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Garam의 토론 주제

1번째 줄: 1번째 줄:
검색창에 <code>국적/영국, 직업/수학자</code> 혹은 <code>국적/대한민국, 직업/작가</code>, <code>국적/영국, 직업/프로그래머</code>이라고 검색하면 정확히 그러한 문서들이 보여집니다(검색 되는 사람이 없어서 일단 [[특수:교집합분류검색/국적/대한민국, 직업/작가|<code>국적/대한민국, 직업/작가</code>]]를 참고해 주세요), 제가 이 분류법의 장점으로 꼽는 것은 다음과 같은 점이 유용하기 때문입니다.  
검색창에 <code>국적/영국, 직업/수학자</code> 혹은 <code>국적/대한민국, 직업/작가</code>, <code>국적/영국, 직업/프로그래머</code>이라고 검색하면 정확히 그러한 문서들이 보여집니다(검색 되는 사람이 없어서 일단 [[특수:교집합분류검색/국적/대한민국, 직업/작가|<code>국적/대한민국, 직업/작가</code>]]를 참고해 주세요), 제가 이 분류법의 장점으로 꼽는 것은 다음과 같은 점이 유용하기 때문입니다.  
* 영국의 작가, 영국의 수학자, 영국의 프로그래머와 같은 분류는 한 번에 두 가지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세 가지의 정보를 담고 싶을 때는 더 복잡한 분류를 만들어야 하는데, 이것에는 문제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국에서 태어난 미국 프로그래머" 라는 분류를 만드는 것은 너무 일반적이지 않아 보입니다. 또한 어떤 두 가지의 정보를 묶을 것인지를 정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아래서 보충). 반면 다면분류 체계에서는 임의로 둘을 묶을 필요가 없고, 검색은 <code>출생국가/영국, 국적/미국, 직업/프로그래머</code>와 같은 문자열로 이루어 질 수 있습니다.  
* 영국의 작가, 영국의 수학자, 영국의 프로그래머와 같은 분류는 한 번에 두 가지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세 가지의 정보를 담고 싶을 때는 더 복잡한 분류를 만들어야 하는데, 이것에는 문제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국에서 태어난 미국 프로그래머" 라는 분류를 만드는 것은 너무 일반적이지 않아 보입니다. 또한 어떤 두 가지의 정보를 묶을 것인지를 정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아래서 보충). 반면 다면분류 체계에서는 임의로 둘을 묶을 필요가 없고, 검색은 <code>출생국가/영국, 국적/미국, 직업/프로그래머</code>와 같은 문자열로 이루어 질 수 있습니다.  
* 두 가지의 정보를 묶어서 분류를 해야 한다는 점이 분류를 하는 데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국의 수학자'라는 분류는 국적과 직업을 묶은 것인데, 여기에 다른 정보, 예를 들어 생존여부를 추가한다면, 총 세 가지 중 두 가지를 묶어 분류를 붙일 수 있으므로<ul><li>영국의 수학자, 살아있는 사람</li><li>살아있는 영국인, 수학자</li><li>살아있는 수학자, 영국인</li></ul><br />위 셋 중에서 어떤 분류를 하여야 하는지는 경험적으로 알고 있지 않은 사람은 검색으로밖에 알 수 없습니다. 다른 예로, 한국어 위키백과의 에이다 러브레이스 문서의 경우 다음과 같은 분류가 되어 있습니다(일부).<dl><dd>영국의 프로그래머, 19세기 수학자, 영국의 수학자</dd></dl> 이것은 활동 국가 하나, 직업 둘, 활동 시기 하나의 네 가지 정보 중 임의의 두 가지씩을 묶은 것입니다. 그러나 적혀 있지 않은 "19세기 프로그래머, 19세기 영국인, 19세기 프로그래머, 수학자 겸 프로그래머"가 왜 분류되어 있지 않은지는 바로 알기 어려우며, 해당 키워드로는 검색도 불가능합니다. 반면 다면분류에서는 분류할 때나 검색할 때도 그냥 다 적으면 됩니다.  
* 두 가지의 정보를 묶어서 분류를 해야 한다는 점이 분류를 하는 데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국의 수학자'라는 분류는 국적과 직업을 묶은 것인데, 여기에 다른 정보, 예를 들어 생존여부를 추가한다면, 총 세 가지 중 두 가지를 묶어 분류를 붙일 수 있으므로<ul><li>영국의 수학자, 살아있는 사람</li><li>살아있는 영국인, 수학자</li><li>살아있는 수학자, 영국인</li></ul><br />위 셋 중에서 어떤 분류를 하여야 하는지는 경험적으로 알고 있지 않은 사람은 검색으로밖에 알 수 없습니다. 다른 예로, 한국어 위키백과의 에이다 러브레이스 문서의 경우 다음과 같은 분류가 되어 있습니다(일부).<dl><dd>영국의 프로그래머, 19세기 수학자, 영국의 수학자</dd></dl> 이것은 활동 국가 하나, 직업 둘, 활동 시기 하나의 네 가지 정보 중 임의의 두 가지씩을 묶은 것입니다. 그러나 적혀 있지 않은 "19세기 프로그래머, 19세기 영국인, 수학자 겸 프로그래머"가 왜 분류되어 있지 않은지는 바로 알기 어려우며, 해당 키워드로는 검색도 불가능합니다. 반면 다면분류에서는 분류할 때나 검색할 때도 그냥 다 적으면 됩니다.  
*이건 그냥 자랑인데, 일반적인 위키미디어 위키의 경우에는 <nowiki>[[분류:수학자]]</nowiki>와 <nowiki>[[분류:프로그래머]]</nowiki>를 동시에 검색하고 싶을 때는 검색창에 <code>incategory:"수학자" incategory:"프로그래머"</code>라고 검색하면 되는데―원래는 되야되는데, 사실 <nowiki>[[분류:수학자]]</nowiki> 아래 바로 속한 수학자 문서가 없기 때문에 검색이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대신 <code>incategory:"영국의 수학자" incategory:"영국의 프로그래머"</code>이라고 검색해야 하는데, 페미위키에는 이런 불편함이 없습니다.  
*이건 그냥 자랑인데, 일반적인 위키미디어 위키의 경우에는 <nowiki>[[분류:수학자]]</nowiki>와 <nowiki>[[분류:프로그래머]]</nowiki>를 동시에 검색하고 싶을 때는 검색창에 <code>incategory:"수학자" incategory:"프로그래머"</code>라고 검색하면 되는데―원래는 되야되는데, 사실 <nowiki>[[분류:수학자]]</nowiki> 아래 바로 속한 수학자 문서가 없기 때문에 검색이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대신 <code>incategory:"영국의 수학자" incategory:"영국의 프로그래머"</code>이라고 검색해야 하는데, 페미위키에는 이런 불편함이 없습니다.  
모쪼록 편리한 점이 많으니 한번 익숙해져 보시는 것도 새로운 경험으로 괜찮지 않나 합니다. 감사합니다.
모쪼록 편리한 점이 많으니 한번 익숙해져 보시는 것도 새로운 경험으로 괜찮지 않나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