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국정교과서/2015/11월

최근 편집: 2017년 7월 23일 (일) 21:48
Salam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7월 23일 (일) 21:48 판 (같은 날에 같은 신문사에서 이중으로 수정발행된 기사 일부 삭제)

2015년 11월 국정교과서 관련 뉴스 모음

뉴스

출처

  1. “국정교과서 편찬위 확정.. 명단 미공개 논란”. 《세계일보》. 2015년 11월 30일. 
  2. “[뒤끝뉴스] 이름만 빌렸거나, 숨겼거나..국정교과서 집필진 미스터리”. 《한국일보》. 2015년 11월 27일. 
  3.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진영에서 나온 자성의 목소리”. 《한국일보》. 2015년 11월 27일. 
  4. '청와대 앞 1인 시위' 놓고 교육부-경기교육감 대립각”. 《연합뉴스》. 2015년 11월 26일. 
  5. “인천시의회 "시국선언교사 왜 징계 안해"..월권 논란”. 《연합뉴스》. 2015년 11월 26일. 
  6. “김제동 퇴출 요구하게 만든 1인 시위 문구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습니까?". 《스포츠경향》. 2015년 11월 25일. 
  7. “김제동, "인터넷 악플, 더 심각하고 폭력적이다" 무슨 일?”. 《스포츠서울》. 2015년 11월 25일. 
  8. “김제동,'엄마부대'에게 욕설까지 들어.."허접 쓰레기..정신 빠진 X아" 충격”. 《세계일보》. 2015년 11월 25일. 
  9. “韓유학생, 국정화 반대운동 시작한 미국인 말 한마디는?”.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24일. 
  10. “박 대통령 "복면시위 못하게"..SNS "복면가왕도 막아라". 《한겨레》. 2015년 11월 24일. 
  11. “野교문위원 "해도 너무해..국정교과서 밀실편찬 즉각 중단". 《뉴스1》. 2015년 11월 24일. 
  12. “진보교육감들, 보조교재 개발해 국정교과서 '맞불'..교육부와 갈등 우려”. 《헤럴드경제》. 2015년 11월 23일. 
  13. “국사편찬위, "국정교과서 집필진 인원 등 발표". 《YTN》. 2015년 11월 23일. 
  14. “[포토] '국정화 반대' 7차 청소년 거리행동”. 《한겨레》. 2015년 11월 21일. 
  15. “[하이라이트]도올 김용옥 "나라꼴이.. 개판이지.. 개판". 《오마이뉴스》. 2015년 11월 21일. 
  16. “NYT "박근혜 정부 민주주의 후퇴" 비판”. 《노컷뉴스》. 2015년 11월 21일. 
  17. “방북 공들이는 반기문..'반반' 꼬리표 떼나”. 《경향신문》. 2015년 11월 20일. 
  18. “전교조 '국정화 반대' 연가 투쟁..교육부 "중징계". 《JTBC》. 2015년 11월 20일. 
  19. '엄마부대' 김제동 퇴출시위나서..욕설난무 "허접 쓰레기" 충격”. 《세계일보》. 2015년 11월 20일. 
  20. “전교조 '국정화 반대' 연가투쟁..교육부 "집행부 고발"(종합2보)”. 《연합뉴스》. 2015년 11월 20일. 
  21. “김제동 퇴출 시위 나선 '엄마부대'는 '욕설부대'?”. 《오마이뉴스》. 2015년 11월 20일. 
  22. “국편, 국정교과서 필진 구성 완료..비공개 '깜깜이 편찬' 돌입하나”. 《뉴시스》. 2015년 11월 20일. 
  23. '국정화 찬성 의견' 4만장 조작 의혹..야당 수사 촉구”. 《JTBC》. 2015년 11월 19일. 
  24. “파리 도심에 울려퍼진 총성..'악몽의 순간' CCTV 공개”. 《JTBC》. 2015년 11월 19일. 
  25. '주말 도심 충돌' 과잉진압 40.7% vs 불법시위 38.2% '팽팽'. 《연합뉴스》. 2015년 11월 19일. 
  26. “[단독|'국정화 찬성 여론' 조작 의혹]인쇄소 측 "자정까지 교육부 보내야..오전에 급한 주문받아"”. 《경향신문》. 2015년 11월 19일.  |title=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27. “[단독] 국정화 '찬성의견' 4만장 인쇄 납품”. 《경향신문》. 2015년 11월 19일. 
