 계약의 효력을 갖고 있다"는 답을 하기도 했다.

(3)부당하게 창작활동을 방해하거나, 지시, 간섭하는 행위

플랫폼 운영에 대한 건의를 하거나, 정산 등에 대한 정보를 문의하거나, 관련된 내용을 소셜미디어에 공유한 작가들을 의도적으로 프로모션에서 제외했다는 '블랙리스트' 의혹이 있어 협회는 2017년 11월에 공개적으로 제보를 받았다. 2018년 1월 11일 SBS뉴스 <레진코믹스, 작가 항의하면 블랙리스트로 관리>라는 보도에서 "운영기획팀_운영관련 주요 내용"이라는 이메일에 "블랙리스트(?) 작가"라는 소제목으로 "앞으로 진행될 모든 이벤트에서 '은송', '미치'작가의 작품은 노출하지 옟ㄴ습니다 레진님이 별도로 지시하신 사항입니다"라는 내용을 공유한 내부 이메일이 공개되었다. 레진은 이메일이 자신들의 이메일이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블랙리스트는 없었다고 강변하고 증거자료에서 대표의 지시라고 되어있음에도 실무자의 책임으로 전가하려고 하고 있다.

2018년 1월 18일 오마이뉴스는 <레진코믹스 '강성 작가' 대응 문건 "도 넘으면 소송 고려">라는 기사에서 2017년 9월 1일 회의 후 공유된 레진의 자료를 공개했다. "강성작가에 대한 대응"이라는 제목으로 소송을 포함한 법적대윶을 고려해야 한다고 적시했으며, "현재는 강성작가 10여명이 반복하여 메일/전화 등을 통해 문의하고 있는 사항이며 잠재적인 강성작가까지 포함하면 약 20여명으로 추정"된다고 밝히며 특정 작가의 명단을 적시하고 있다. 이 회의자료에서 리스트에 언급된 작가들은 레진에서 웹소설 서비스를 급작스럽게 중단하자 이에 대해 문의를 했을 뿐이다.

회사 대표의 특정 작가 배제 지시, 재무 이사의 강성작가에 대한 법적대응 검토와 자료수집 및 명단 작성 등의 행위는 본질적으로 특정한 사람을 구분하여 불이익을 주고 차별하는 일이며, 부당하게 작가의 창작활동을 방해하는 행위이며, 차별받지 않을 권리(차별당하지 않을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이다.

(4)작가의 정보를 작가와 합의 없이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는 행위

2017년 12월 8일 레진은 자사 홈페이지에 공지한 <청와대 '레진코믹스 세무조사'청원글에 대한 레진코믹스의 공식 입장 발표>에서 "A 작가님께서 지금까지 레진코믹스 한국 서비스를 통해 정산 및 입금받으신 실입금액은, 2013년 11월부터 2017년 9월까지 총 3억1000만원입니다. 물론 이 비용은 현재 전액 지급된 상태입니다. 3년 동안 매달 꼬박꼬박 총 3억1000만원을 입금"했다며, 작가의 동의없이 작가의 정보를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했다.

이상과 같은 레진의 행위는 '예술인복지법 제6조2(불공정행위의 금지)'에서 명백히 금지하고 있는 행위다. 예술인복지법에서는 "예술인과 계약을 체결하는 자는 예술인의 자유로운 예술창작활동 또는 정당한 이익을 해치거나 해칠 우려가 있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거나 제3자로 하여금 이를 하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법안에서 구체적으로 명기한 금지행위는 "1. 우월적인 지위를 이용하여 예술인에게 불공정한 계약 조건을 강요하는 행위 2. 예술인에게 적정한 수익배분을 거부·지연·제한하는 행위 3. 부당하게 예술인의 예술창작활동을 방해하거나 지시·간섭하는 행위 4. 계약과정에서 알게 된 예술인의 정보를 부당하게 이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이며, 레진은 이 모든 금지행위를 위반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작가의 예술창작활동이나 정당한 이익을 해친 레진의 불공정행위에 대해 계약서의 변경을 비롯해, 항목별 시정조치를 명령해야 한다. 레진의 불공정행위가 소통의 부족과, 내부 프로세스의 미흡함만으로 벌어졌다고 하기엔 이미 '블랙리스트'와 '강성작가'로 분류된 작가들의 상처가 너무나도 크다. 불공정 행위에 대한 인정과 사과없이 MG인상이나 일부 정책 수정과 같은 눈가리기식 보도자료 배포로 작가들의 성토가 묻혀서는 안 될 일이다.

(사)한국만화가협회와 한국웹툰작가협회는 레진이 그동안 작가들에게 벌인 불공정행위에 대해 분노하며, 레진 대표의 공개적인 사과를 요구한다.

협회는 향후 웹툰 작가들이 공정한 계약으로 창작에 전념하고, 정당한 수익과 권리를 갖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며, 이 싸움은 레진에 문제제기한 작가들만이 아니라 공정·상생의 웹툰 생태계를 바라는 협회원 모두의 싸움임을 밝힌다.

