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헌법 부칙

최근 편집: 2016년 10월 29일 (토) 21:51
탕수육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10월 29일 (토) 21:51 판 (새 문서: 대한민국 헌법 '부칙'은 ... == 본문 == 다음은 대한민국 헌법 '부칙'의 본문이다.<ref name="fulltext">{{웹 인용|website=국가법령정보센터|title=...)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대한민국 헌법 '부칙'은 ...

본문

다음은 대한민국 헌법 '부칙'의 본문이다.[1]

제1조 이 헌법은 1988년 2월 25일부터 시행한다. 다만, 이 헌법을 시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법률의 제정·개정과 이 헌법에 의한 대통령 및 국회의원의 선거 기타 이 헌법시행에 관한 준비는 이 헌법시행 전에 할 수 있다.

제2조 ①이 헌법에 의한 최초의 대통령선거는 이 헌법시행일 40일 전까지 실시한다. ②이 헌법에 의한 최초의 대통령의 임기는 이 헌법시행일로부터 개시한다.

제3조 ①이 헌법에 의한 최초의 국회의원선거는 이 헌법공포일로부터 6월 이내에 실시하며, 이 헌법에 의하여 선출된 최초의 국회의원의 임기는 국회의원선거후 이 헌법에 의한 국회의 최초의 집회일로부터 개시한다. ②이 헌법공포 당시의 국회의원의 임기는 제1항에 의한 국회의 최초의 집회일 전일까지로 한다.

제4조 ①이 헌법시행 당시의 공무원과 정부가 임명한 기업체의 임원은 이 헌법에 의하여 임명된 것으로 본다. 다만, 이 헌법에 의하여 선임방법이나 임명권자가 변경된 공무원과 대법원장 및 감사원장은 이 헌법에 의하여 후임자가 선임될 때까지 그 직무를 행하며, 이 경우 전임자인 공무원의 임기는 후임자가 선임되는 전일까지로 한다. ②이 헌법시행 당시의 대법원장과 대법원판사가 아닌 법관은 제1항 단서의 규정에 불구하고 이 헌법에 의하여 임명된 것으로 본다. ③이 헌법중 공무원의 임기 또는 중임제한에 관한 규정은 이 헌법에 의하여 그 공무원이 최초로 선출 또는 임명된 때로부터 적용한다.

제5조 이 헌법시행 당시의 법령과 조약은 이 헌법에 위배되지 아니하는 한 그 효력을 지속한다.

제6조 이 헌법시행 당시에 이 헌법에 의하여 새로 설치될 기관의 권한에 속하는 직무를 행하고 있는 기관은 이 헌법에 의하여 새로운 기관이 설치될 때까지 존속하며 그 직무를 행한다.

역사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해설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함께 읽기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참조

  1. “대한민국헌법”. 《국가법령정보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