  28. “현안 처리 총론엔 합의..이제부턴 '각론 전쟁'. 《경향신문》. 2015년 11월 17일. 
  29. “전병헌, 19일 당명 개정 실무회의.."金·安도 만날 것"(종합)”. 《뉴스1》. 2015년 11월 17일. 
  30. “문재인 "당 지지율 올리는 역할 못해 답답하고 송구하다". 《국민일보》. 2015년 11월 17일. 
  31. “76일만에 광주찾는 文 "문·안·박 꼭 되도록 노력"(종합)”. 《연합뉴스》. 2015년 11월 17일. 
  32. “경찰 '국정화 시국선언' 전교조 전임 소환통보”. 《연합뉴스TV》. 2015년 11월 17일. 
  33. “박근혜 등에 업은 교학사 교과서..교실에선 '짐짝' 취급”. 《노컷뉴스》. 2015년 11월 17일. 
  34. “국사편찬위에 역사교과서 편수실 신설..국정화 담당”. 《연합뉴스》. 2015년 11월 17일. 
  35. “[단독] 검경, '국정 반대' 전교조 수사 본격화..집행부 소환 통보”. 《JTBC》. 2015년 11월 16일. 
  36. '국정화 반대 선언' 교사 2만명 징계지침 충돌 예고”. 《한겨레》. 2015년 11월 16일. 
  37. “고대영 KBS사장 후보 "5·16, 군사정변이란 법원판결 존중"(종합)”. 《연합뉴스》. 2015년 11월 16일. 
  38. “[단독]이랜드 계열사, 면접서 '민감한' 정치 이슈 질의 '논란'.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16일. 
  39. “문재인 "정부, 국민 탄압에는 유능"..사과·국정조사 요구”. 《연합뉴스》. 2015년 11월 16일. 
  40. “[단독] 교육부, 국정화 행정예고 마지막 날 밤 직원들에 문자.."국정화 찬성 20만부 온다..밤새워 분류하라". 《경향신문》. 2015년 11월 16일. 
  41. “물대포와 쇠파이프.. 7년前 그 때와 같았다”. 《한국일보》. 2015년 11월 16일. 
  42. “도올 김용옥 "국정교과서는 단수 낮은 기획". 《한국일보》. 2015년 11월 16일. 
  43. '불법폭력시위'에 대응하는 경찰의 '폭력적' 자세”.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15일. 
  44. "교사 '국정화 반대' 여론, 62%에서 90%로 증가".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15일. 
  45. “교육부, '시국선언' 참여 전교조 일반교사 징계 착수”. 《연합뉴스》. 2015년 11월 15일. 
  46. “안철수 "朴대통령이 야당 힘 없는 거 잘 알아". 《노컷뉴스》. 2015년 11월 15일. 
  47. “[종합]경찰 물대포 맞고 쓰러진 농민, 뇌출혈로 3시간째 수술중”. 《뉴시스》. 2015년 11월 15일. 
  48. “횃불 행진하는 민중총궐기대회 참가자들”. 《뉴시스》. 2015년 11월 14일. 
  49. “7년만의 '10만' 집회 "노동개악·국정화 중단"..'격렬' 충돌, 광화문 혼란”.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14일. 
  50. '역사교과서 국정화' 찬성 의견서, 무더기 조작 의혹”. 《JTBC》. 2015년 11월 14일. 
  51. “가두시위 벌인게 교과서 때문? 거리로 나온 보수단체”. 《미디어오늘》. 2015년 11월 14일. 
  52. “세종대로 가득 메운 민중총궐기대회”. 《뉴스1》. 2015년 11월 14일. 
  53. “與, 국정교과서 대표 집필진 비공개 요구..국편 수용”. 《뉴스1》. 2015년 11월 14일. 
  54. '국정교과서·노동개혁 반대' 서울 도심 10만명 운집 집회”. 《뉴스1》. 2015년 11월 14일. 
  55. “이중으로 막은 경찰버스 차벽”. 《뉴시스》. 2015년 11월 14일. 
  56. “유은혜 "국정화 찬성 서명·의견 대량 조작 의혹". 《연합뉴스》. 2015년 11월 14일. 