2018년 1월 20일

(사)한국만화가협회 / 한국웹툰작가협회

위 성명서에서 만협·웹협은 레진코믹스의 불공정행위를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1. 우월적 지위를 이용하여 불공정한 조건의 계약
  2. 적장한 수익 배분의 거부, 지연, 제한
  3. 부당하게 창작활동을 방해하거나, 지시, 간섭하는 행위
  4. 작가의 정보를 작가와 합의 없이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는 행위

만협·웹협이 인용한 '예술인복지법 제6조2'는 다음과 같다. 만협·웹협은 레진코믹스가 이 금지행위를 모두 위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제6조의2(금지행위 등) ① 예술 창작ㆍ실연ㆍ기술지원 등의 용역에 관한 기획ㆍ제작ㆍ유통업에 종사하는 자로서 예술인과 계약을 체결하는 자(이하 이 조에서 "문화예술기획업자등"이라 한다)는 예술인의 자유로운 예술창작활동 또는 정당한 이익을 해치거나 해칠 우려가 있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이하 이 조에서 "금지행위"라 한다)를 하거나 제3자로 하여금 이를 하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

1. 우월적인 지위를 이용하여 예술인에게 불공정한 계약 조건을 강요하는 행위

2. 예술인에게 적정한 수익배분을 거부ㆍ지연ㆍ제한하는 행위

3. 부당하게 예술인의 예술창작활동을 방해하거나 지시ㆍ간섭하는 행위

4. 계약과정에서 알게 된 예술인의 정보를 부당하게 이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②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문화예술기획업자등이 금지행위를 한 경우 금지행위의 중지, 계약조항의 삭제 또는 변경, 금지행위로 인하여 시정조치를 명령받은 사실의 공표, 그 밖에 시정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다.

③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문화예술기획업자등의 행위가 제1항제1호에 해당할 경우 공정거래위원회에 그 사실을 통보하여야 한다.

④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금지행위의 위반 여부에 관한 사실관계의 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문화예술기획업자등에게 관련된 자료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자료의 제출을 요구받은 자는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이에 따라야 한다.

⑤ 금지행위의 세부적인 유형 및 기준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예술인 복지법, 국가법령정보센터 (2013.12.30. 일부개정, 2014.03.31. 시행. 2018.01.20. 확인)

만협·웹협은 레진코믹스의 불공정행위에 분노하며, 레진엔터테인먼트 한희성 대표("레진님")의 공개적인 사과를 요구했다. 또한 이 사태는 레진코믹스에 문제제기한 작가 뿐만 아니라 공정·상생의 웹툰 생태계를 바라는 협회원 모두의 싸움이라고 밝혔다.

성상민 평론가는 예술인 복지법의 과태료가 500만 원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앞으로 언론과 여론을 향한 협회의 엄밀한 움직임을 주문했다.[111]

2018년 1월 23일, 한국만화가협회는 레진엔터테인먼트 전현직 임직원의 제보를 받는다고 밝혔다. 제보자 신분은 노출되지 않으며 제보 내용 역시 동의 없이 공개되지 않는다. [112]

한국과학소설작가연대 성명서

한국 SF작가 모임인 한국과학소설작가연대는 2018년 1월 25일 피해 작가들과 연대한다는 성명서를 발표했다.[113] 한국과학소설작가연대는 해당 사태를 '창작자의 인권 문제'로 판단하고 창작자들을 지지하며 연대한다고 밝혔다.

문화체육관광부 '예술인 불공정행위 신고상담센터' 1호 신고 접수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예술인의 공정 활동과 기회 보장을 위해 '예술인 불공정행위 신고상담센터'와 '콘텐츠 공정상생센터'를 이원화해 불공정행위 제보를 받고 문체부가 직접 대응하기로 하였다. 레진코믹스 불공정행위 사태는 신고상담센터 '1호 신고'로 접수되었다. [114]

한국만화가협회·한국웹툰작가협회 연대 성명서

2018년 1월 30일, 레진코믹스가 작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자(레진엔터테인먼트의 작가 상대 소송 제기 단락 참조) 한국만화가협회와 한국웹툰작가협회는 피해 작가와 연대를 공식적으로 선언했다. 두 협회는 성명서에서 한국 만화의 투쟁사를 언급하며 레진코믹스 불공정행위 사태는 단순한 '노사' 갈등이 아닌, 한국 만화 역사에 기록될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임을 암시했다. 또한 제목을 통해 레진엔터테인먼트를 "작가의 입에 재갈을 물리고, 그림 그리는 손을 꺾는 자"라고 지목했다. 다음은 성명서 전문 인용이다(오타 등 그대로 인용). [115]

우리는 작가의 입에 재갈을 물리고,

그림 그리는 손을 꺾는 자들과 끝까지 싸울 것이다.

레진 엔터테인먼트(이하 레진)가 불공정 행위를 용기 있게 공론장으로 끌어낸 두 작가에 대해 대형 법무 법인을 소송대리인으로 선임하여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소장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두 작가의 작품도 사전 통보나 작가와 합의 없이 무단 연재 중단시켰다.

