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5·18 민중항쟁 관련 LA 지역 활동 연표는 창립 이후 ‘5·18 민중 항쟁 기념 행사’를 주도했던 나성한국청년연합과 민족학교가 정리했다.
1980년대 활동
1980: 광주시민을 돕기 위한 헌혈운동과 함께 미적십자사 농성을 통해 광주의 진상을 널리 알림; 민주화를 촉구하는 시위가 한인타운에서 벌어짐; 5·18 민중항쟁을 계기로 남가주호남향우회가 결성됨.
1981: 5·18 민중항쟁 수배자 윤한봉 미국 망명; 박관현 열사 옥사 항의 10일 단식 농성
1982: 광주수난자돕기회 발족; 5·18 민중항쟁의 진상을 밝힌 "아! 광주여" 발간

1983: 5·18 민중항쟁을 계기로 민족학교 설립
1984: 5·18 민중항쟁을 계기로 재미한국청년연합 설립
1985: 5·18 광주의거 기념사업 및 위령탑 건립추진위원회 결성 (1986년 해체까지 총 3만 5천불 송금)

1986: 전두환 방미 규탄시위; 전두환 파쇼 만행 규탄 궐기대회; 민주통일운동탄압 저지대책위원 결성대회; 5·18광주민중항쟁혁명 6주기 위령제 및 기념 강연회 (버클리시에서 행사일을 "광주시민의 날"로 선포)