  57. '국정교과서 반대 대규모 집회' 앞두고 정치권 긴장”.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14일. 
  58. “재신임 받은 문재인, 왜 또 사퇴론에 휩싸였나”. 《오마이뉴스》. 2015년 11월 13일. 
  59. “청년단체 국정교과서에 맞서 '자유교과서 선언'. 《경향신문》. 2015년 11월 13일. 
  60. “朴대통령, 안팎으로 역사전쟁..역사교과서 집회에 日 역사검증까지”. 《헤럴드경제》. 2015년 11월 13일. 
  61. "청와대로" 서울 도심에 10만 명 모인다”. 《오마이뉴스》. 2015년 11월 13일. 
  62. “행시서 사상검증.."국민일꾼 아닌 정권친위대 뽑나" 비판”. 《한겨레》. 2015년 11월 13일. 
  63. “교육부, '비밀논란 TF' 개명으로 '꼼수'..같은 조직 두번 출범”. 《뉴스1》. 2015년 11월 13일. 
  64. '마리텔' 이은결 편집 논란에 들어 있는 세 가지 의미”. 《엔터미디어》. 2015년 11월 12일. 
  65. “낮은 호남 지지율, 문재인 지도체제 변화 논란”. 《아이뉴스24》. 2015년 11월 12일. 
  66. “교과서 국정화 '헌법 심판대'에 올랐다”. 《한겨레》. 2015년 11월 11일. 
  67. "한국사 국정화는 '1948년 건국절' 보급하겠다는 발상". 《뉴스1》. 2015년 11월 11일. 
  68. "중학교 역사는 왜?" 교과서 국정화 미스터리”. 《이데일리》. 2015년 11월 11일. 
  69. “[단독]행정고시 최종 면접서 '사상 검증'.."국정화·박정희·종북세력 질문". 《경향신문》. 2015년 11월 11일. 
  70. '엄마부대' 등 보수단체 "'국정화 반대' 김제동 퇴출시켜라". 《경향신문》. 2015년 11월 11일. 
  71. “野비주류, 혁신모임 출범.."총선승리 위해 통합전대"(종합)”. 《뉴스1》. 2015년 11월 11일. 
  72. "교과서 선택권 침해" 국정 역사교과서 첫 헌법소원”. 《조선일보》. 2015년 11월 11일. 
  73. '나라사랑 예산' 234배나 올려달라고?”. 《주간경향》. 2015년 11월 11일. 
  74. “野, '정치혁신 2020' 오늘 출범..비주류 반격나서나”.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11일. 
  75. “[이슈분석] 중심 잃은 野, 이젠 손학규·정운찬·송영길에 "헬프"?”. 《국민일보》. 2015년 11월 11일. 
  76. “[팩트체크] 국정교과서 집필진 비공개..법적 문제 없나?”. 《JTBC》. 2015년 11월 10일. 
  77. “광복회 "1948년 '대한민국 수립'이란 기술 반대". 《한겨레》. 2015년 11월 10일. 
  78. “이번엔 '친일인명사전' 논란..새누리 "즉각 철회하라". 《JTBC》. 2015년 11월 10일. 
  79. “국정교과서 패러디 영상까지.. 신세대들의 유쾌한 저항”. 《한국일보》. 2015년 11월 10일. 
  80. “野 "박 대통령, 역사교과서 언급 자제해야"..가이드라인 우려(종합)”. 《뉴스1》. 2015년 11월 10일. 
  81. "글씨 왼쪽인데 좌편향 아닙니까" 전쟁터된 朴 대통령의 페북”. 《국민일보》. 2015년 11월 10일. 
  82. "美쇠고기 집회 이후 최대" 주말 집회..경찰 '최상위 비상령'.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10일. 
  83. “朴대통령 "역사 잘못 배우면 혼이 비정상"..국정화 의지 재확인”. 《아시아경제》. 2015년 11월 10일. 
  84. “野, 국정교과서 집필진 공개 촉구.."유신 때도 공개했었다".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10일. 
  85. “[종합]野, 역사교과서 집필진 공개 거듭요구”. 《뉴시스》. 2015년 11월 10일. 
  86. '문·안·박' 통합기구 꾸려 안팎 궁지 탈출 노리는 문재인”. 《한겨레》. 2015년 11월 9일. 