레진은 “허위 사실 적시와 그로 인한 확산으로 인해 회사는 물론 레진코믹스에 작품을 연재 중인 다른 대다수의 작가에게도 피해가 커질 수 있다”고 밝혔다. (사)한국만화가협회와 웹툰작가협회(이하 협회)는 묻는다. 레진 측도 인정한 정산누락, 전형적인 불공정 계약인 지각비, 보도로 확인된 블랙리스트까지 어느 사례가 허위 사실 적시에 해당하는가? 작가를 고발해 입을 막고, 작품 연재를 중단시켜 생계를 곤란하게 하고, 두 작가와 다른 작가의 사이를 이간질하는 구세대의 작태를 반복하는 레진의 행태에 분노한다. 그동안 레진 블랙리스트를 처음 거론하고, 제보를 수집하고, 성명서를 발표한 협회도 고소하라!

우리 협회는 두 작가와 계속 소통하고 있으며, 협회 자문 변호사들과 레진의 고소 건에 적절하게 대처할 것이며,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다. 두 작가가 이 소송을 개인으로만 담당하게 하지 않을 것이며, 우리 협회는 할 수 있는 모든 협력을 다 할 것이다.

우리 협회 회원 모두는 협회가 그동안 싸워온 투쟁의 역사를 기억한다. 우리는 작가의 입에 재갈을 물리고, 그림 그리는 손을 꺾는 자들과 끝까지 싸울 것이다.

2018년 1월 30일

(사)한국만화가협회,한국웹툰작가협회

게임개발자연대 성명서

2018년 1월 31일, 게임개발자연대는 성명서를 통해 레진코믹스 불공정행위 피해 작가와 연대를 선언했다.[116] 게임개발자연대는 웹툰·웹출판(웹소설)은 '게임과 멀지만 가까운 콘텐츠'이며, 프리랜서 창작자들이 법의 사각지대에서 피해와 많은 오해를 받는다고 지적했다. 불공정한 계약, 블랙리스트, 고소 등 레진코믹스의 행동이 "을이 갑에게 흔히 당하는 일"이라 표현하며, 겉으로는 '작가주의'를 내세운 레진의 행보를 비판했다.

2차 청와대 청원

2018년 2월 1일, 청와대 국민청원 사이트에 레진코믹스 관련 청원이 다시 올라왔다. 해당 청원은 세무조사를 요구했던 1차 청원과 달리 레진코믹스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를 요구하는 청원이다. [117]2018년 3월 3일, 16,341명 참여로 마감됐다.

한국만화가협회 소송 후원금 모금 조기 종료

2018년 2월 1일, 한국만화가협회는 레진코믹스 불공정행위 사태 및 레진코믹스의 법적 행동에 대해 후원금 계좌를 열었다. 19시 42분 시작된 모금은 "예상보다 많은 금액이 모금"되는 바람에 모금 개시 약 2시간만인 22시에 종료되었다. 한국만화가협회는 "약 2천만 원이 모금되었"다고 밝혔다. 이후 액수와 인원수를 공개했는데 무려 100만원을 후원한 독자가 6명이나 있었다.[118]

레진코믹스 규탄 2차 시위

※출처: 레진 불공정 규탄연대, 유튜브, 2018.02.05.

레진코믹스 사옥 앞에서 열린 두 번째 시위. 레진코믹스가 미치·은송 작가의 작품을 무단 서비스 종료일로 예고한 2018년 2월 6일에 진행했다(미치·은송 작가 작품 무단 서비스 종료 단락 참조).[119] 이날 시위에는 약 200여 명이 참여했다.[120] [121] 참여 연대자들은 "개인을 겁박하기 위한 소송은 당장 취소할 것", "블랙리스트의 운용을 인정하고 사과할 것", "계약의 불공정 조항을 모두 삭제하고 수정할 것", "작가에 대한 가스라이팅"을 멈추고 제대로 된 소통을 할 것", "공개 간담회를 열어 조건들을 수용할 것을 명백히 할 것"을 주장했다. 레진코믹스 측은 이에 대해 이코노믹리뷰 측 질문에 소송을 핑계로 답변을 거부했다. [122]

관련 링크

대한출판문화협회 실태조사단 발족

2018년 2월 12일, 대한출판문화협회(이하 '출협')는 레진코믹스 불공정행위 사태에 대해 실태조사단을 발족하고 공식 입장문을 발표했다. 출협은 레진코믹스 사태가 "단순히 부도덕한 한 개별 회사의 문제인 것을 넘어 출판계 발전을 위해 절대로 묵인할 수 없는 사안"이며, 웹툰 플랫폼은 종이책 출판과 다르지만 "이를 간과해서는 출판계 전체의 건전한 출판환경을 구축해 낼 수 없다"며 연대 이유를 밝혔다. [123]

국회 기자회견

(이미지 출처: 레진 불공정행위 규탄연대)