1987: 5·18 광주민중봉기 7주년 범동포 기념식 및 '분단과 5·18' 강연회
1988: 노태우 방미 규탄시위; 5·18광주민중항쟁 제 8주년 범동포대회; 대한민국 국회에서 5·18청문회 열림
1989: 5·18 민중항쟁 제 9주년 기념 남가주 동포대회
1990년대 활동
1990: 광주민중항쟁 제 10주년 기념 동포토론회; 광주민주화운동 관련자 보상 등에 대한 법률제정
1991: 5·18광주민중항쟁 제 11주년 기념 남가주 동포대회 – 기념식 및 '어머니! 당신의 아들' 영화상영회; 음악극 '청산이 소리쳐 부르거든' 공연
1992: 5월 관련 단체들과 개인들이 모여 "오월제 추진위원회"결성
1993: 13주년 기념행사 – 기념식; '광주항쟁의 역사적 의의와 올바른 해결 방안' 강연회; 5·18 기념사업추진위원회 결성; 5·18 민중항쟁의 마지막 수배자 윤한봉 선생 국내로 귀국-'민족미래연구소'를 광주에 설립
1994: 14주년 기념행사- 기념식; 5월 항쟁 정신 계승 걷기 대회; 극단 토박이 초청 '모란꽃' 공연; 대한민국 광주에서 5·18기념재단 설립
1995: 15주년 기념행사 –기념식; 5월항쟁 정신계승 걷기대회; 박문옥,오창규 초청 '광주여! 우리의 노래여!' 공연; 대한민국 검찰의 5·18불기소에 항의하는 영사관 앞 시위; 5·18특별법 제정 해외동포 서명운동 (2만여 서명 전달); 대한민국 정부 5·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 제정
1996:16주년 기념행사 – 기념식; 광주항쟁기록 비디오 '그 날이 다시 오면' 상영회; 강정구 교수 초청 강연회; 5월 항쟁 정신계승 걷기대회; 극단 토박이 초청 '금희의 오월' 공연
1997: 5·18묘역 민주나무 헌수운동 참여; 17주년 기념행사 – 기념식 및 다큐멘터리 드라마 '시민군 윤상원' 상영회; 대한민국 대법원이 전두환, 노태우 피고인에 대한 반란 및 내란죄 확정; 5·18묘역 완공 5·18국가기념일 제정
1998: 5·18 민중항쟁기념사업위원회 결성; 제 18주년 기념행사; 5·18묘역 참배
1999: 19주년 기념행사-기념식 및 영화 '붉은 벽돌' 상영회
2000년대 활동
2000: 20주년 기념행사 – 기념식 및 '5·18과 미국의 역할'에 대한 한용섭 교수 강연및 토론회, '다큐멘터리 5·18' 상영회'; 5·18 민중항쟁 20주년 기념 컨퍼런스 UCLA에서 열림
2001: 21주년 기념행사 – 기념식 및 '5·18정신과 민족화해'에 대한 김만흠 교수 강연 및 토론회, '다큐멘터리 5·18' 상영회
2002: 22주년 기념행사 – 기념식 및 '5·18 민중항쟁 22주년과 올바른 한미관계의 정립' 토론회; '5·18 민중항쟁' 사진 전시회
2003: 23주년 기념행사 – 기념식 및 심포지엄 '광주를 기억하며: 평화, 민주주의 그리고 커뮤니티'를 타민족 활동가들을 연사로 초청하여 이중언어로 진행함
2004: 24주년 기념행사 –기념식; 장태한 교수의 '5·18투쟁 연대의 회고와 앞으로의 역할' 양필승 교수의 '5·18 미국적십자사 점거와 헌혈압박'등의 강연과 토론회
2005: 25주년 기념행사 – 기념식; UC Riverside 장태한 교수와 민족학교 윤대중 사무국장이 '우리 사회의 실천과 모색'이라는 주제로 강연함
2006: 26주년 기념행사-'한미진보운동과 한인 커뮤니티의 과제'라는주제로 Glenn Omatsu UCLA 교수와 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의회 이은숙 사무국장이 강연함
2007: 27주년 기념행사-'80년 5월 우리들의 이야기'라는 주제로 미주에 살면서 5·18을 경험했거나 기억하는 사람들이 모여 그때의 기억을 나누고 5·18의 과제에 대해 토의함; 5·18 민중항쟁의 수배자 이고 미국에 망명후 민족학교와 재미한국청년연합, 한겨레동포연합을 창설하신 윤한봉 선생 지병으로 타개하심(6월 26일)
2008: 28주년 기념행사-5·18 민중항쟁 28주년과 민족학교 설립 25주년을 기념하여 심포지엄 "이주·이민자의 인권현황 및 사회적 권리보장 모색을 위한 국제 심포지움 (2008)"를 개최하여 약 200명의 한인 1세, 한인 2세, 타 민족 활동가 참가자와 미국, 한국, 필리핀, 호주에서 참여한 연사들이 한 자리에 모여 통역을 통해 한국어와 영어로 토론했다.
2009: 29주년 기념행사: 5·18 민중항쟁, 시민참여 및 백범 김구 선생 순국 60주년 "내가 원하는 동포/미국사회" 정신 계승과 우리의 과제"로 강연회를 갖고 김구 선생의 글 '내가 원하는 우리 나라' 영어 번역 및 이 글을 읽고 느낀 에세이 모집과 장학금 지급
2010년대 활동
2010: 30주년 기념행사: '인권, 누구나 가지는 소중한 것'이라는 주제로 기념행사를 가지고 지역에서 이민자, 성소수자, 입양인의 활동에 대한 패널 발표를 가지다. 약 100명이 행사에 참여하다.
- 개회사: 차종환 (한미교육연구원 원장)
- 기념사: 정무(5·18 민중항쟁기념사업위원회 위원장), 밀리남 (남가주호남향우회 회장), 조시영(엘에이동부한인회 회장)
- 시 낭송: 낯달 - 정찬열
- 문화 공연: 5·18을 기억하는 우리들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슬라이드 영상
- 주제발표: 인권, 누구나 가지는 소중한 것- 우리 지역 사회의 인권; 연사: David Cho (Alliance of Korean American Students in Action), Michelle Lee (Korean-Americans United for Equality); Tammy Ko Robinson (Helping Adoptees Lead Together)
주관: 민족학교, 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의회
주최: 5·18 민중항쟁기념사업위윈회, 6.15공동선언실천미국서부위원회, API Equality-LA, 남가주호남향우회, 민주개혁서부연대, 엘에이동부한인회, 오렌지카운티호남향우회, 재미동포평등연합, 한미교육연구원, 한미인권연구소, 한민족경제비전연구소
2011: 31주년 기념 행사: 이민 개혁을 통한 미국 사회 정의 실현을 주제로 토론회를 가지다
2013: 33주년 기념 행사: "이 땅에 살기 위하여"를 주제로 민족학교 설립 30주년 기념 행사 및 기금 만찬을 가지다
2017: 37주년을 기념하여 듀크 최 예술가와 협력하여 김상돈의 행적을 조망하는 동영상 전시회를 열다.
2018: 38주년 기념식을 가지고 5·18 정신을 이어나가는 청년들의 활동을 소개하며 김주환, 김정우가 발제하고 드림 자전거 투어를 소개하다.
2019년: 39주년 기념식을 가지고 5·18 민중항쟁 당시 계엄군의 만행을 가두방송으로 알렸던 한국의 차명숙 활동가가 5월 24일 민족학교에서 67명의 한인 1세 및 2세 그리고 미국 라티노·아시안계 청중과 만난 자리에서 "여성의 눈으로 본 5·18"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다.[1]
출처
- ↑ “보도자료: 5·18 민중항쟁 차명숙 유공자 강연 "여성의 목소리 양지로 끌어내야"”. 《민족학교》. 2019년 5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