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This page was last edited on 2 June 2023, at 20:18.
(Redirected from 한국어권)

한국어 또는 조선어(조선말)는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옌볜 조선족 자치구에서 공용어로 지정한 언어이다. 문자로는 주로 한글을 사용하지만 경우에 따라 한자를 혼용하거나 다른 문자로 표기할 때도 있다. 한반도와 세계 곳곳의 한민족이 사용하며 그 수는 7720만 명 정도로 추산되는데, 이는 사용인구수를 기준으로 세계 10위대 초반이다.

계통

20세기에는 우랄알타이어족으로 보는 시각이 대다수였으나 해당 가설이 폐기된 이후로 한일어족, 중국티베트어족, 인도유럽어족, 극동아시아어족 등의 설이 있었지만 현재는 다른 언어와의 뚜렷한 연관성을 찾지 못해 고립어로 취급하거나 제주어와 함께 한국어족으로 보기도 한다.

특징

고효율

한자어의 사용

공식 문자 체계로 표음문자한글을 사용하지만, 사전 등재 어휘의 과반은 표의문자한자에서 기원한 한자어로 이뤄져 있고 실제로 자주 사용하는 어휘 중에서는 약 30퍼센트 이상이 한자어이다. 이로 인해 한국어는 읽고 쓰는 데에 있어 극강의 효율을 자랑하는데, 표음문자인 한글의 장점과 표의문자인 한자의 장점은 가져오고 한자의 단점은 버렸기 때문이다.

사실 어떤 두 언어가 한국어와 한자 사이와 같은 관계를 가지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다. 로망스어군 언어들은 같은 어군 내 다른 언어권의 어휘들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사용하지만, 문자 체계가 로마자로 같고 발음도 어느 정도 비슷하기 때문에, 외래어를 들여온다 해도 표기만 원어대로 하고 읽는 방식만 자기네 언어로 읽거나,[주 1] 읽기도 쓰기도 원어대로 한다.[주 2] 그러나 한국어는 한자의 뜻을 가져오되 그 음은 아예 다른 경우가 많은데다, 한자와 한글은 같은 어군이나 어파 내의 문자가 아니고 아예 다른 문자 체계이다. 또한 지구상에 남은 표의 문자는 사실상 한자뿐이기에, 표의문자의 문자를 표음문자로 옮겨 단어의 50%가 넘게 주요 어휘로 활용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언어 활용법은 한국어만이 유일하다고 볼 수 있다. 영어로 비유하자면 한자 求[주 3]에 'ro'라는 발음을 붙이고, 愛[주 4]에 'thoo'라는 이름을 붙여서 'to try to win somebody's love(구애)'를 'rothoo(求愛)'라고 표기하는 셈으로, 이렇게 생각해 보면 상당히 특이한 언어사용형태인 것이다.

한국어가 한자어를 통해 취한 표의문자의 장점은
  • 문자 하나마다 뜻이 존재하므로 글을 적을 때 지면을 적게 차지한다.
  • 문자 하나마다 뜻이 존재하므로 의미 전달이 빠르다.
한국어가 한글을 통해 버린 표의문자의 단점은
  • 쓰는 데에 오래 걸린다. - 한글은 자모음을 초, 중, 종성으로 조합해 사용하므로 글을 적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짧다.
  • 가독성이 떨어진다. - 한글은 자모음의 개수가 적고 글자를 모아적기하므로 가독성이 높다.
  • 문자 하나마다 뜻과 음운법이 존재하므로 지면을 적게 차지하는 것에 비해 실제로 읽고 발음할 때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 한글은 한자 한 글자를 한 음절로 표현해주기에 적은 문장의 길이가 곧 읽는 문장의 길이이다.

예를 들어, "한국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에는 단어 '표음문자'의 수어 발화법이 게시되어 있다."를 영어와 중국어 간체로 적으면 이렇게 된다.

  • The website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shows how to say the word 'syllable letter' in sign language.
    • 26개의 문자만을 사용하기에 쓰기 편하다.
    • 문자들을 펼쳐 쓰기 때문에 지면을 많이 사용하고 한 단어의 길이가 길다. 또한 펼쳐쓴 앞뒤의 문자들이 합쳐져 하나의 음절을 생성하므로 글이 다음 줄로 넘어갈 때 단어를 자르면 읽을 수 없기에[주 5] 지면을 더욱 더 차지하게 된다.
    • '한국 국립국어원'을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으로 말해야 하고 '수어 발화법'을 'how to say the word 'syllable letter' in sign language'으로 말해야 하는 등, 한자어와는 달리 단어마다의 관계를 직접 전치사로 이어주어야 하므로 문장이 길다.
  • 国立韩国语学院的网站显示了如何用手语说“音节字母”一词。
    • 지면을 매우 짧게 차지해 효율적이다.
    • 문장 작성 시 글자 하나를 적는 데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현대에 와서 로마자와 연동된 자판으로 빠른 입력이 가능해졌으나 로마자로 발음을 검색하고 그 중에서 원하는 글자를 골라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여전히 표음문자보다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중국어를 적는 것이 가능한 자판을 만들기 위해서는 상용 한자 수만 개의 데이터를 내장해야 한다.