기자회견 영상(영상 출처: news 300)

레진 불공정행위 규탄연대는 2018년 2월 13일 오후 2시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했다. 주최는 레진 불공정행위 규탄연대이며 (사)한국만화가협회, 한국웹툰작가협회,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간사 유은혜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고양 병)과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가 참석했다.[124] [125]기자회견은 이종범 한국만화가협회 이사의 진행 아래 진행됐다. 미치 작가는 레진코믹스의 고소를 "전형적인 기업의 보복성 갑질"이라고 비판했다. 윤태호 한국만화가협회 회장은 '30년 작가 생활 중 연재처가 작가를 고소한 것은 처음'이라며 '레진 사태가 웹툰 플랫폼과 작가 사이의 관계가 상징적으로 변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은혜 의원은 레진 사태를 "전형적인 갑질 행태"이며 "문화산업계의 고질적인 불공정 관행들이 웹툰산업계에도 만연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며 "국회 상임위는 물론 공정거래위원회도 관심을 갖고 바로잡을 수 있도록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126][127][128][129]레진 불공정행위 규탄연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에서 레진코믹스가 부당행위를 멈출 것과 소송 취하, 불공정 계약 수정·삭제를 요구했다. 또한 블랙리스트는 현 정권이 추구하는 상생에 반하는 인권침해 행위·창작환경 파괴 행위로 규정했다. 이날 규탄연대 기자회견문에는 한국과학소설작가연대, 게임개발자연대, 대한출판문화협회가 함께 이름을 올렸다.[130]

레진 불공정행위 규탄연대 홈페이지 개설

2018년 3월 4일, 레진 불공정행위 규탄연대(이하 '레규연')의 공식 홈페이지가 개설됐다. 홈페이지에는 활동이력, 성명문, 배포자료, 보도자료 등이 공개됐다. 같은 날 해당 홈페이지에는 연대인에 대한 감사와 연대 활동기록을 정리하는 공식 성명문이 올라왔다. 레규연은 앞으로도 창작자에 대한 불공정한 처우, 착취·폭력을 근절하기 위해 싸우겠다고 밝혔다.[131]

연대 휴재·연재 중단

몇몇 작가들은 레진코믹스 측의 불공정행위에 대한 항의의 뜻으로 연대 차원에서 휴재 또는 연재 중단을 선언했다. 연재 중단은 "본인의 피해를 감수하고 작가로서 플랫폼에 취할 수 있는 유일한 강제 수단"이다. [132] 작가들이 공개한 공지에는 레진 측의 불공정행위를 규탄하는 내용이 들어갔으나, 레진 측은 실제로 업로드된 공지에서 이와 관련된 내용을 삭제하거나 수정하고 있어 연재만화만 보고 관련 소식을 모르는 독자들에게는 휴재 이유를 알 수 없게 하고 있다.

(※ 휴재 시기 순 정렬)

  • <어니언 도쿄>, 완두: 무기한 휴재 후 연재 중단[133][134]
  • <What does the fox say?>, 팀 가지: 휴재 후 연재 중단[135][136]
  • <새디스틱 뷰티>, 우연희·이금산: 휴재 후 연재 중단[137][138][139]
  • <돌핀 요정>, 스톤헨지: 휴재 후 연재 중단[140]
  • <온 어 리시>, 야지: 장기 휴재[141]
  • <사랑의 기원>, 산사: 연재 중단.[142] 자세한 내용은 상단의 '레진 라이브 성폭력·2차가해 사건' 단락 참조.

공정위에 적발된 불공정약관

2018년 3월 27일,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는 레진엔터테인먼트를 포함한 26개 웹툰 서비스 업체의 계약서를 심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공정위가 적발한 레진엔터테인먼트의 불공정 약관은 다음과 같다. [143]

  • 콘텐츠의 2차적 저작물에 대한 무단 사용 조항
  • 최고 절차없는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계약해지 조항
  • 고객의 소제기 등 권리행사를 제한하는 조항
  • 부당한 지자체상금 부담 조항('지각비' 논란 단락 참조)
  • 장래에 발생될 내용까지 무한정 계약 내용으로 포함하는 조항

공정위 앞 기자회견

2018년 11월 22일, 레진 불공정행위 규탄연대(이하 '레규연')·청년참여연대·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는 공정거래위원회 서울사무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 기자회견에서 레규연 측은 한희성 레진엔터테인먼트 의장의 미성년자 저작권 편취 사건(미성년자 작가에게 선정적 장면 강요 및 원작자 주장 논란 문단 참조)에 대해 규탄하고 공정위의 철저한 조사와 강력한 처벌을 촉구했다. 또한 드림팩토리 측이 <구르메따라> 원작자의 저작권을 편취하고 함부로 상표권 등을 등록한 사건에 대해서도 연대했다. [144]

가짜뉴스·여론조작

클로저스 티나 성우 교체 논란 당시 김자연 성우·연대자에 대한 사이버불링(괴롭힘)를 주도했던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가짜뉴스가 돌고 있다. 또한 레진코믹스 측에서 작가들에 대한 악의적인 허위사실을 유포한 사실도 확인된 바 있다.  [145]

'작가들이 독자를 개돼지 취급하고 비하했다'

클로저스 티나 성우 교체 논란 당시 사이버불링을 주도했던 커뮤니티와 사람들이 일부 작가에게도 괴롭힘을 하던 때가 있었다. 이들이 먼저 작가들을 괴롭혔던 것은 편집하고, 작가들이 거칠게 또는 예민하게 반응했던 것들만 모아두어 '작가가 독자를 개돼지 취급하고 비하했다'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146]실제로 '개돼지'라는 단어는 등장한 바 없다.

