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여성혐오

최근 편집: 2023년 1월 6일 (금) 16:03

정의

트랜스여성혐오(영어: transmisogyny 혹은 trans-misogyny)는 트랜스포비아여성혐오의 교집합이다. 2007년 줄리아 세라노가 처음 고안한 용어로 트랜스여성혐오를 포함한 다양한 억압과 차별을 얘기한 그의 책 《The Whipping Girl》에서 처음 사용했다..[1][2][3] 트랜스포비아가 트랜스여성에 대한 여성혐오를 강화할 수 있으며, 그 역도 성립한다.[1] 트랜스여성혐오는 트랜스여성주의의 주요 개념이며, 교차여성주의 이론에서 자주 언급된다. 그러나 트랜스여성을 여성으로 인정하지 않는 급진적 여성주의 일각에서는 트랜스여성혐오라는 개념도 부정한다.[4][5]

트랜스젠더 혐오, 시스섹시즘, 트랜스페미니즘, 트랜스*, T로 시작하는 단어, 그리고 트랜스젠더와 연관된 용어.

"트랜스여성을 혐오하는 내 남자친구에게 내가 트랜스여성임을 밝혔을 때, 그는 그것이 그의 옷을 (대신) 다려주고 식사를 대령할 누군가를 만나는 걸 의미한다며 내게 안도감을 내비친 적 있지."

내용

트랜스미소지니는 트랜스여성이 노출된 두 형태의 억압이 교차된 것을 얘기한다: 트랜스젠더 혐오와 미소지니. 전통적인 가부장제 문화에서, 여성은 본질적으로 남성에 비해 열등한 존재로 재단되며 (미소지니), 여기에 더해 트랜스여성은 그 사회 내에서 여성으로서 해야 마땅하다고 여겨지는 가치와 역할을 수행하도록 요구받는 열등한 존재로 비춰진다. 이들은 미소지니에서 비롯된 갖은 형태의 차별과 위험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트랜스젠더 혐오시스섹시즘에서 비롯된 것들에도 노출된 채 놓여 있다.[6]

출처

  1. 1.0 1.1 “Transmisogyny primer” (PDF). 2014년 9월 10일에 확인함. 
  2. Harrison, Kelby (2013). 《Sexual deceit: the ethics of passing》. Lexington Books. 12쪽. 
  3. Battis, edited by Jes (2011). 《Homofiles : theory, sexuality, and graduate studies》. Lanham, Md.: Lexington Books. ISBN 9780739131916. 
  4. Jefferys, Shiela (2014) Gender Hurts, Routledge, ISBN 978-0-415-53939-5, page 8.
  5. 위키백과 "트랜스여성혐오"
  6. http://queerdictionary.blogspot.kr/2014/09/definition-of-transmisogyny.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