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come to Video

최근 편집: 2019년 10월 18일 (금) 11:34
낙엽1124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10월 18일 (금) 11:34 판 (새 문서: thumb|폐쇄 후 부착될 안내문 이미지2015년 6월 부터 2년 8개월간 운영된, 가상통화를 받고 아동 포르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폐쇄 후 부착될 안내문 이미지

2015년 6월 부터 2년 8개월간 운영된, 가상통화를 받고 아동 포르노를 유통하던 다크웹 사이트로 한국인에 의해 운영되었다.[1] 한·미·영 국제 공조수사로 폐쇄되었다.[1]

규모

유료회원 4천여 명으로부터 7,300여 회에 걸쳐 4억여원 상당의 가상통화(비트코인)를 받았으며 25만건의 아동포르노를 유통했다.

적발된 이용자 중 한국인이 223명으로 가장 많고 미국 92명, 영국 18명 순이다. 비밀 사이트 유료회원만 세계 38개국 4000여명, 다운로드 횟수도 100만 건이 넘는다.[2]

폐쇄

2019년 10월 16일(현지시간) 최종수사결과의 언론발표 시점을 기준으로 사이트의 접속 화면이 '한·미·영 등 법집행기고간들의 공조수사에 의해 폐쇄되었다'는 내용으로 공조 국가들의 국기 및 한글·영문으로 작성된 폐쇄 안내문이 표시될 예정이다.[2] 운영자 손종우는 검거, 구속되었다.[2]

이용자 처벌

12개국 이용자 337명은 체포·적발되었고 미 법무부가 공개한 이용자 적발 사례는 다음과 같다(일부).[2]

  • 텍사스주 전직 국토안보부 수사 요원인 리처드 그래코프스키(40)은 1회 다은로드와 시청 목적의 1회 접속 혐의로 징역 70개월, 보호관찰 10년형과 7명의 피해자에게 3년 5000달러 배상을 선고받았다.[2]
  • 영국의 카일 폭스(26)는 다설살 소년을 강간하고, 3살 여자아이를 성추행하는 장면을 웰컴 투 비디오 사이트에 공개하여 아동 강간, 성폭행 및 아동 포르노 공유 등 혐의로 22년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이다.[2]

역사

  • 2015년 6월 - 운영 개시[2]
  • 2019년 10월 16일(미국시간) - 공조수사결과 발표[2]

출처

  1. 1.0 1.1 이석만 기자 (2019년 10월 18일). “아동음란물 사이트 '다크웹' 연루 국제망신 산 한국인 223명”. 《뉴스렙》. 
  2. 2.0 2.1 2.2 2.3 2.4 2.5 2.6 2.7 정효식 기자 (2019년 10월 18일). “아동음란물 다크넷 비밀사이트 이용자 337명 적발 223명은 한국인”.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