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국정교과서/2015

최근 편집: 2016년 11월 28일 (월) 17:08
헤럴드봇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11월 28일 (월) 17:08 판 (서울대 역사교수 34명, '한국사 국정화'에 반대(종합) 외 42개 뉴스 추가)

2015년 국정교과서 관련 뉴스 모음

뉴스

참조

  1. “새 중학교 역사교과, 독립운동사 대폭 축소”. 《한겨레》. 2015년 9월 23일. 
  2. “[정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제대로 바람잡기 시작한 새누리당”. 《중앙일보》. 2015년 9월 22일. 
  3. "편향적 역사 기술 안돼" vs "나치·유신때 국정교과서"(종합)”. 《연합뉴스》. 2015년 9월 21일. 
  4.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 대학별 교수성명 잇달아(종합)”. 《연합뉴스》. 2015년 9월 15일. 
  5. '좌편향·오류' 역사교과서 수정 명령 탄력받을 듯(종합)”. 《연합뉴스》. 2015년 9월 15일. 
  6. '역사교과서 고치기' 정부에 힘실려..국정화 논란에 영향줄듯”. 《연합뉴스》. 2015년 9월 15일. 
  7. "한국사 국정화는 이념·세대 갈등의 뇌관.. 강행 땐 큰 혼란". 《한국일보》. 2015년 9월 15일. 
  8. “<국감현장> 설훈·한선교 국정교과서 국정화놓고 공방”. 《연합뉴스》. 2015년 9월 14일. 
  9. “황우여 부총리 "학생들, 역사 하나로 가르치는 것 지지". 《연합뉴스》. 2015년 9월 14일. 
  10. “보수도 반대하는 '국정 교과서'..청와대는 '요지부동'. 《한겨레》. 2015년 9월 13일. 
  11. “與 "좌파 역사학자들이 반(反)대한민국 교과서 만들어". 《뉴시스》. 2015년 9월 13일. 
  12. “뜨거워지는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주요 쟁점은”. 《연합뉴스》. 2015년 9월 13일. 
  13. “고등학교 역사교과서 '천안함·연평도 사건' 서술 강화”. 《JTBC》. 2015년 9월 12일. 
  14. “국정 교과서 논란 확산에 청와대 '속도 조절'. 《MBN》. 2015년 9월 12일. 
  15. “총선은 국감 성적 순 아니잖아요”. 《경향신문》. 2015년 9월 12일. 
  16. “['한국사 국정화' 쟁점] 한국사 교과서, 통일성이냐 다양성이냐.. 保革 진영 줄다리기 '팽팽'. 《국민일보》. 2015년 9월 12일. 
  17. “청와대 "박 대통령, 한국사 국정화 직접 언급한 적 없어". 《중앙일보》. 2015년 9월 12일. 
  18. “한국사 교과서 집필 기준 연구진 전원 "국정화 안 된다". 《중앙일보》. 2015년 9월 12일. 
  19. “[단독] 중·고교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한다”. 《세계일보》. 2015년 9월 11일. 
  20. “한국사 국정화 여부 '숨고르기'..내달 결론 날 듯”. 《연합뉴스》. 2015년 9월 11일. 
  21. “靑 "朴대통령, 역사교과서 국정화 언급한 적 없다". 《머니투데이》. 2015년 9월 11일. 
  22. “[팩트체크] 역사 교과서 국정화 말·말·말..누구 말이 맞나”. 《JTBC》. 2015년 9월 10일. 
  23. '총선 전초전-朴정부 중간평가', 국감 첫날부터 '불꽃'(종합)”. 《머니투데이》. 2015년 9월 10일. 
  24. “황우여 "한국사교과서 결론 미리 말씀 못드려". 《연합뉴스》. 2015년 9월 10일. 
  25. “[속보]교육부, 업무보고 수정본에 '국정 전환'도 추가”. 《노컷뉴스》. 2015년 9월 10일. 
  26. “중고교 사회교사 78%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 《이데일리》. 2015년 9월 9일. 
  27. “재난·노동·재벌·이념 '현안 산적'..여야 '국감' 총공세(종합)”. 《뉴스1》. 2015년 9월 8일. 
  28. “교육감 10명 "국사 교과서 국정화 중단하라" 성명”. 《한겨레》. 2015년 9월 8일. 
  29. “교육감들 "역사 교과서 국정화 시도는 시류 역행". 《경향신문》. 2015년 9월 8일. 
  30. “왕이 신하 복장, 엉터리 노비문서, 오류 투성이 국정교과서”. 《미디어오늘》. 2015년 9월 8일. 
