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거릿 애트우드

최근 편집: 2018년 9월 20일 (목) 23:57
AG5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9월 20일 (목) 23:57 판 (목차 정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마거릿 애트우드

마거릿 엘리너 애트우드, 마거릿 앳우드 (영어: Margaret Eleanor Atwood, 1939년 11월 18일 ~ Ottawa, Ontario, Canada 출생)는 캐나다의 페미니즘 작가이자 사회운동가이다.

생애 및 작품 경향

캐나다 온타리오와 퀘벡에서 성장과정을 거쳐 1961년 토론토 대학교 빅토리아 칼리지에서 영문학 전공으로 졸업 후 다음해 하버드 대학의 래드 클리프 칼리지에서 석사 학위을 받았다.[1] 시, 아동문학, 소설, 경제상식 등 다양한 분야의 책을 발간했다. 앨리스 먼로와 함께 20세기 대표적인 캐나다 작가이다.

시인이 되기로 결심하고 대학진학을 했으며 21세인 1964년 첫 시집 「서클 게임」으로 캐나다 총리상을 수상했다. 초기 시집에는 캐나다의 문화국가주의, 그리고 캐나다인들의 정체성 문제에 대해 다룬다. 미국을 비롯한 유럽 국가들과의 외교 관계, 환경 문제, 인권 문제, 현대 예술같은 다양한 주제는 물론 그 속에서의 페미니즘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사회 운동의 영향을 받은 후기 작품에는 백인,남성,기독교 우월주의와 같은 폭력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이 반영돼있다.주한 캐나다 대사관 블로그, 마거릿 애트우드가 꿈꾸었던 멋진 신세계 [2]

저서[3]

「Double Persephone (1961)」「 서클 게임, The Circle Game (1964)」「 Expeditions (1965)」「 Speeches for Doctor Frankenstein (1966)」, 「그 나라의 동물들, The Animals in That Country (1968)」,「 수잔나 무디의 일기, The Journals of Susanna Moodie (1970)」,「 Procedures for Underground (1970)」,「 Power Politics (1971)」,「 Two-Headed Poems (1978) True Stories (1981)」,「 Interlunar (1984)」,「 Morning in the Burned House (1995)」,「 The Door (2007)」

소설

「The Edible Woman(번역:케잌을 굽는 여자 1993년 새와물고기 출판)(1969)  」을 시작으로「떠오름, Surfacing( 1972) 」「신탁여인, Lady Oracle (1976) 」, 「Life Before Man (1979)」「 Bodily Harm (1981)」등이 있으며 대표작인「시녀이야기, The Handmaid's Tale (1985)」,「고양이 눈, Cat's Eye (1988)」, 「 도둑 신부, The Robber Bride (1993)」,「 그레이스, Alias Grace (1996)」,「눈먼 암살자, The Blind Assassin (2000)」,「인간 종말 리포트, Oryx and Crake (2003)」,「페넬로피아드, The Penelopiad (2005)」,「홍수, The Year of the Flood (2009)」, 「MaddAddam (2013)」,「심장은 마지막 순간에, The Heart Goes Last (2015) 」,「마녀의 씨, Hag-Seed (2016)」

단편

「 Dancing Girls (1977)」,「 Murder in the Dark (1983)」,「 Bluebeard's Egg (1983)」,「 Wilderness Tips (1991)」,「 Good Bones (1992)」,「 Good Bones and Simple Murders (1994)」,「 The Labrador Fiasco (1996)」,「 The Tent (2006) Moral Disorder (2006)」,「 Stone Mattress (2014)」」,「Rape Fantasies" (1977) 」,「The Resplendent Quetzal (1977)」,「Happy Endings」

그외 저서

「Survival: A Thematic Guide to Canadian Literature」 「Second Words: Selected Critical Prose」 「 Negotiating with the Dead: A Writer on Writing (2002)」,「 Writing with Intent: Essays, Reviews, Personal Prose?1983?2005 (2005)」,「 Payback: Debt and the Shadow Side of Wealth (2008)」

수상내역

  • 첫 시집「서클 게임」으로 캐나다 총리상
  • 2000년에 「눈먼 암살자」로 ‘부커상’
  • 「시녀 이야기」 1987년 아서 C. 클라크상을 수상, 2002년 캐나다의 전 수상인 Kim Campbell에 의해 최고의 작품으로 선정
  • 2017년 프란츠 카프카 상 수상

링크

  • <공식 홈페이지>[1]
  • <마거릿 애트우드의 빨간머리앤 리뷰>(THE GUARDIAN)[2]
  • <부커상 수상 애트우드 '마술 펜' 발명>(연합뉴스)[3]
  • <마가렛 애트우드가 #MeToo를 비판하는 사설로 페미니스트들의 공격을 받다.>(허핑턴포스트)[4]

출처

  1. 이언 모리스, 「가치관의 탄생」; 9장 불이 꺼질 때: 문명 붕괴 후의 인간 가치관
  2. http://canadablog.tistory.com/140
  3. https://en.wikipedia.org/wiki/Margaret_Atwood [위키피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