이에 대해 은송·미치 작가 등은 허위사실 유포 등에 대한 법적 대응을 준비중이며 PDF 제보를 받는다고 밝혔다. [147][148]

'작가들이 같이 밥을 먹어주지 않았다'

시위 다음날인 2018년 1월 12일 디시인사이드 웹툰 갤러리 등에서 퍼지고 있는 주장. 작가들이 시위를 끝나고 독자들과 같이 밥을 먹어주지 않았다는 내용이다. 원문은 삭제되었으나 캡처, 구글 검색 결과, 다른 게시글 등에 내용이 남아있다. [149][150][151]

해당 게시글의 논리대로라면 문재인 대통령은 임기 내내 2016-2017년 촛불 시위에 참석한 사람들과 같이 식사를 해야한다.

'작가가 다른 직업을 비하했다'

새별숯 작가가 다른 직업을 비하했다는 주장. 새별숯 작가의 해당 트윗은 '만화가나 직장인이나 노동 강도는 비슷하다'는 주장에 대해 국세청 기준경비를 예시로 들며 고된 만화 작업에 대해 설명하는 내용이다.[152] 그러나 일부에서 이 내용을 '작가가 다른 직업을 비하했다'는 식으로 '적극적 오독'을 하면서 가짜뉴스가 만들어졌다.[153]

나무위키 운영사의 문서·토론 개입

나무위키에는 이 사태를 '레진코믹스 작가 부당 대우 논란' 문서에 정리하고 있다. 남초 커뮤니티의 여론을 적극 반영하고 있는 이 문서에 작가측의 주장은 '반달'이나 '여론 조작' 등으로 치부되고 있어 이를 수정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그러나 2018년 1월 25일, 나무위키 운영사가 직접 개입하여 "소수 여초 성향의 커뮤니티를 제외한 대다수의 커뮤니티들은 독자/팬덤을 대표할 수 있다"며 해당 토론을 강제 종료시키고 문서 수정을 금지했다. [154]해당 관리자 계정은 나무위키 사측이 직접 운영하는 것으로 나무위키 사측이 직접 토론과 문서이나 여론 등에 개입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해당 토론을 지켜보던 와일드카드 전 대표 김윤상은 "황당한 결론"이라고 평했다.[155] [156]이규호 씨는 '국내 실정법을 회피하기 위해 해외 법인으로 운영되는 나무위키가 여론 조정을 시도한다'며 '무자격 언론사'나 다름없다고 지적했다.[157] 임주연 작가는 나무위키가 "여성들이 많이 결제하는 여성 작가들의 작품의 '독자'를, 여초 커뮤니티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제외하고 정의"했다며 비판했다.[158]

2차 시위 관련 가짜뉴스

2018년 2월 6일 2차 시위 도중 디시인사이드 웹툰 갤러리[159]를 시작으로 루리웹 [160] 등 남초 커뮤니티에서 퍼진 음해성 가짜뉴스. 시위 참여자들이 사진을 찍지 못하게 해 언론보도가 나오지 않았다거나, 음식을 흘렸다는 등 시위참여자를 '김치녀'로 비하하는 내용이다.

이화여대 미래라이프대학 설립반대 사건이나 낙태 반대 시위처럼 여성이 많이 참여하는 시위의 경우, 참여자들은 일간베스트나 디시인사이드, 루리웹 같은 남초 커뮤니티에서 주도하는 여성혐오, 성희롱, 2차가해에 쉽게 노출된다. 이를 막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는 등 얼굴이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데 그럴 경우에는 이번처럼 '언론플레이를 못한다'고 비난하는 패턴을 꺼내든다.

또한 참석자들은 시위 후 뒷정리에도 만전을 기했다. 이번 시위에도 시위 참석자들은 청소 인증샷을 올리거나[161] 화장실을 깨끗하게 이용했다는 인증샷을 시간 단위로 올리기도 하였다.[162] 시위 후 비담 작가는 '모 방송사가 다녀갔다'[163] , '국회 기자회견이 잡혔다'고 밝혔다. [164]

레진코믹스 한희성 대표의 공식 사과

(180712 레규연 협상 보고 영상, 유튜브)

2017년 7월 12일, 레진코믹스는 공식 네이버 블로그를 통해 레진 불공정행위 규탄연대(이하 '레규연')와 합의를 보았다고 밝혔다. 한희성 대표이사 명의로 발표된 '레진과 레진작가연대, 상생안 합의'라는 글이다. 이 글에서 레진 측은 한 대표 명의로 불공정행위 사태에 대해 공식 사과했다. 레진 측은 ① 미치·은송 작가에 대한 소송 취하, ② 레규연의 문화부·공정위 등에 대한 민원 취하, ③ 지체상금(지각비) 반환, ④ 레규연과 상호발전 약속 등을 합의했다고 밝혔다.