  87. “교과서는 국정화..보육은 교육청이 '빚내서 해라'. 《한겨레》. 2015년 11월 9일. 
  88. “국정교과서 필진 공모 사실상 '실패?'..'부실집필' 논란 불가피”. 《뉴시스》. 2015년 11월 9일. 
  89. “김무성 "역사교과서 싸움 지면 우리나라 망해"(종합)”. 《연합뉴스》. 2015년 11월 9일. 
  90. “국정화 반대집회 참가 학생들 소속 학교장 檢 고발당해”. 《세계일보》. 2015년 11월 9일. 
  91. "25명 이상 몰려"..국정교과서 집필진 공모 6시 마감”. 《뉴스1》. 2015년 11월 9일. 
  92. “[한수진의 SBS 전망대] 국사편찬위 "반대측 방해에도 25명 이상 공모 참여". 《SBS》. 2015년 11월 9일. 
  93. '비밀투성이' 국정교과서..집필진 '초빙' 늘리나”. 《노컷뉴스》. 2015년 11월 9일. 
  94. “[정치 톺아보기] 국정교과서 여론 절반 반대에도 정국 못 뒤집는 야당”. 《한국일보》. 2015년 11월 9일. 
  95. “[단독] 서울대 이준구 교수, "국정화는 현대판 분서갱유" 또 일갈”. 《세계일보》. 2015년 11월 9일. 
  96. “여야 민생 외치지만..노동개혁 등 '극과 극'. 《한겨레》. 2015년 11월 8일. 
  97. “연가투쟁·시국선언.. 거세지는 국정화 반발”. 《세계일보》. 2015년 11월 8일. 
  98. “국정교과서 필진 공모 마감 하루전..결과 '오리무중'. 《뉴시스》. 2015년 11월 8일. 
  99. '국정화 맞불' 친일인명사전 학교 비치 "박정희 포함". 《YTN》. 2015년 11월 8일. 
  100. “이종걸 "교과서 국정화 정치.여론에선 완승..고시 강행 결과는 패배 자인". 《국민일보》. 2015년 11월 8일. 
  101. “朴대통령, 다시 한 번 '국정화' 대국민 설득?..국무회의 주목”. 《뉴스1》. 2015년 11월 8일. 
  102. “김황수 "황교안 천안함 발언, 자신이 뭘 말한 지도 몰라". 《미디어오늘》. 2015년 11월 8일. 
  103. '국정화 찬성 시국선언'도 법리검토?..면죄부 수순”. 《노컷뉴스》. 2015년 11월 8일. 
  104. “[단독]서울 모든 중·고교에 친일인명사전 비치된다”.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8일. 
  105. “[칼럼] 국정화 반대 53%, 野 지지도 20%..그 함의는?”. 《노컷뉴스》. 2015년 11월 8일. 
  106. “교과서 국정화 찬반 '맞불 집회'..피켓·전단 여론전(종합)”. 《연합뉴스》. 2015년 11월 7일. 
  107. “9개 고고학회도 '국정' 집필 거부.. "획일적 역사 강제". 《JTBC》. 2015년 11월 7일. 
  108. “[종합]보수단체 "교과서 역사전쟁..좌편향 교과서 퇴출해야". 《뉴시스》. 2015년 11월 7일. 
  109. “빗속에도 '국정화 반대' 집회 강행.."14일 총궐기".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7일. 
  110. “6년만의 전교조 '시국선언' 수사..속도 낼 듯”. 《연합뉴스TV》. 2015년 11월 7일. 
  111. “[종합]여야 끝없는 신경전.."민생" vs "민생+교과서". 《뉴시스》. 2015년 11월 7일. 
  112. “새정치의 사상, 진보주의? 자유주의? 보수주의?”. 《한겨레》. 2015년 11월 7일. 
  113. “[국정화 불복종 확산]"건국 쓸 수 없다면 '정부' 용어 빼자" 뉴라이트 주장, 새 교육과정에 수용”. 《경향신문》. 2015년 11월 7일. 
  114. “최몽룡 집필진 사퇴, 여기자 볼에 뽀뽀하고 신체 더듬어? "농담했지만 접촉하지 않아". 《스포츠한국》. 2015년 11월 7일. 
  115. “집필진 참여부터 사퇴까지..최몽룡 교수 '논란의 4일'. 《JTBC》. 2015년 11월 6일. 
