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한새

최근 편집: 2018년 5월 15일 (화) 15:38
박명훈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5월 15일 (화) 15:38 판

MC 한새

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sstatic.naver.net%2Fpeople%2Fportrait%2F201603%2F20160307175802221.jpg

기본 정보


본명 윤성훈

출생 1976년 11월 25일 (41세) 서울특별시

국적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장르 힙합, 래퍼

활동 시기 2000년~

소속사 디퍼레코드

생애[원본 편집]

1992년,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자신의 친구들과 밴드를 조직하여 활동을 하였던, 1995년 이창권 1집에 객원 래퍼로 참여하면서 첫 공식 활동을 시작하였다. 당시만 해도 메이저 활동을 꿈꾸던 그는, 1998년 언더그라운드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으며, 그 해 KMTV 뮤직스타선발대회에서 JCM상을 수상하였다.[1] 그의 첫 활동 영역은 밀림을 포함한 인터넷이었으며, 여기서 높은 인기를 누린 것은 물론 미국의 온라인 음악 웹사이트에서도 인기 순위 3위에 오르기도 하였다.[2]

디스코그래피[원본 편집]

정규 앨범 및 미니 앨범[원본 편집] 2000년 LP 파랑색 파란 2001년 LP Chapter 02 Blue Leaf & BCR Crew 2002년 LP Love Song 2003년 LP 사랑이라고 말하는 마음의 병 2005년 LP 두 번째 이야기의 시작 2008년 LP My Birthday 2012년 LP FACE - Ghostface 2012년 LP FACE - Starface 2013년 미니 앨범 HERO

디지털 싱글[원본 편집] 2009년 7th Rap & Blues Take1 2009년 귀여워 (Acoustic ver.) 2010년 7th Rap & Blues Take3 2011년 7th Rap & Blues Take4 2011년 7th Rap & Blues Take5

프로듀싱 활동[원본 편집]

MC 한새는 활동 초기부터 BCR 크루 안팎의 래퍼들에게 많이 도움을 주었다. 자신의 크루 멤버인 Hiphopmind(현재 epideMIC), Hi-Plusmin, 266, MacJoc, 박소연의 앨범을 프로듀싱 및 작곡으로 도왔으며, 크루 멤버 외에도 유리, Daggaz 등의 곡을 작곡하였다. 2003년부터는 MC 한새의 레이블 BCR이 프로듀싱 팀의 성격을 띤 회사로 변하였으며, 오렌지, DNT 등의 그룹을 프로듀싱하기도 했다.[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