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otact/기물/정보병

This page was last edited on 7 May 2024, at 22:53.
정보병 / 현대 시간대 / HACK ./ 마법 기물 / 패시브: 공학적 지식 / 최대 배치 수: 1개

소개

이동 / "기본 이동" 타입 / 준비시간 1차례 / 사용횟수 제한 없음 / 기물을 이동합니다. 방해물 관통 불가
해킹 / "정보전", "특수 턴" 타입 / 준비시간 5차례 / 사용 횟수 제한 없음 (허나 [화이트 해킹]의 영향을 받음.) / 향후 적의 1턴을 조종함
화이트 해킹 / "정보전", "함정" 타입 / 준비시간 3차례 / 사용횟수 제한 없음 / 상대의 [해킹] 혹은 [DDOS] 시 사용 가능: 정보전을 방어함
APT / "정보전", "디버프" 타입 / 준비시간 2차례 / 사용횟수 2회 제한 / 적이 2차례간 [화이트 해킹]을 못 쓰게 만듬
DDoS // "정보전", "디버프" 타입 / 준비시간 7차례 / 사용횟수 1회 제한 (허나 [화이트 해킹]의 영향을 받음.) / 적 기물 하나에게: 침묵 5차례
공학적 지식 / "정보전", "패시브 버프" 타입 / 이 기물은 [해킹]과 [DDOS]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현대시대의 주역 기물입니다. [해킹]을 통해 적을 마음대로 조작할 수 있는 특수한 기물로, 서로 정보병이 있을 때는 [APT]라는 특수한 기술을 사용해야 [해킹]을 발동할 수 있습니다. [해킹]은 쓸 수록 승세가 기운다는 판례가 있을 정도로 중요한 기물입니다. 참고로 정보병의 [해킹]을 통한 상대의 팀킬도 가능하니, 창의적인 수를 많이 생각해보시는 것이 정보병의 활용 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평가

장점

  • 정보전 기술이 가능한 유일한 기물입니다. [해킹]으로 상대의 기물을 조종할 수 있는데, 이것의 위력이 상당히 좋습니다.
  • {하드현대}에서는 [DDOS]라는 신기술이 생기는데, 이것으로 성가신 기물을 사실상 게임에서 잠시 제외 처리해둘 수 있습니다.

단점

  • 딱히 단점은 없으나, 오히려 팀에 없을 경우 단점이 생깁니다. [화이트 해킹]의 정보전 엄호를 더 이상 못 받게 되는 시점부터 상대로부터의 무수한 정보전 공격을 당해 애를 먹을 것입니다.

관련 러쉬

  • 해킹 러쉬
    • [해킹]을 주력으로 하는 러쉬입니다. [해킹]은 적군이 실수를 하도록 직접 적의 턴을 조작하는 스킬로, 잘만 활용하면 형세를 기울게 만들 수 있는 스킬입니다. [해킹]으로 먼저 적군이 실수하게 만든 뒤, 그 실수를 다른 러쉬를 통해 키우는 러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다 할 패널티는 없지만, [해킹]이 찰 때까지 기다려야 하며, 양쪽의 정보병이 살아있다면 [APT]라는 귀중한 스킬을 사용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참모>의 [피신]을 해킹하는 것으로 <참모>를 당겨오거나, 밀집된 [탱크]를 해킹해 괴멸시키는 등, 상상력만 있다면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러쉬입니다.
  • 과충전 지원군 러쉬
    • [일발 장전]으로 과충전이 된 <총격 보유자>들을 <통신병>과 <정보병>과의 통신을 통해 [지원군 요청]으로 순간이동시키는 러쉬입니다. 대상이 되는 <총격수>들을 <장군>의 [일발 장전]과 <정보병>의 기본이동 범위 안에 둬야 하며, 그 상태에서 /공수부대/나 어떠한 방법으로 <통신병>을 상대편 진영으로 보내서, [지원군 요청]으로 끌고 오는 러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도 순간이동을 받은 상황이기 때문에 "이동 후 사용"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기물들이 살아남을 경우, 과충전된 총격까지 퍼붓게 됩니다.

세부판정

  • 서로 해킹당함 상태가 되면 어떻게 됩니까?
    • 상대방의 정보병은 해킹할 수 없습니다.
  • 정보전 기술은 상대편이 화이트해킹을 사용했을 경우 취소가 불가능한건가요?
    • 그렇습니다. 화이트해킹은 상대방의 행동으로 취급되고, 상대방이 이미 행동해버리면 마지막 행동으로 번복할 수 없다는 패치 방향이기 때문에, 화이트해킹이 사용된 이후 그에 의해 상쇄된 정보전 기술을 취소할 수는 없습니다.
  • 해킹을 사용한 뒤 동전을 사용하면 턴이 어떻게 되나요?
    • 해킹 턴이 먼저 돌아온 뒤에 동전 턴이 옵니다.
  • 정보병을 포섭하면 어떻게 되나요?
    • 정보병을 포섭하면 해킹을 각 팀의 정보병이 한번씩, 최대 두 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두 정보병 모두 한 플레이어의 조종 하에 있기 때문에, 화이트해킹이 무력화됩니다.
  • DDOS는 화이트해킹을 무시하나요?
    • DDOS도 정보전 기술이기 때문에, 화이트해킹의 영향을 받습니다. 하지만 화이트해킹은 엄연히 쿨다운이 있는 기술이기 때문에, APT 대신 DDOS를 사용하거나 혹은 DDOS를 사용하기 위해 해킹을 사용하는 플레이는 허용됩니다.
  • 해킹된 통신병이 정보병과 통신했을 때 공학적 지식이 발동하나요?
    • 발동합니다. 다시 말해, 해킹을 통해 정보병 주변의 기물에게 통신할 수 없습니다.

역사

  • 때는 신인 플레이어 "해"와 1대 그랜드마스터 "쎄로켈"의 노멀현대 대국이었는데, 쎄로켈의 주력 기물이 <파일럿>임을 간파하고 있었던 해가 첫턴부터 APT를 깔아놓고 쎄로켈의 파일럿이 전진하면 해킹으로 파일럿을 전진시켜서 저격시키는 전략을 기용합니다. 이 전략은 크게 성공하고, 후에 "해킹 덫 전략"으로 불리게 됩니다.
  • 때는 크로택 리그 제2회, "라이징 스타" 해와 "월드 메이커" 잇창명의 경기였습니다. 해가 여러 기물들을 잡아내기 위해서 그들을 엄호하고 있는 의무병을 먼저 처리해야 했습니다. 그래서 자신의 첫 턴이 돌아오자마자 APT를 걸고, 4턴 해킹으로 적 사령부 의무병을 끌어와 저격합니다. 결과적으로 이 전술은 추후에 정보병을 해가 따내면서 상당한 유효가 있었음이 증명됩니다.
  • 크로택 리그 제 2회, 해와 잇창명의 대결, 후반 즈음이었습니다. 해는 저격수를 딱 한칸 전진시킵니다. 이후 이것은 자신의 전매특허 기술인 "해킹 덫"을 이용해 창명의 파일럿을 따내려는 움직임이었음이 밝혀집니다. 파일럿의 부재는 창명의 러쉬 방어 능력을 현저히 떨어뜨렸습니다.
  • 크로택 리그 제 3회, 쎄로켈과 해의 대결, 중후반부 즈음이었습니다. 해는 의무병의 전투자극제를 병사들에게 사용해, 무적 기반으로 러쉬하려 합니다. 쎄로켈은 APT를 행동적 협상 용도로 사용해, 이를 저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