  116. “野 "국정교과서 집필에 軍 참여? 제정신인가". 《뉴시스》. 2015년 11월 6일. 
  117. “野의총서 농성해제 결정..9일부터 국회정상화”. 《뉴시스》. 2015년 11월 6일. 
  118. “경찰, 교과서 집필진에 폭행·협박·명예훼손 엄단”. 《연합뉴스》. 2015년 11월 6일. 
  119. “[단독]'성추행 논란' 최몽룡 교수 "집필진 사퇴". 《채널A》. 2015년 11월 6일. 
  120. “갤럽 "朴대통령 지지율 10주만에 최저치..국정화 영향". 《연합뉴스》. 2015년 11월 6일. 
  121. “[단독] 최몽룡 여기자 성추행 논란..해명 "평소 때 그래". 《MBN》. 2015년 11월 6일. 
  122. “軍, 국정교과서 집필 참여.."6·25전쟁-4·3사건 등 기술 잘못돼". 《뉴스1》. 2015년 11월 6일. 
  123. “국정 반대 학계 '대안 교과서'로 맞불놓나..개발 착수”. 《연합뉴스》. 2015년 11월 6일. 
  124. “최몽룡 교수, 취재기자에게 부적절한 언행”. 《조선일보》. 2015년 11월 6일. 
  125. “52.6% vs 42.8%.. 국정화 반대 여론↑”. 《세계일보》. 2015년 11월 5일. 
  126. “국정화 고시 이후 與 수도권 의원들 '입' 닫았다.. 朴 대통령 눈밖에 나면 '끝' 인식”. 《국민일보》. 2015년 11월 5일. 
  127. “박 대통령 "뚜렷한 역사관이 통일의 선결 조건". 《SBS》. 2015년 11월 5일. 
  128. “최몽룡 교수, "현정택 수석 전화 받았다" 재차 확인”. 《시사INLive》. 2015년 11월 5일. 
  129. “문재인 "48년 8·15 건국? 北 이롭게 하는 이적행위". 《뉴시스》. 2015년 11월 5일. 
  130. “朴대통령, '통일' 고리로 교과서 국정화 당위성 강조”. 《뉴시스》. 2015년 11월 5일. 
  131. '역사교과서 발언' 이정현 의원 모욕죄로 고발당해(종합)”. 《뉴스1》. 2015년 11월 5일. 
  132. “교육부 "문재인, 적법절차 불법·탈법으로 몰아 국민호도". 《뉴스1》. 2015년 11월 5일. 
  133. “국정교과서 필진에 '원로만 있다?'..거론 학자들 대다수가 60·70대”. 《뉴시스》. 2015년 11월 5일. 
  134. “최몽룡 "제자들이 몸으로 막았지만 교과서는 나의 업". 《중앙일보》. 2015년 11월 5일. 
  135. “안철수, 국정화 대응 당 전략 비판.."다수당 되는게 정공법". 《뉴스1》. 2015년 11월 4일. 
  136. '1호관보' 가져온 정청래 "이승만도 임시정부 법통 인정". 《뉴시스》. 2015년 11월 4일. 
  137. “朴대통령, 野교과서 공세에 경제·민생으로 맞대응”. 《연합뉴스》. 2015년 11월 4일. 
  138. “[종합]문재인 "물러서지 않겠다..국정화금지법·헌법소원 추진". 《뉴시스》. 2015년 11월 4일. 
  139. “문재인 교과서 회견 "금지법 제정·헌법소원..이제 시작".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4일. 
  140. “도올 김용옥 "국정화는 교과서판 '세월호' 사건..눈물 쏟아져". 《노컷뉴스》. 2015년 11월 4일. 
  141. “김무성, "국회의원 직장은 국회, 계속 무단결근한다면 고용주인 국민이 가만있지 않아". 《경향신문》. 2015년 11월 4일. 
  142. “14일 '국정화 반대' 서울서 10만명 모인다..경찰, 전국 동원령”. 《뉴스1》. 2015년 11월 4일. 
  143. “문재인, 오늘 국정화 반대 대국민담화..여야 갈등 최고조”. 《뉴시스》. 2015년 11월 4일. 
  144. “국정화 반대 의견 68%는 안중에도 없었다”. 《한국일보》. 2015년 11월 4일. 