\

한글

한국어의 효율성을 가능하게 하는 한글이라는 문자 체계는 인류가 문자를 쓰기 시작한 후 오랜 기간이 지난 뒤에 기존 문자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창제된 문자이기에 탄생부터 효율성을 추구할 수 있다는 이점, 중국어라는 유서 깊은 문자 체계를 레퍼런스 삼아 장단점을 분석할 수 있었다는 이점을 지니고 있었다. 기원전 15세기경 이전부터 갑골문자로 등장해 쓰이기 시작한 한자나, 기원전 7세기경 기원해 많은 수정을 거쳐 현재에 이른 로마자, 기원후 10세기경부터 쓰이기 시작한 키릴 문자는 오랜 기간 동안 기존의 문자에 필요한 요소가 더해지고 필요없는 요소가 삭제되어오면서 변형된 문자 체계이다. 따라서 기존 문자를 보완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더라도 한계가 있어 단점이 완전히 없어지지 못하고 이어져올 수밖에 없다. 반면 한글은 문자 주사용 계층이었던 귀족이 아닌 문맹계층인 평민을 겨냥한 문자 체계였기 때문에, 한글을 창제한다고 해서 기존 문자 사용 계층 중심으로 형성된 언어활동에 큰 지장이 생기지 않았고, 그렇기에 아주 새로운 문자 체계를 창제할 수 있었다.

모아적기

대표적인 표음 문자 체계인 키릴 문자로마자와는 달리 초성, 중성, 종성을 조합해 가상의 사각형 안에 넣는 모아적기로 인해 표음문자 치고 지면이 상당히 절약된다.[주 6]

존댓말

다른 문서로 이동 이 내용은 높임말 문서로 이동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존비어가 문법적으로 구현된다. 발화 상대방과의 나이, 사회적 지위, 혈연관계 등을 종합하여 자신보다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 경칭을 사용한다. 전통적인 지위관념이 약한 상황에서는 화용론이 개입하여 친소어 체계로 전용되거나 반의적으로 사용되는 모습도 보인다.

아내가 남편에게 말할 때는 존대하고 그 반대로는 그렇지 않는다는 관념이 있었으며, 특히 외화 번역에서 남편이 아내에게 하는 말은 반말, 아내가 남편에게 하는 말은 존댓말로 번역하는 경우가 흔하다. 참고로 20세기 초 부부간의 존비어 사용에서, 상위계층은 남편과 아내가 모두 서로 하오체를 사용하고 중간계층은 아내는 남편에게 하오체를 사용하나, 남편은 아내에게 하게체를 사용한다. 하위계층은 역시 아내는 남편에게 하오체를 사용하나 남편은 아내에게 해라체를 사용했다.[1]

음운변동

다른 문서로 이동 이 내용은 한국어/음운의 변동 문서로 이동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방언

다른 문서로 이동 이 내용은 한국어/방언 문서로 이동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표준어

대한민국 표준어는 대한민국의 표준어로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을 원칙으로 한다. 보통 그냥 표준어라고 부른다. 주의할 점은, 서울 사투리와 대한민국 표준어는 다르다는 것이다.

문화어

문화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표준어로 조선말대사전에 따르면 '주권을 잡은 로동계급의 당의 령도밑에 혁명의 수도를 중심지로 하고 수도의 말을 기본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로동계급의 지향과 생활감정에 맞게 혁명적으로 세련되고 아름답게 가꾸어진 언어'라고 한다.

역사

고대

중세

근대

현대

기타

  • 많은 한국인들이 한국어와 한글을 혼동하여 한국어와 한글을 모두 한글이라 부른다. 한국어를 위한 문자 체계가 한글밖에 없고, 한글을 사용하는 언어가 거의 한국어 뿐이니 헷갈릴 만도 하지만 틀린 표현이므로 고쳐야 한다.
  • 고유어의 색상 어휘가 청색, 녹색을 구별하지 않고 합쳐서 '푸르다', '파랗다' 등으로 부른다.

부연 설명

  1. 예시) 원래 프랑스어 단어인 Champagne(숌파-니)는 영어로도 Champagne으로 표기하지만 '샴페인'으로 읽는다.
  2. 예시) 영어권에서 사용되는 프랑스어 단어 cliché(클리셰)
  3. 구할 구
  4. 사랑 애
  5. 한국어는 이렇게 써
    도 무리 없이 읽지만 영어는 It is ha
    rd to read a sentence like this. 이는 네 글자 'h, a, r, d'가 모여야 비로소 하나의 음절인 '할ㄷ'가 완성되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지면 절약을 위해 'complicated'를 다음 문장에 끊어쓰려 해도 'co-
    mplicated'가 아니라 'com-
    plicated'로 끊어야 한다. 'c, o, m' 세 글자가 하나의 음절인 '컴'을 구성하기 때문이다.
  6. I love you (알라뷰), Fucking shit (뻐킹 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