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장

최근 편집: 2023년 4월 29일 (토) 20:10

개념

총장은 각 대학교를 대표하는 기관장이다. 학생 지도와 교무를 통할(統轄)하고 소속 교직원을 지도하며 감독한다[1]

한국의 여성 총장 현황

2013년 기준 역대 국공립대 총장 중 여성은 없었으며, 부총장이 1명 임명되었을 뿐이다.[2]

대학 총장 성별 현황(2020-2021)[3]

2020년 2021년
사립 국공립 전체 사립 국공립 전체
남성 133(91.1%) 36(94.7%) 169(91.8%) 135(93.1%) 35(94.6%) 170(93.4%)
여성 13(8.9%) 2(5.3%) 15(8.2%) 10(6.9%) 2(5.4%) 12(6.6%)
합계 146(100%) 38(100%) 184(100%) 145(100%) 37(100%) 182(100%)


2023년 발표된 사립대학 간 협의체인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사총협)의 ‘2020~2022 한국의 대학 총장’ 통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 결과 재직 중인 총장 176명 중 93.2%(164명)는 남성이며 여성은 6.8%(12명)에 그쳤다. 최근 3년(2020~2022년)간 여성 총장 비율은 평균 7.2%(12명)다.[4]

여성 총장이 적은 이유

대학 총장 이전의 직업은 교수가 68.7%로, 2위인 종교인(11%), 행정가(8.8%)와 압도적인 차이를 보인다.[3] 따라서 여성 교수의 수 자체가 적다는 것이 원인 중 하나이다.

해외의 여성 총황

미국교육협의회의 2016년 통계에 따르면 미국 대학의 총장은 남성이 70%, 여성이 30%로 한보다 여성총장 비율이 높았다. 이번 조사는 국내 4년제 대학 192곳 중 총장직무대리 체제인 15곳을 제외한 176곳을 대상으로 했다.[5]

여성 총장이 적은 현상은 미국에서도 마찬가지이다. 1636년 개교한 하버드의 역대 총장 중 여성 총장은 두 명뿐이다. 로런스 서머스 총장(전 재무장관)이 “여성은 생태적으로 수학·과학 능력이 남성에 비해 떨어진다” 등의 차별적 발언으로 물의를 빚고 물러난 후 2007년부터 2018년까지 재직한 드루 파우스트가 첫번째이다. 2022년 12월 15일 클로딘 게이가 의 두번째 여성 총장이자 첫번째 흑인 총장으로 임명되었다. 1970년 뉴욕의 아이티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난 게이 학장은 어린 시절 대부분을 뉴욕에서 보내다 미 육군 공병대에서 일하는 아버지를 따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살았다. 이후 미국에 돌아와 명문 스탠퍼드대에서 경제학을 전공한 뒤 1998년 하버드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가 쓴 박사 학위 논문은 정치학 분야 최고 논문으로 인정받으면서 하버드대로부터 ‘토판상(Toppan Prize)’을 수상했다. 2000년 스탠퍼드대 정치학과 교수로 임용되고 2006년 하버드대로 옮겼다. 2015년 하버드대 사회과학 분야 학장이 됐고 3년 뒤 하버드대에서 가장 큰 규모의 학부 문리대 학장으로 임명됐다. 게이 학장은 미국 예술과학 아카데미(AAAS)와 캘리포니아 공공정책 연구소, 스탠퍼드대 행동과학고등연구센터(CASBS), 하버드대 래드클리프 고등연구소 일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소수 인종의 선출직 진출이 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또 빈곤층에 대한 거주 지원 정책이 이들의 정치 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주로 연구했다.[6]

2023년 2월 15일(현지시간) 1831년 뉴욕대 개교 이후 처음으로 린다 밀스가 뉴욕대의 다음 총창으로 결정되었다. [7]