  145. “국정화 발표날, 황총리 vs 새정치연합 검정교과서 공방”. 《연합뉴스》. 2015년 11월 3일. 
  146. "교학사 안 봐서 편향됐다니.."'국정교과서 확정' 한숨짓는 시민들”.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3일. 
  147. “김제동 "역사는 사람들의 마음"..교과서 국정화 반대의사 밝혀”. 《마이데일리》. 2015년 11월 3일. 
  148. “황총리 "검정제 실패..현 교과서 사실상 편향 1종뿐"(종합)”. 《연합뉴스》. 2015년 11월 3일. 
  149. “김무성 "확정고시 속시원..정쟁이 국익 우선 못해". 《뉴스1》. 2015년 11월 3일. 
  150. “역사교과서 2017년부터 국정화 최종 확정(종합)”. 《연합뉴스》. 2015년 11월 3일. 
  151. “김무성-원유철, '피켓 시위'. 《뉴스1》. 2015년 11월 3일. 
  152. “문재인 "국정화 확정고시 강행, 이게 바로 독재". 《뉴스1》. 2015년 11월 3일. 
  153. “국정화 반대 대학생들, 정부서울청사 앞서 '밤샘농성'. 《뉴시스》. 2015년 11월 3일. 
  154. “정부, 오늘 오전 '국정화' 확정고시..정국 혼란 불보듯”. 《뉴스1》. 2015년 11월 3일. 
  155. “[단독]황우여 부총리, 국정화 확정 고시 앞당긴 게 '수능' 때문?”. 《경향신문》. 2015년 11월 2일. 
  156. “협조 공문 보내..여 '국정화 찬성 독려' 조직동원 논란”. 《JTBC》. 2015년 11월 2일. 
  157. “[단독]이승환 국정화 반대 콘서트 확정 '한쪽 눈을 가리지 마세요'. 《뉴스엔》. 2015년 11월 2일. 
  158. “황총리, 내일 오전 11시 역사교육 정상화 입장 발표(종합)”. 《연합뉴스》. 2015년 11월 2일. 
  159. “김무성 "교사용 지도서는 내용이 완전히 빨갛다". 《뉴시스》. 2015년 11월 2일. 
  160. “국정 교과서 의견수렴 오늘까지..3일 확정 고시할 듯”. 《이데일리》. 2015년 11월 2일. 
  161. “아모레퍼시픽 "국정 교과서 질문, 지원자 평가위한 것". 《아시아경제》. 2015년 11월 2일. 
  162. “교육감까지 청와대 앞 시위.. 경찰이 막은 까닭”. 《오마이뉴스》. 2015년 11월 2일. 
  163. “[한수진의 SBS 전망대] 이종걸 "선거 패배, 사퇴로 책임지는게 전통인데..". 《SBS》. 2015년 11월 2일. 
  164. “(단독)아모레퍼시픽 면접서 국정 교과서 찬반 사상 검증 논란”. 《뉴스토마토》. 2015년 11월 2일. 
  165. “황교안·최경환 '예비비' 또 거짓말”. 《한겨레》. 2015년 11월 1일. 
  166. "보수의 승리" "불복종 운동".. 여야 대치 최고조”. 《세계일보》. 2015년 11월 1일. 
  167. “5일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 앞두고 고교생까지 시위.. 혼란 확산”. 《파이낸셜뉴스》. 2015년 11월 1일. 
  168. “與 '포스트 국정화' 대비 태세.."이제는 민생·경제". 《연합뉴스》. 2015년 11월 1일. 
  169. '유관순은 없고 주체사상은 있다'..'누워서 침뱉는' 교육부 국정화 홍보”. 《헤럴드경제》. 2015년 11월 1일. 
  170. “文 "김무성, 자유민주주의 신봉세력 아님을 스스로 고백". 《연합뉴스》. 2015년 11월 1일. 
  171. “확정고시 'D-4' 역사전쟁 운명의 한주..향후 전망은?”.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1일. 
  172. “대학 캠퍼스서 지팡이 휘두르며 고함 지르는 '어르신'들”.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1일. 
  173. “여야, 금주 '역사전쟁' 최고조..'확정고시 이후' 모색도”. 《뉴스1》. 2015년 11월 1일. 
  174. "라면 8개, 진짜였네" 이대 여성대회 참가 사진 시끌”. 《국민일보》. 2015년 1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