같은 날 레규연 측에서는 공식 입장문을 통해 ① 한 대표의 공식 사과, ② 미치·은송 작가에 대한 소송 취하, ③ 프로모션 공정화와 운영시스템 개선, ④ 지체상금 피해작가 전원에게 지각비 전액(3억 4천여만 원)과 지연이자 6% 반환, ⑤ 계약서의 일부 불공정한 독소조항 수정, ⑥ 간담회 준비 확답을 거두었다고 밝혔다("레진의 사과에 대한 연대의 공식 입장문").

링크

유사 사건

  1. http://cartoon.or.kr/board/bbs/board.php?bo_table=notice&wr_id=848&page=0&sca=&sfl=&stx=&sst=&sod=&spt=0&page=0.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2. http://www.huffingtonpost.kr/news/articleView.html?entry=7925152.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3. “레진코믹스 “청와대 국민청원 글, 사실 아니다””. 2017년 12월 8일.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4. “조인스프라임 종료 안내”.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5. 홍지인 (2017년 8월 17일). “[게시판] 레진엔터, 제이에스픽쳐스와 드라마 제작 MOU”.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6. “`품위녀` 제이에스픽쳐스-레진코믹스 MOU `웹툰·웹소설 드라마로`”. 2017년 8월 17일.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7. “권한이 없습니다.”.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8. “레진 웹소설 사업 철수에… 작가들 ‘납득 불가’”.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9. “[단독] ‘웹소설 일방종료’ 레진, ‘30분짜리’ 간담회 개최 논란”. 2018년 9월 13일.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10. “https://twitter.com/killa_warehouse/status/910616398367301632”.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1. “https://twitter.com/donangsun/status/910643995130290176”.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2. “https://twitter.com/lezhincomics/status/910514966741917696”.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3. “https://twitter.com/bidam0229/status/936641762533130240”.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4. “https://twitter.com/s1212778r_novel/status/910580122171826176”.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5. “https://twitter.com/yousowol/status/910633142234398720”.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6. “https://twitter.com/mujica_omg/status/910649083487961088”.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7. “https://twitter.com/creative_2017/status/911097798065393664”.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8. “https://twitter.com/hatershatesarea/status/910641785679994880”.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9. “Facebook에 로그인”.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20. “Facebook에 로그인”.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21. “레진│① 지각비가 무엇이길래”. 2017년 10월 10일.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22. “지각비로 드러난 레진코믹스의 민낯”. 2017년 12월 18일.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23. “회색 : 네이버 블로그”.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24. “https://twitter.com/kkuu614/status/943461342492495872”.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25. “https://twitter.com/kkuu614/status/943469929767907328”.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26. http://m.sisain.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30835.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27. “로그인 또는 가입하여 보기”.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28. “Facebook에 로그인”.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29. 이대희. “마감 늦으면 벌금에 2차 저작물 무단 사용까지…'웹툰 갑질'.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30. http://www.cartoon.or.kr/board/bbs/board.php?bo_table=notice&wr_id=1107&act=menu2.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31. “회색 : 네이버 블로그”.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32. “https://twitter.com/tkfejr/status/950966520745664512”.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33. “https://twitter.com/yousowol/status/938050908914462726”.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34. http://www.cartoon.or.kr/board/bbs/board.php?bo_table=notice&wr_id=819&act=menu2.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35. '블랙리스트' 의혹까지, 레진코믹스 갑질 논란 진실공방”. 2017년 12월 16일.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36. “https://twitter.com/tkfejr/status/951432880328130561”.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37. “https://twitter.com/mi_chii_/status/951422463849594881”.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38. “https://twitter.com/daduregi_mir/status/951429953953742848”.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39. http://newst.railnews.co.kr/?p=10863.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40. “레진코믹스 작가들은 왜 1인 시위에 나섰나 [더(The)친절한 기자들]”. 2018년 1월 18일.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41. “https://twitter.com/cwebtoonista/status/944146561369382913”.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42. “나는 어떻게 '웹툰 블랙리스트 작가'가 되었나”. 2018년 1월 12일.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43. 이세인. “레진코믹스 해외정산 이슈에 대해 공식 입장 공개 - '작품(작가)별 지급 완료하였으며, 문의에 응대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44. “https://twitter.com/tkfejr/status/953264934820896768”.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45. “레진코믹스 작가들은 왜 1인 시위에 나섰나 [더(The)친절한 기자들]”. 2018년 1월 18일.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46. “https://twitter.com/kimon_bud/status/953276330291822592”.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47. “https://twitter.com/tkfejr/status/953261420694532096”.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48. “https://twitter.com/killa_warehouse/status/953304495450042368”.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49. “https://twitter.com/tkfejr/status/953270273549131776”.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50. “https://twitter.com/mi_chii_/status/953268208542171137”.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51. “https://twitter.com/t_tvert/status/953294843521900544”.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52. “Facebook에 로그인”.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53. “https://twitter.com/creative_2017/status/953828268766982144”.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54. “https://twitter.com/mingoos2/status/953825943193239553”.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55. “레진코믹스 작가들은 왜 1인 시위에 나섰나 [더(The)친절한 기자들]”. 2018년 1월 18일.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56. “https://twitter.com/bidam0229/status/953839341725351936”.