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다 러브레이스

최근 편집: 2019년 12월 20일 (금) 19:52
Adela Danvers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12월 20일 (금) 19:52 판 (→‎생애[1])
에이다 러브레이스
Augusta Ada King, Countess of Lovelace Edit this on Wikidata
출생1815년 12월 10일
런던 Edit this on Wikidata
사망1852년 11월 27일
매릴번 Edit this on Wikidata
매장지Church of St. Mary Magdalene, Hucknall Edit this on Wikidata
국적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Edit this on Wikidata
직업
  • 수학자
  • 프로그래머
  • 시인
  • 컴퓨터 과학자
  • 발명가
  • 역자
  • 작가
  • 기술자
  • 소속
    • 케임브리지 대학교
    정보 수정

    개요

    최초의 컴퓨터 프로그래머, 영국의 수학자이자 작가다.

    기계가 연산을 수행하도록 명령문을 처음 작성한 최초의 프로그래머다.

    에이다(Ada)언어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발명하는 데 공헌한 에이다 러브레이스의 이름을 땄다.

    업적

    컴퓨터의 개념, 특히 Jacquard의 직조기 카드[주 1]의 아이디어로부터 나온 프로그램-내장이라는 개념의 중요성을 예리하게 이해했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는 Loof Statement, GOTO Statement, IF Statement 같은 제어문의 개념을 소개하였다. 그는 서브루틴에 관한 개념도 고안해, 1948년 모리스 윌키스가 개발한 최초의 어셈블리어에 기반이 되었다.

    생애[1]

    본명은 어거스타 에이다 바이런(Augusta Ada Byron)이다. 에이다는 1815년 12월 10일에 영국에서 태어났다. 그는 앤 이사벨라 밀뱅크(Anne Isabella Milbanke)와 유명한 낭만파 시인 바이런(Byron)의 딸로 태어났다. 바이런은 에이다가 태어나고 한 달 후 그들을 떠났다. 러브레이스의 어머니 앤은 에이다가 방탕한 아버지를 닮지 않길 바라는 마음에 아버지 바이런의 시를 읽는 것을 금지시켰다. 또한 아버지의 기질을 닮지 않도록 여러 명의 뛰어난 스승들에게 수학과 과학을 배우도록 하였다. 선구적인 여성 과학자 매리 서머빌(Marry Somerville)과 기호논리학의 지지자였던 유명한 수학자 오거스터스 드 모르간(Augustus de Morgan) 등이 러브레이스를 가르친 스승이었다. 앤 이사벨라 밀뱅크는 당시 여성으로는 드물게 캠브리지 대학교 교수 출신의 스승들로부터 철학, 과학, 수학을 배웠고, 자신의 딸도 같은 길을 걷도록 하겠다고 결심했다.

    러브레이스는 어린 시절 대부분을 외할머니의 보살핌을 받으며 자랐다. 그 후 긴 병치레 기간 동안 여러 보모들의 손을 거치며 간호를 받았다. 13세 때는 지독한 홍역 때문에 몸이 마비되어 거의 1년 동안 침대에 누워 지냈고, 회복된 후에도 12개월 동안 목발에 의지하여 겨우 걸을 수 있을 정도였다.

    종이 위에다 자신만의 비행기를 설계하고 비행에 관한 모든 것을 담은 『비행학』이라는 책을 쓰기도 했다.

    러브레이스는 19살에 결혼하였지만 "결혼생활이 수학에 대한 나의 열정을 위축시키지 못한다"고 썼다.[2] 27세 때 스승 찰스 배비지의 해석기관에 대한 프랑스어 논문을 번역하면서 방대한 주석을 붙여 출간했다.[2] 에이다는 1852년에 36세에 암으로 세상을 떠났다.[3]

    업적

    • 배비지의 차분기관[주 2]과 해석기관[주 3]을 공동 작업하였다.
    • 1842년에 배비지의 해석기관에 대한 분석을 출판하여, 서브루틴, 루프, 점프제어문의 개념과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1843년에는 에이다의 노트가 Richard Taylor의 Scientific Memoirs Volume 3에 실리기도 하였다. [4]

    평가

    • 미국 언론인 월터 아이잭슨은 "그의 통찰은 디지털 시대의 핵심 개념이 됐다"고 평가했다.[2]

    부연 설명

    1. 1800년대 초에 등장한 카드의 형태를 천의 문양으로 바꾼 'programmed' 기계. 카드나 종이테이프의 형태로 기계의 작동에 영향을 주는 데이터를 공급한다.
    2. 기계식 수동 계산기
    3. 기계적 범용 컴퓨터 설계. 펀칭 카드에 손으로 일일이 구멍을 뚫어 데이터 기호를 기록하고 기계가 읽어내는 형태.

    출처

    1. “에이다 러브레이스의 생애”. 
    2. 2.0 2.1 2.2 천지우 기자 (2018년 4월 18일). “[And 월드] 컴퓨터 나오기 100년 전, 그녀는 이미 상상했다”. 《국민일보》. 
    3. “Ada Byron Countess of Lovelace”. 《San Diego Supercomputer Center (SDSC)》. 
    4. “Augusta Ada King, countess of Lovelace”.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