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월 31일, 전북 전주시의 공사 현장에서 남성 노동자들이 여성 노동자의 일감을 빼앗으려고 타워크레인에 매달린 여성을 떨어뜨리려 물리력을 동원한 일이 발생했다.[1]
- 3월 29일, 인천 미추홀구청장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성희롱성 댓글을 달았다는 내용의 고소장이 제출돼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 3월 29일, 국민권익위원회는 성범죄자가 배달 대행업체에서 일하는 것을 금지하라 권고하였다.[2]
- 3월 26일, 무지개행동이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성소수자 정책과제에 대한 정책질의답변을 공개하였다. 소수정당 소속 또는 무소속 후보들만이 이에 답변한 사실이 밝혀졌다.[3]
- 3월 26일, 방송인 사유리가 비혼모라는 이유로 육아 예능 프로그램 '슈퍼맨이 돌아왔다' 출연을 반대하는 국민청원이 게재된 사실이 확인돼 논란이 일었다.[4]
- 3월 30일, KBS는 시대가 변하면서 다양한 가족의 형태를 관찰하는 것일 뿐이라며 논란을 일축하였다.[5]
- 3월 26일, 카드를 고르는 것을 룸살롱 여자를 고르는 것에 비유한 하나카드 사장의 발언이 폭로되었다.[6]
- 4월 6일, 이 일로 하나카드 사장이 사퇴하였다.[7]
- 3월 24일,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가 '성평등'과 '페미니즘'이란 단어를 "특정한 정당이나 후보를 떠올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선거법에 위반된다고 판단했다.[8]
- 3월 24일, 국회가 스토킹 범죄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정안을 가결했다.[9] 이는 1999년 15대 국회에서 스토킹 범죄 처벌법이 발의된 뒤 22년 만의 일이다.[9]
- 3월 20일, 성매매 피해자의 인권 보호를 위해 설치된 서울시립 다시함께상담센터에서 상담 건수는 2020년 5297건으로 2019년(3775건)에 비해 40% 증가했다고 전했다.[10]
- 3월 17일, '서울시장 위력성폭력사건 피해자와 함께 말하기' 기자회견을 열어 지난해 7월 고소 뒤 처음으로 공식 석상에서 피해자가 자신의 심경을 밝혔다. [11]
- 3월 16일, 미국 애틀랜타에서 21세 백인 남성 Robert Aaron Long이 한인 마사지샵 3곳을 돌며 총기 난사한 사건이 발생했다. 사망자 8명 중 4명이 마사지샵에서 일하는 한인 여성 이주 노동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3월 15일, 일부 남성들이 허버허버가 남성 혐오 단어라고 주장하기 시작하면서 카카오톡이 해당 단어를 이유로 제재를 가해 논란이 일었다.[12]
- 3월 5일분 네고왕2에서 동아제약편을 방송한 이후, 동아제약 입사 면접에서 성차별을 당했다는 고발이 SNS 등을 통해 퍼졌다.
동아제약
- 3월 3일, 트랜스젠더 부사관 강제 전역 사건의 변희수 하사가 복직되지 못한 채 결국 사망하였다.[13] 각계의 추모가 이어지고 녹색당, 정의당 등 소수당들이 공개적으로 애도를 표했으나 민주당, 국민의힘 등은 당으로서 공식적 입장을 표하지 않았다.[14] 국지혜 등의 TERF 집단에서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트랜스젠더에 대한 증오발언을 광주민중항쟁 모욕발언과 함께 더욱 강화하였다.
- 3월 1일, 아주대학교 정민석 교수가 자신의 아들이 자신의 도움으로 의학박사가 되었다며 트위터를 통해 자랑을 하였다. 이후 이에 대한 비판이 이어지는 와중 정 교수가 자신의 또다른 계정으로 성매매 계정들을 팔로하고 있다는 의혹이 불거졌다.[15]
출처
- ↑ 박병현 기자 (2021년 3월 31일). “[단독] 공사현장서 노동자 밟는 노동자..그 뒤엔 양대 노총”. 《JTBC》.
- ↑ 곽상은 기자 (2021년 3월 29일). “[단독] 불안한 1인 여성…"성범죄자, 배달앱 취업 제한"”. 《SBS》.
- ↑ 무지개행동_rainbowaction의 2021년 3월 26일 트윗.
- ↑ 이도영 기자 (2021년 3월 26일). “사유리 '슈돌' 출연반대 청원 등장.."비혼 출산 부추기는 방송 중단"”. 《아이뉴스24》.
- ↑ 이정현 기자 (2021년 3월 30일). “사유리 '슈돌' 출연 우려에 KBS "다양한 가족 조명"”. 《연합뉴스》.
- ↑ 서영민 기자 (2021년 3월 26일). “"카드는 룸살롱 여자 아닌 와이프"..하나카드 사장의 논리”. 《KBS》.
- ↑ 박병한 기자 (2021년 4월 6일). “신용카드를 여성에 비유 논란 하나카드 사장 사퇴”. 《YTN》.
- ↑ 오경민 기자 (2021년 3월 24일). “성평등이 언제부터 특정정당 단어였나”. 《한겨레》.
- ↑ 9.0 9.1 이하나‧진혜민 기자 (2021년 3월 24일). “22년 만에 스토킹 범죄 처벌 길 열렸다… 최대 5년 이하 징역형”. 《여성신문》.
- ↑ 하어영 기자 (2021년 3월 20일). ““우리는 마스크를 쓰지 못했다””. 《한겨레》.
- ↑ 임재우 기자 (2021년 3월 17일). “박원순 성추행 피해자 '그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들이 괴롭게 해'”. 《한겨레》. 2021년 3월 19일에 확인함.
- ↑ 김효진 기자 (2021년 3월 15일). “"언어 시대상 반영"…'허버허버' 단어 사용에 판매 종료된 카카오톡 이모티콘”. 《톱스타뉴스》.
- ↑ 군인권센터의 2021년 3월 3일 트윗.
- ↑ 조소진 기자 (2021년 3월 4일). “변희수 추모도, 차별금지법 논의도...국회는 외면했다”. 《한국일보》.
- ↑ 조경건 기자 (2021년 3월 1일). “아주대 정민석 교수, "아들 조교수됐다" 자랑하다 논란 자초”. 《부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