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57. “https://twitter.com/killa_warehouse/status/953829919020146688”.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58. “레진코믹스 '강성 작가' 대응 문건 "도 넘으면 소송 고려". 2018년 1월 18일.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59. “레진코믹스 '강성 작가' 대응 문건 "도 넘으면 소송 고려". 2018년 1월 18일.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60. “https://twitter.com/nighthawkebony/status/953891549984653313”.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61. “https://twitter.com/nighthawkebony/status/954279698611126272”.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62. “https://twitter.com/nighthawkebony/status/954384878094581760”.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63. “https://twitter.com/nighthawkebony/status/954324625600598021”.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64. “https://twitter.com/killa_warehouse/status/953894088591360000”.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65. “https://twitter.com/tirano_kim/status/953887218560516101”.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66. 홍지인 (2018년 1월 19일). “레진코믹스, '웹툰 마감 지각 벌금' 폐지·최저 고료 인상”.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67. “https://twitter.com/2eseo/status/954258385087508480”.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68. “https://twitter.com/whiteeared/status/954273464306712576”.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69. “https://twitter.com/refou00/status/954160754881474560”.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70. “https://twitter.com/creative_2017/status/954230478927622144”.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71. '레진코믹스 사태', 기자 밥값은 아쉽지 않네”. 2018년 1월 29일.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72. “https://twitter.com/daduregi_mir/status/957890967016636417”.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73. “https://twitter.com/killa_warehouse/status/957893510098644997”.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74. “https://twitter.com/kimon_bud/status/957893117159485440”.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75. 《고객지원 - 레진코믹스》. 
  76. “https://twitter.com/yeokbo/status/958262675326173184”.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77. “https://twitter.com/tkfejr/status/958265580485619712”.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78. “https://twitter.com/mi_chii_/status/958265806797746176”.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79. https://www.webtoonguide.com/board/news04_generalnews/5380.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80. “https://twitter.com/mi_chii_/status/958268556189171712”.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81. http://cartoon.or.kr/board/bbs/board.php?bo_table=notice&wr_id=848&page=0&sca=&sfl=&stx=&sst=&sod=&spt=0&page=0.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82. http://archive.is/57asr.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83. “https://twitter.com/lifedefrager/status/959449101979893760”.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84. “https://twitter.com/cn0900/status/959450815869067264”.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85. “https://twitter.com/ryservant/status/959492627568578564”.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86. “https://twitter.com/ryservant/status/959492061001953283”.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87. http://wiizm.kr/Forum/Content/4756.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88. “https://twitter.com/1s2m3h4d/status/973240990688423936”.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89. “https://twitter.com/__sansa34/status/977209613400420353”.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90. “산사블로그 : 네이버 블로그”.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91. https://web.archive.org/web/20180324165835/https:/twitter.com/shotalo84/status/977527411372781568.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92. http://archive.is/fPBHk.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93. http://blog.lezhin.com/221236559856.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94. http://blog.lezhin.com/221236563233.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95. “https://twitter.com/daily_dott/status/977541001802792961”.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96. “레진 라이브 관련 건”.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97. “https://twitter.com/__sansa34/status/977554913759657987”.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98. “https://twitter.com/__sansa34/status/978982842574168064”.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99. “https://twitter.com/pbnms_/status/979020850862047232”.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00. "제 계약서 좀 봐주세요" 게시판에 올리는 프리랜서들”. 2018년 9월 13일.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101. “https://twitter.com/pito_sh/status/1040156302398251008”.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02. http://www.huffingtonpost.kr/2017/12/08/story_n_18757340.html.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103. 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60721.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104. “레진코믹스 “청와대 국민청원 글, 사실 아니다””. 2017년 12월 8일.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105. “Facebook에 로그인”.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106. “Facebook에 로그인”.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107. “https://twitter.com/cwebtoonista/status/943140699976826880”.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08. “https://twitter.com/golden_pumpkin/status/951288224818675712”.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09. http://cartoon.or.kr/board/bbs/board.php?bo_table=notice&wr_id=836&page=0&sca=&sfl=&stx=&sst=&sod=&spt=0&page=0&ckattempt=1.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110. “https://twitter.com/korcartoonistsa/status/954707404402278405”.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11. “https://twitter.com/skyjets_/status/954656345231302656”.