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생추어리의 토론 주제

6번째 줄: 6번째 줄:


다만 외국어를 번역해오는 과정에서, 해당 외래어가 한글번역어보다 더 큰 광의의 이미를 담고 있다면, 한글로 순화를 할때 삭제되는 맥락이 생기는 것 같아요.
다만 외국어를 번역해오는 과정에서, 해당 외래어가 한글번역어보다 더 큰 광의의 이미를 담고 있다면, 한글로 순화를 할때 삭제되는 맥락이 생기는 것 같아요.
동물보호라는 단어는 동물권 운동에서 추구하는 가치를 제대로 품고 가지 못하지 않나 하는 고민이 들어요. 또한 '보호'라고 하기에는 "생추어리"는 보호 이상의 주거권 생명권 등을 이야기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그래서 한글순화어가 영어표현이 포함하고 있는 많은 맥락을 다 커버할 수 없다면 원어 표기방식이 더 알맞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한글순화어가 영어표현이 포함하고 있는 많은 맥락을 다 커버할 수 없다면 원어 표기방식이 더 알맞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제안드리는 바는, 문서 내에 추가 항목을 넣어 번역의 문제나 순화의 문제를 다루는 것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