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약효과

최근 편집: 2022년 12월 24일 (토) 18:16
LarodiBot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2월 24일 (토) 18:16 판 (문자열 찾아 바꾸기 - "\{\{분류\|([^}]+)\}\}" 문자열을 "{{풀기:#invoke:category|categorize|$1}}" 문자열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위약효과(영어: Placebo effect) 또는 속임약효과란, 유효한 어떤 물질을 주입하는 등의 행동을 하지 않았는데도, 효과가 있을 거라는 믿음 때문에 나타나는 효과를 말한다. 예를 들어, 복통이 난 어떤 사람이 알약처럼 생긴 밀가루[주 1]를 복통약이라고 믿고 먹었을 때, 복통이 낫게 된다면 이는 약을 먹었으니 복통이 나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에 그러한 것이다. 간단히 말하면 심리적인 효과라 할 수 있다.

새로운 약물이나 치료법을 검증할 때 이중맹검법 등을 통해 위약효과를 가려낸다.

부연 설명

  1. 이때 밀가루는 복통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