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12. http://www.cartoon.or.kr/board/bbs/board.php?bo_table=notice&wr_id=845&act=menu2.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113. “한국과학소설작가연대 성명서 발표 : 한국과학소설작가연대 SFWUK”. 2018년 1월 25일.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114.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0130006005&wlog_tag3=naver.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115. http://cartoon.or.kr/board/bbs/board.php?bo_table=notice&wr_id=848&page=0&sca=&sfl=&stx=&sst=&sod=&spt=0&page=0.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116. “Facebook에 로그인”.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117. 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124083.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118. http://cartoon.or.kr/board/bbs/board.php?bo_table=notice&wr_id=909&act=menu2.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119. “https://twitter.com/mi_chii_/status/958607469671997440”.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20. 남혜현 (2018년 2월 7일). “레진코믹스가 작가에게 보낸 고소장 봤더니”.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121. “[109회] 레진은 왜 웹툰작가들과 싸우는가 2/2 : 칼세이건 회의 sponsored by 박지숙”.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122. “가스라이팅까지? 레진코믹스에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나”. 2018년 2월 6일.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123. http://member.sibf.or.kr/kpa_bbs/%EC%B6%9C%ED%98%91-%EB%A0%88%EC%A7%84%EC%BD%94%EB%AF%B9%EC%8A%A4-%EC%82%AC%ED%83%9C-%EA%B4%80%EB%A0%A8-%EC%8B%A4%ED%83%9C%EC%A1%B0%EC%82%AC%EB%8B%A8-%EB%B0%9C%EC%A1%B1-2/.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124. https://www.webtoonguide.com/board/news04_generalnews/5409?page=4.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125. “[109회] 레진은 왜 웹툰작가들과 싸우는가 2/2 : 칼세이건 회의 sponsored by 박지숙”.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126. 진주원 여성신문 기자 (2018년 2월 13일). ““레진코믹스 작가 죽이기 중단하라””. 《여성신문》.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127. “레진 불공정행위 규탄연대 "레진코믹스, 작가들에 대한 '갑질' 멈춰라". 2018년 2월 13일.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128. 기자, 김상훈 (2018년 2월 13일). “[포토] 유은혜 의원, "불공정행위 만연, 놀랍고 충격".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129. “기자회견 갖는 웹툰 작가들”. 2018년 2월 13일.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130. 이세인. “레진 불공정행위 규탄연대 "'작가주의' 버리고 '작가죽이기'를 일삼는 레진코믹스를 규탄" 내용의 기자회견 국회에서 진행”.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131. “성명문 2018.03.04”.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132. “https://twitter.com/creator_union/status/944489053323276289”.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33. “https://twitter.com/wandootoon/status/955720964968407040”.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34. “https://twitter.com/wandootoon/status/974511554363252736”.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35. “https://twitter.com/alggumba/status/958324491259555841”.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36. “https://twitter.com/gaji0712/status/961088256833150977”.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37. “https://twitter.com/yeonhuiwoo/status/944211806569897984”.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38. “https://twitter.com/yeonhuiwoo/status/971327834114359296”.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39. “https://twitter.com/yeonhuiwoo/status/973214551717003264”.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40. http://wiizm.kr/Forum/Content/4756.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141. “https://twitter.com/agi_mung/status/960521269987848192”.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42. “https://twitter.com/__sansa34/status/976814619753824256”.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43. “Sorry Page”.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144. “창작자들, "문화산업 발전했지만 저작권 편취 사례 급증" 호소”. 2018년 11월 22일.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145. “https://twitter.com/cwebtoonista/status/943140699976826880”.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46. “https://twitter.com/tkfejr/status/952068336589795329”.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47. “https://twitter.com/tkfejr/status/952074581572927488”.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48. “https://twitter.com/mi_chii_/status/952010825375522816”.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49. “리디렉션 알림”.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150. "시위 끝나고 독자들은 걍 먹버네" - Google 검색”.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151. “https://twitter.com/cobb333/status/951675050460983296”.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52. “https://twitter.com/birdstarcoal/status/951488700768165888”.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53. “https://twitter.com/anipsa_echo/status/951689996058046464”.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54. https://namu.wiki/thread/WsnTp9u45wyKS7PLUwk8M7#588.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155. “https://twitter.com/lifedefrager/status/954954640885391360”.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56. “https://twitter.com/lifedefrager/status/956410027211829248”.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57. “https://twitter.com/leegyuho/status/956435795220377601”.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58. “https://twitter.com/bluesnake33/status/956415238047346688”.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59. http://archive.is/xyXze.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160. http://archive.is/QVWCK.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161. “https://twitter.com/golden_pumpkin/status/960770231621730306”.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62. “https://twitter.com/refou00/status/960767268111106048”.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63. “https://twitter.com/bidam0229/status/960906432538337281”.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64. “https://twitter.com/bidam0229/status/960910992615108610”. 202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