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리샤 불 스톳

최근 편집: 2024년 5월 7일 (화) 14:24
뇌절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5월 7일 (화) 14:24 판
[1]

얼리샤 불 스톳(alicia boole stott, 1860년 6월 8일 ~ 1940년 12월 17일)는 아일랜드수학자이다.

아일랜드의 도

4차원도형의 3차원 단면 그리기[2]
정팔포체 폴리토프(Tesseract)[3]

1895년에 수학자 피터 헨드릭 스하우터(Pieter Hendrik Schoute)와 정폴리토프에 관하여 정식으로 협동연구를 시작하여, 1900년부터 1910년까지 총 6개의 논문을 발표하고, 1914년에 흐로닝언 대학교로부터 명예 박사학위를 받았다.

1923년에 피터 헨드릭이 세상을 떠나자 연구가 중단된 것처럼 보였지만, 1930년부터 해럴드 스콧 맥도널드 콕서터(Harold Scott MacDonald Coxeter)와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다시 협동연구를 시작했다.

1940년 12월 17일에 얼리샤가 세상을 떠난 뒤, 2001년에 흐로닝언 대학교에서 서명없는 다면체 도면이 발견되자 곧바로 얼리샤의 작업 중 하나로 인정되었다.

논문

  • 1900년, '4차원 정폴리토프의 특정 계열 단면'(On certain Series of Sections of the Regular Four-dimensional Hypersolids)
  • 1905~1908년, '5차원 공간에서 4차원 고주파 공간의 수', 피터 헨드릭 공동저자(DE AANTALLEN KWADRATISCHE HYPERRUIMTEN IN DE RUIMTE VAN VIJF AFMETINGEN)
  • 1908년, '평면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공간에 의한 8셀 블록 단면', 피터 헨드릭 공동저자(On the sections of a block of eightcells by a space rotating about a plane)
  • 1908년, '하나의 동일한 출처에서 파생된 5쌍의 4차원 셀', 피터 헨드릭 공동저자(On five pairs of four-dimensional cells derived from one and the same source)
  • 1910년, '정폴리토프와 공간 충전물에서 나온 다소 규칙적인 도형에 관한 기하학적 추론'(Geometrical deduction of semiregular from regular polytopes and space fillings)
  • 1910년, '부분적으로 정폴리토프인 도형과 그물 형태의 상호관계', 피터 헨드릭 공동저자(Reciprocity in connection with semiregular polytopes and nets)

출처

“Alicia Boole Stott”. 《Wikipedia》. 

  1. “Alicia BOOLE STOTT”. 《Scientific Women》. 
  2. “Alicia Boole Stott”. 《sthsmath》. 
  3. “Regular 4-polytope”. 《Wiki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