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 사건

최근 편집: 2018년 4월 3일 (화) 16:12
Transfer7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4월 3일 (화) 16:12 판 (→‎도서)

1948년 4월 3일 제주도에서 발생한 항쟁이며 국가에 의한 민간인 학살 사건이다.

대한민국에서의 공식적인 명칭은 '제주4ㆍ3사건'이다. 현행법에서 규정된 4·3사건의 정의는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그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이다.[1]

개요

당시 제주 인구 10%인 약 3만명이 희생되었다.[2]

역사

제주4.3사건은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에 발생한다.

의미

용어논란

폭동

피해상황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진상규명 현황

4.3특별법 제정과 4.3위원회 출범

관련 작품

도서

연극

영화

음악

  • '4월의 춤', 루시드폴)

기타

같이 보기

출처

  1. 제주4ㆍ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 (약칭: 4·3사건법) 제2조
  2. “동아시아 평화와 인권의 출발점 ‘제주 4.3사건’”. 《뉴스토마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