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리샤 불 스톳

최근 편집: 2022년 12월 24일 (토) 18:36
[1]

얼리샤 불 스톳(alicia boole stott, 1860년 6월 8일 ~ 1940년 12월 17일)는 아일랜드수학자이다.

아일랜드의 도시 코크에서 다섯자매 중 셋째로 태어났다. 아버지였던 수학자 조지 불(George Boole)이 1864년에 세상을 떠난 뒤, 어머니 수학자 메리 에버레스트 불(Mary Everest Boole)에게 기하학을 교육받으며 자라났고 다섯자매 중 가장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18살때에는 하이퍼큐브[2]를 접하면서 4차원에 관한 감각을 키웠다.

[3]

얼리샤는 루드비히 쉴러 리프(Ludwig Schläfli)의 방정식 없이, 폴리토프(polytopes)[4]를 확인하고 최초로 이 4차원도형의 이름을 정의한 뒤, 정폴리토프(Regular polytope)[5]의 중앙 단면을 6종류 모두 종이 모형으로 구현화하였다.

1894년 얼리샤의 600-cell 도형그림과 중앙 단면 모형[6]
4차원도형의 3차원 단면 그리기[7]
정팔포체 폴리토프(Tesseract)[8]

1895년에 수학자 피터 헨드릭 스하우터(Pieter Hendrik Schoute)와 정폴리토프에 관하여 정식으로 협동연구를 시작하여, 1900년부터 1910년까지 총 6개의 논문을 발표하고, 1914년에 흐로닝언 대학교로부터 명예 박사학위를 받았다.

1923년에 피터 헨드릭이 세상을 떠나자 연구가 중단된 것처럼 보였지만, 1930년부터 해럴드 스콧 맥도널드 콕서터(Harold Scott MacDonald Coxeter)와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다시 협동연구를 시작했다.

1940년 12월 17일에 얼리샤가 세상을 떠난 뒤, 2001년에 흐로닝언 대학교에서 서명없는 다면체 도면이 발견되자 곧바로 얼리샤의 작업 중 하나로 인정되었다.

논문

  • 1900년, '4차원 정폴리토프의 특정 계열 단면'(On certain Series of Sections of the Regular Four-dimensional Hypersolids)
  • 1905~1908년, '5차원 공간에서 4차원 고주파 공간의 수', 피터 헨드릭 공동저자(DE AANTALLEN KWADRATISCHE HYPERRUIMTEN IN DE RUIMTE VAN VIJF AFMETINGEN)
  • 1908년, '평면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공간에 의한 8셀 블록 단면', 피터 헨드릭 공동저자(On the sections of a block of eightcells by a space rotating about a plane)
  • 1908년, '하나의 동일한 출처에서 파생된 5쌍의 4차원 셀', 피터 헨드릭 공동저자(On five pairs of four-dimensional cells derived from one and the same source)
  • 1910년, '정폴리토프와 공간 충전물에서 나온 다소 규칙적인 도형에 관한 기하학적 추론'(Geometrical deduction of semiregular from regular polytopes and space fillings)
  • 1910년, '부분적으로 정폴리토프인 도형과 그물 형태의 상호관계', 피터 헨드릭 공동저자(Reciprocity in connection with semiregular polytopes and nets)

출처

“Alicia Boole Stott”. 《Wikipedia》. 

  1. “Alicia BOOLE STOTT”. 《Scientific Women》. 
  2. 찰스 하워드 힌튼(Charles Howard Hinton)이 4차원 도형을 묘사하기위해 만든 블록
  3. “Polytope”. 《Wikipedia》. 
  4. 다포체. 다각형이나 다면체 등의 도형을 임의의 차원으로 확장한 것. “다포체”. 《위키백과》. 
  5. 각 면이 정칙 폴리토프여서 최대의 대칭을 가진 폴리토프.“정다포체”. 《위키백과》. 
  6. “Fig. 4. Schoute’s drawing [Schoute, 1894c] and Boole Stott’s model of the central section of the 600-cell. (Courtesy of the University Museum, Groningen.)”. 《ResearchGate》. 
  7. “Alicia Boole Stott”. 《sthsmath》. 
  8. “Regular 4-polytope”. 《Wiki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