컬럼비아 대학교는 2023년 1월 18일(현지시간) 네마트 샤피크 런던정경대(LSE) 총장이 오는 7월1일 제20대 총장으로 취임한다고 발표했다. 1754년 설립 이후 컬럼비아대의 총장은 모두 남성이었는데, 드디어 그 기록이 깨지게 됐다. '미노슈'로 불리는 올해 60세의 샤피크 총장은 2007년부터 런던정경대에서 근무해 왔고, 2017년 첫 여성 총장이 됐다. 지난 21년간 컬럼비아대를 이끌어 왔고 최근 은퇴를 선언한 리 C. 볼링거 총장은 성명에서 "컬럼비아대를 이끌 최고의 인물이 샤피크"라며 "전문성과 경험, 학문과 공공에 대한 식견을 갖춘 적임자"라고 말했다. 컬롬비아대 이사회는 "미노슈의 뛰어난 점은 세상에서 가장 복잡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데 이어 고등 교육기관이 공헌할 수 있고 반드시 해야만 한다는 중대한 역할에 대한 확고한 신념"이라며 "컬럼비아의 우리 모두와 같이, 그녀는 의미있는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 우리의 탁월한 지적 능력을 학교를 넘어그룹과 조직과 결합해야 할 집단적 의무가 있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태어난 샤피크 총장은 1960년대 정치적 격변을 피해 4살 때 가족들과 미국으로 이주했다. 환경과학자이자 교수인 아버지와 학교 교장인 어머니는 어릴 적부터 샤피크 총장에게 교육의 가치를 강조한 것으로로 알려졌다. 샤피크 총장은 매사추세스대 애머스트에서 경제학과 정치학을 공부했고, 영국으로 건너가 런던정경대에서 경제학 석사를, 옥스퍼드대에사 경제학 박사 학위를 각각 받았다. 36세에 세계은행 최연소 부총재가 됐다. 이후 국제통화기금(IMF) 부 매니징디렉터와 영국 중앙은행(BOE) 부총재직도 역임했다. 펜실베니아대 와튼 경영대학원과 조지타운대에서 교수로 재직했고, 현재 게이트 재단 이사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샤피크 총장은 자신의 인종에 대한 질문에 '갈색(브라운)'이라고 답했다.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한편, 이번 컬럼비아대의 신임 총장 선임으로 미 동북부 8개 명문 사립대학으로 구성된 아이비리그에서 예일대, 프린스턴대 2곳을 제외한 6곳은 모두 여성 총장이 이끌게 됐다. 이밖에 MIT, 조지 워싱턴 대도 여성 총장이 지휘봉을 쥐고 있다.[8]

  1. https://ko.dict.naver.com/#/entry/koko/717204273db14365ad33f0ab73aa31cc. 2023년 4월 29일에 확인함.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2. 김경숙 / 공주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전 충남여성정책개발원장 (2013년 4월 15일). “국공립대에도 여성 총장 나와야 한다”. 《여성신문》. 2023년 4월 15일에 확인함. 
  3. 3.0 3.1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2021년 12월 13일). “한국의 대학 총장(2020, 2021 한국의 대학 총장 통계)”. 
  4. 이데일리 (2023년 2월 13일). “대학총장 '60대 男'이 대세…여성 총장은 6.8%”. 2023년 4월 29일에 확인함. 
  5. 이데일리 (2023년 2월 13일). “대학총장 '60대 男'이 대세…여성 총장은 6.8%”. 2023년 4월 29일에 확인함. 
  6. “하버드대 첫 흑인, 두 번째 여성 총장 클로딘 게이는 누구?”. 2022년 12월 19일. 2023년 4월 29일에 확인함. 
  7. kids.donga.com, 어린이동아, 동아이지에듀 (2023년 2월 16일). “미국 뉴욕대에서 첫 여성 총장 등장… 미국 명문대는 ‘여성 총장 전성시대’”. 2023년 4월 29일에 확인함. 
  8. 머니투데이 (2023년 1월 19일). “美컬럼비아대, 사상 첫 여성 총장 탄생..샤피크 英LSE 총장”. 2023년 4월 2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