  31. “보신각 '종'으로 표현..고구려 비사성은 엉뚱한 곳 표시, 오류투성이 국정교과서”. 《경향신문》. 2015년 9월 7일. 
  32. “보수단체들 "역사교과서 국정화, 바른 역사를 가르치는 일". 《뉴시스》. 2015년 9월 7일. 
  33. "초5 역사교과서 오류투성이..국정화 추진 중단해야". 《뉴스1》. 2015년 9월 7일. 
  34. '한국史 국정화' 이르면 이달중 발표”. 《문화일보》. 2015년 9월 7일. 
  35. “野 "'국정' 이름으로 역사 왜곡..손바닥으로 하늘 가리기". 《뉴스1》. 2015년 9월 5일. 
  36.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정국 뇌관되나”. 《연합뉴스TV》. 2015년 9월 5일. 
  37. “與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국정'아닌 '통합'에 방점". 《뉴스1》. 2015년 9월 4일. 
  38. “[단독] 역사학계도 '한국사 국정화' 반대 움직임..서명운동”. 《연합뉴스》. 2015년 9월 3일. 
  39. “[신율의출발새아침] "근현대사 축소, 국정교과서? 일본 우익보다 더 엉뚱". 《YTN》. 2015년 9월 3일. 
  40. “< SNS돋보기> 한국사 국정교과서 추진에 갑론을박”. 《연합뉴스》. 2015년 9월 3일. 
  41. “입으론 개혁·시선은 보수.. 쌍끌이 나선 김무성”. 《한국일보》. 2015년 9월 3일. 
  42. “서울대 역사교수 34명, '한국사 국정화'에 반대(종합)”. 《연합뉴스》. 2015년 9월 2일. 
  43. '접시꽃 당신' 시인이 한국사 국정교과서 반대하는 이유”. 《한겨레》. 2015년 8월 31일. 
  44. "국정교과서, 북한·방글라데시·몇몇 이슬람국 정도만 남아". 《한겨레》. 2015년 8월 30일. 
  45. “새정치연합,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 특위' 구성”. 《머니투데이》. 2015년 8월 26일. 
  46. “김승환 교육감 "학생에게 '삼성 최고' 각인 안 돼". 《노컷뉴스》. 2015년 8월 21일. 
  47. '해방'되지 못한 '근현대사'..한국사교과서 '국정화' 눈앞”. 《머니투데이》. 2015년 8월 13일. 
  48. “김무성 "정권 잃을 각오로 노동개혁 꼭 성사시키겠다". 《연합뉴스》. 2015년 8월 8일. 
  49. “황우여 "족보는 하나로 통일해야"..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시사”. 《쿠키뉴스》. 2015년 8월 7일. 
  50. “黃교육 "이대론 수능 못 치러"..한국史 '국정교과서' 방점”. 《노컷뉴스》. 2015년 8월 6일. 
  51. “김무성 이어 황우여도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 시사”. 《한겨레》. 2015년 8월 5일. 
  52. “<인터뷰> 황우여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배제하지 않아". 《연합뉴스》. 2015년 8월 5일. 
  53. “野 "교과서 채택방식 북한 따르라고?"..김무성 정조준”. 《뉴시스》. 2015년 8월 3일. 
  54. “김무성 "좌파세력 준동..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 파문”. 《한겨레》. 2015년 8월 2일. 
  55. “김무성 "역사 교과서 국정화" 발언에 현직 교사 항의 편지”. 《한겨레》. 2015년 8월 2일. 
  56. “김무성 "총선 원내과반·정권 재창출 반드시 이룰 것". 《연합뉴스》. 2015년 8월 1일. 
  57. “김무성 "역사교과서, 국정교과서로 바꾸겠다". 《뉴시스》. 2015년 8월 1일. 
  58. “학부모 56.2% "한국사 교과서, 國定으로 해야". 《조선일보》. 2015년 4월 8일. 
  59. "교과서 검정 무력화".. 정부 입맛대로 언제든 수정 여지 남겨”. 《한국일보》. 2015년 4월 2일. 
  60. “[단독]'교과서 국정화' 여론조사 결과발표 안 하나 못 하나”. 《경향신문》. 2015년 3월 10일. 
  61. “황우여 "역사,한가지로 가르쳐야"..국정화 시사 논란(종합)”. 《연합뉴스》. 2015년 1월 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