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당

최근 편집: 2019년 11월 8일 (금) 10:58
신인류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11월 8일 (금) 10:58 판

공산당(러시아어: Коммунистическая партия, 영어: Communist party, 共産黨)은 공산주의를 이념으로 하는 정당을 뜻한다.

개요

벨기에의 청년헤겔파 사회주의 조직인 브뤼셀 공산주의자 연락위원회(Communist Correspondence Committee of Brussels)와 영국의 기독교 사회주의 단체인 정의자동맹(League of the Just)이 1847년 6월에 합당하여 만들어진 '공산주의자동맹'(Communist League)이 그 시초이다. 공산주의자동맹 창당 시기에 쓰여진 선언문이 바로 『공산당 선언』(독일어: Manifest der Kommunistischen Partei)이다.

공산주의자동맹의 맹원들은 급진적 공화주의자들이 요구하던 기초적 요구와 더불어 자본주의 사회가 갖고 있는 비인간성을 비판하였고, 자본주의 사회보다 질적으로 더 높은 사회 단계를 이룰 것을 선언하였다. 그러나 정의자동맹의 지도자였던 빌헬름 바이틀링과 연락위원회에서 주도적 역할을 했던 칼 마르크스의 노선 차이로 인해 수시로 다퉜고 결국 1852년에 동맹을 해산하게 된다.[1]

이후 제1국제당 내에서 마르크스주의가 지배적인 투쟁 사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고, 1869년에는 과거 급진적 공화주의자들의 연락위원회의 조직 구성 방식을 모방한 '독일 사회민주노동당'(독일어: Sozialdemokratische Arbeiterpartei)이 창당된다. 이 정당은 중앙유럽 지역에서 강력한 사회주의 정당으로 급부상하였다. 사회민주노동당의 구성원은 모두가 마르크스주의자는 아니었으며, 온건한 사회주의자들도 존재했었다.[2] 1875년에는 '독일 사회민주당'으로 개칭했으며, 유럽 각국의 사회주의 정당은 모두 이 독일 사회민주당의 양식을 그대로 도입하여 형성되었다. 후술될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도 역시 독일 사회민주당의 구성을 모방한 것이었다.

그러나,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당은 전쟁 지지파와 전쟁 반대파와 나눠지는데, 결국 전쟁 지지파가 독일 사회민주당의 다수파를 형성하게 되면서 제2국제당의 붕괴와 함께 독일 사회민주당도 급격히 유럽에서의 지도적 위상을 잃게 된다. 종전 후에는 바이마르 공화국의 부르주아민주주의적 원칙에 따라 일반 대중 정당의 기능으로 온건화된다. 하지만, 1917년 2월에 혁명을 주도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의 위상은 급격히 올라가게 되었다.[3] 특히, 4월 테제를 발표하여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라는 슬로건을 채택한 볼셰비키파[4]의 영향력이 사회주의 운동에서 강력한 파벌을 형성하면서 나아갔다. 1918년 3월, 볼셰비키파는 이른바 '사회민주주의자'라 불렸던 개량주의 분파와 완전히 결별을 하였고, 동시에 멘셰비키[5]를 배제하여 조직 명칭을 '러시아 공산당'으로 바꿨고 독자적인 정당 구조를 갖게 되었는데, 바로 이 조직 구조가 현재까지 존재하는 공산당의 조직 형태로 이어지고 있다.

구성

러시아 볼셰비키파가 러시아 공산당으로 개칭하여 당 구조를 개편한 이후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공산당의 기본 세포 골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 골자는 '민주주의적 중앙집권제'(러시아어: Демократический централизм)라 불리는 원칙에 있다. 민주주의적 중앙집권제는 하급당 조직과 상급당 조직으로 조직을 나눈 뒤, 실정적 측면에서는 하급당의 역할을 중시하고, 이들의 보고에 의지하되, 결정은 상급당에 포함된 당원이 결정하여, 결정한 사안에 대해서는 모든 하급당이 기본적으로 따라야 한다는 원칙이다. 이러한 원리의 강조는 당내 종파 행위를 막아서 혁명에서 굳건한 단결성을 유지하기 위함이 있다. 상급조직은 정치국(Politburo), 중앙위원회(Central Committee), 집행위원회(Executive Committee)로 나뉘며, 하급 조직은 지역당위원회 내 세포 조직 전체를 아우른다.

성분

현대 사회에서 권력을 잡지 못 한 공산당의 경우는 사실상 대중 정당의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몇몇 공산당의 경우는 의회주의를 극도로 멀리하여 불법지하활동을 감행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대중 정당이 아닌, 투쟁 지도의 중축을 담당하는 엘리트 집단으로 기능한다. 또한, 현재 존재하는 사회주의국가의 공산당은 대중 정당이 아니며, 노동자 중 우수한 능력이 인증된 자에 한해서만 가입할 수 있다.

블라디미르 레닌의 조직 이론에 따라, 공산당에 가입한 당원은 중앙위원회를 선출할 자격을 가지며, 동시에 중앙위원회 위원이 될 수 있는 피선거권을 갖고 있다. 그리고 당원은 비당원에 비해 높은 권리를 누리는 대신에 생활 면에서 엄격해야 하며, 스스로의 정예화를 위해 자기노력을 게을리해서 안 된다. 이러한 점에서 공산당은 처음부터 전체주의국가에서 권위주의적 엘리트 집단으로 변질될 가능성을 갖고 있았다.

정치국

정치국은 공산당의 제일 중심에 위치한 권력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정치국원은 중앙위원회가 선출하기도 하며, 정치국원 집단의 내정에 의해 임명되기도 한다. 대부분 국가의 공산당 정치국은 최일선에서 노동운동을 하다가 공산당 창당에 기여한 핵심 성원들이 맡게 된다. 사회주의국가에서 정치국원도 역시 핵심 권력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정치국원이 경제, 군사, 내무, 문화, 사상 면에서의 핵심 권력을 겸직하는 경우가 아주 많다.

중앙위원회

중앙위원회는 공산당의 두뇌라고 할 수 있다. 흔히, '당중앙'이라고 하는 말은 이 중앙위원회를 가리킨다. 이들은 당대회에서 당원들에 의해 선출되며, 공산당이 행하는 여러 투쟁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중앙위원회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정치국도 중앙위원회를 무시할 수 없으며, 공산당의 투쟁 방침은 정치국과 중앙위원회의 공동 논의에 따라 결정된다.

집행위원회

집행위원회는 공산당의 입법 기구이다. 집행위원회는 처음부터 존재하는 조직이 아니라, 공산당이 일정한 영토를 획득하여 기타 입법 처리를 해야 할 상황이 생기면 조직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상황에서도 입법 행위의 향방을 결정하는 핵심 기관은 중앙위원회이기 때문에 집행위원회는 사실상 중앙위원회의 뜻을 집행하는 형식적인 기관에 불과하다. 국가 성립 이후에는 없어지거나, 민간 입법기관의 권한을 견제하여 공산당의 독재를 수월하게 하기 위해 존재한다.

주석

  1. David Fernbach, "Introduction" to Karl Marx, The Revolutions of 1848. New York: Random House, 1973; pg. 23.
  2. Bonnell(2005) 『The people's stage in Imperial Germany: social democracy and culture 1890-1914』, p. 37.
  3. Julius Braunthal (1980),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1914-1943, Vol 2』, p38, 52
  4.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내 급진파
  5.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내 온건파였다. 이들은 10월 혁명까지 '정통마르크스주의'를 표방하고 있었으나, 10월 혁명 이후부터는 급격히 우경화되어 독일 사회민주당의 개량주의를 받아들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