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형이 사용되는 총칭명사

최근 편집: 2017년 12월 14일 (목) 12:41
낙엽1124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12월 14일 (목) 12:41 판 (일부 디폴트(58066판), 성차별적인 언어 표현(61541판)에서 이동했습니다)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여성형과 남성형이 따로 존재하는 어휘 중 남성형이 총칭명사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시

영어

  • 영어에서 맨(Man)은 남성을 뜻하는 단어인 동시에 인간의 총칭명사로도 쓰인다. 폴리스 오피서(Police Officer), 파이어 파이터(Fire Fighter)로 교정되기 이전의 폴리스 맨(Police Man), 파이어 맨(Fire Man>)과 같은 용례에서 알 수 있다. 반면 여자를 뜻하는 우먼(Woman)은 그렇게 사용되지 않는다.[1]

한국어 및 한자 문화권

  • 자식·여식, 손자·손녀, 형제·자매, 소년·소녀 등.[1]
  • 한자 문화권에서도 아들 자(子)와 지아비 부(夫)와 같이 남성을 나타내는 한자가 총칭명사로 흔히 쓰인다. 자궁(子宮), 농부(農夫) 등의 단어에서 이를 알 수 있다.
  • '여배우', '여의사'와 같이 대응어가 존재하지 않는 여성임을 강조하는 표현들 역시 남성을 디폴트로 맞추고 있다.

원인

사회가 인간 전체를 대표하는 것을 남성으로 여기고 여성을 배제하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을 참고할 것 디폴트가 남성이라는 생각

영향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출처

  1. 1.0 1.1 최혜영(1998). 국어에 나타난 성차별적 표현 연구, 25쪽 "영어의 경우 'man'은 남성을 나타내기도 하고 남성/여성을 총칭하기도 한다. 그러나 'woman'은 'man'에 대한 비본질적이고 우연적인 존재(an accidental being)로 인식되어 여성만을 나타낸다. 언어는 여성을 무시하고 배제한다. 오로지 남성이 인간에 대해 기준과 규범으로 간주되는데 반해, 여성은 남성을 통해 규정되며 부차적이고 종속적이어서 '함께 의미될'따름이다." "남성을 지칭하는 자식(子息)과 여성을 지칭하는 여식(女息)과 같이 남성과 여성을 지칭하는 어휘들이 분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성을 지칭하는 자식이 여성도 포괄하는 총칭으로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