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윈주의 페미니즘

최근 편집: 2016년 8월 29일 (월) 11:02
탕수육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8월 29일 (월) 11:02 판 (역사 추가)
경고 이 틀은 사용하지 말아주세요.
토막글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새로운 내용을 추가해주세요.

다윈주의 페미니즘(Darwinian feminism, evolutionary feminism 등으로 불림)은 진화생물학, 진화심리학 등 현대 진화론 및 관련 학문의 연구를 수용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페미니즘의 한 조류이다.

요약

페미니즘 철학자이자 Who's Afraid of Charles Darwin의 저자인 Griet Vandermassen에 의하면 진화심리학페미니즘은 상호보완적 관계에 놓여있다.[1] 진화심리학은 여성 연구자들의 적극적 참여를 통해 기존 연구자들이 범해 왔던 각종 편향을 바로잡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페미니즘은 진화심리학의 통합적 틀(unifying framework) 및 연구 성과를 활용하여 과학적으로 잘 뒷받침되는 방향으로 이론을 전개할 수 있다.

과학에 대한 페미니즘의 입장은 조류에 따라 매우 다양한데[2], 다윈주의 페미니즘은 이 중 생물학을 포함한 과학적 지식 전반에 매우 우호적인 편이다. 이러한 태도는 다음 인용문으로 대표될 수 있다.

"생물학적 현상은 실재한다. 현상의 해석 및 함의를 이해하는 것은 인간의 몫이다. 젠더, 인종 등을 억압하는 방향으로 활용될지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에 생물학적 사실을 거부하거나 무시한다면 이해에서 기인하는 힘과 자유를 잃게 될 것이다." (The biological reality is there; its interpretation and implication is what humans may make of it. To deny or ignore biology for fear of it being used against gender, race, and so forth, is to lose the power and freedom of understanding.)[3]

역사

1871년 인간의 유래와 성선택(찰스 다윈 저)이 출간된 후, 다윈주의 이론을 기반으로 여성 문제를 재해석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많은 페미니스트들에게 다윈의 이론은 성경의 권위에 기반한 기존의 남성 우월주의를 타파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으로 여겨졌다. 성경적 세계관에 의하면 사탄의 유혹에 넘어가 선악과를 먹고 아담에게 이를 권한 이브, 이로 인해 모든 여성에게 내려진 저주 등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본질적으로 열등한 존재임을 드러내는 자명한 근거이다. 하지만 인간의 유래와 성선택에 의하면 인간이 동물의 일종일 뿐이며, 번식은 진화적 과정 특히 양성 간의 차이를 설명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고, 동물계 전반에 걸쳐서 여성의 선택(female choice)이 성선택의 주요 메커니즘으로 작용한다고 주장하였다. 현대의 기준에서 평가할 때 다윈의 여러 저술에도 성차별적 요소가 담겨 있으나, 빅토리아 시대 영국의 기준으로는 대단히 파격적이고 진보적이었다.


진화론과 페미니즘의 악연

일부 페미니즘 조류에서 진화생물학 및 관련 분야, 특히 진화심리학은 적대적 평가를 받아왔는데 가장 큰 두 가지 이유는 첫째, 실제로 해당 분야의 여러 저술에 의도적인 또는 무의식적인 여성 차별(동물 연구인 경우 암컷 차별)이 반영되어왔기 때문이고 둘째, 일부 페미니즘 이론가들이 일부 저술을 오독하였기 때문이다. 다행스럽게도 두 가지 문제 모두 완화되는 추세인데 해당 분야에 여성 연구자들이 대거 유입된 것과 관련이 깊을 것으로 보인다.[1]

다음은 진화생물학 또는 진화심리학 분야에서의 여성 차별적 저술의 사례들이다. 과학 전반에서의 여성차별적 편향에 대해서는 과학에서의 여성차별 문서를 참고하자.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다음은 페미니즘 이론가들이 진화생물학 또는 진화심리학 분야의 저술들을 오독한 사례들이다. 이러한 오독들은 대부분 자연주의적 오류에서 기인한다.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진화론과 페미니즘 사이의 악연은 완화되는 추세이다. 진화심리학은 대부분의 인지적 능력에 대한 젠더 유사성 가설 지지, 인간 인지 및 행동의 유연성에 대한 이해, 사회 및 문화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 등 다양한 측면에서 대부분의 페미니즘 조류와 호환되는 통합적 이론틀을 제공한다.[4]

연구자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논문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관련 사이트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참조

  1. 1.0 1.1 Griet Vandermassen (10 February 2005). 《Who's Afraid of Charles Darwin?: Debating Feminism and Evolutionary Theory》.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SBN 978-1-4616-4707-2. 
  2. “Feminist Perspectives on Scienc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16년 7월 30일에 확인함. 
  3. Patricia Gowaty (6 December 2012). 《Feminism and Evolutionary Biology: Boundaries, Intersections and Frontier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ISBN 978-1-4615-5985-6. 
  4. Buss, David Michael; Schmitt, David P. (2011). “Evolutionary Psychology and Feminism”. 《Sex Roles》 64 (9-10): 768–787. doi:10.1007/s11199-011-9987-3. ISSN 0360-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