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 이갈리타리아니즘

최근 편집: 2017년 1월 12일 (목) 14:22
탕수육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1월 12일 (목) 14:22 판 (→‎젠더 평등성: 성평등 링크 추가)

젠더 이갈리타리아니즘(gender egalitarianism)은 여러 의미로 쓰인다.

  • 젠더 평등성: 젠더 평등(gender equality)의 정도, 젠더 평등적 성질, 젠더 평등을 지향하는 경향성 등을 나타내는 명사
  • 젠더 평등주의: 젠더 평등에 초점을 맞추는 평등주의(이갈리타리아니즘)

젠더 평등성

성평등(gender equality)의 정도(degree), 젠더 평등적 성질, 젠더 평등을 지향하는 경향성 등을 나타내는 명사로 널리 쓰인다.[1] 젠더 평등성 정도로 번역하면 적절하다.

다음은 몇 가지 용례이다.

  • "젠더 평등성이 높은 사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High gender egalitarianism societies have characteristics such as...)"[2]
  • 젠더 평등성을 얻어내기 위한 전략으로 능동적 섹슈얼리티를 활용. (...use of active sexuality as a strategy for gaining gender egalitarianism)[3]
  • 젠더 평등성의 문화 간 차이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Gender Egalitarianism)[4]
  • 이 글에서 강한 젠더 평등성이란 가족 내 가사 및 육아, 공적 영역에서의 직업 분포가 젠더에 의해 영향 받지 않는 사회 관계 구조를 뜻한다.(By strong gender egalitarianism we mean a structure of social relations in which the division of labor around housework and caregiving within the family and occupational distributions within the public sphere are unaffected by gender)[5]

영어 단어에서 '-ism'은 주로 '-사상', '-주의' 등을 뜻하지만 명사를 만드는 경우(criticism 등), 차별적 우세함에 대한 믿음(racism, sexism 등)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인다는 점을 상기하자.[6]

젠더 평등주의

일상 용어

젠더 이갈리타리아니즘은 인간의 평등함을 강조하는 정치철학의 한 사조인 이갈리타리아니즘에서 젠더를 부각하는 의미로 쓰인다. 수식 없이 이갈리타리아니즘이라고만 하면 어떤 종류의 평등을 뜻하는지(인종의 평등, 부의 평등, 정치적 평등, 경제적 평등) 그 범위가 지나치게 넓고,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주로 소득 및 부의 평등을 강조하는 맥락에서 사용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젠더 이갈리타리아니즘'이라고 불리는 철학적 사조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기에, 웹 검색을 하면 젠더 이갈리타리아니즘이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보다는 이갈리타리아니즘 대신 페미니즘을 써야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글들[7][8]이 주로 보인다. 물론 이러한 주장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누군가가 어디에선가 '페미니즘 대신 젠더 이갈리타리아니즘'을 쓰자고 제안한 적이 있음을 뜻한다.

다만 찾아보기는 쉽지 않다.

학술 용어 (거의 사용되지 않음)

다만 권위있는 온라인 철학 사전인 스탠포드 철학 백과인터넷 철학 백과의 '이갈리타리아니즘' 항목[9][10]에 해당 용어에 대한 언급이 한 건도 없는 점, 구글 학술 논문 검색 결과[11]에서는 '젠더 평등성'을 뜻하는 의미로 쓰인 용례 밖에 나오지 않는 점, 구글 책 검색 결과[12]의 첫 30여개를 찾아보아도 '젠더 평등성'의 의미로 쓰인 용례만 나오는 점, 영어 위키백과에서 해당 문서[13]는 '젠더 평등(gender equality)' 문서로 넘겨주기 설정이 되어 있는 점(즉, 젠더 평등성을 의미) 등으로 미루어볼 때, 철학적 사조로 취급할 정도의 연구가 있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철학의 기초"라는 이름의 한 웹사이트[14]에서 젠더 이갈리타리아니즘을 이갈리타리아니즘의 한 종류라고 소개하고 있으나 출처를 밝히지 않고 있으며, 해당 사이트는 철학을 전공하지 않은 개인이 취미로 운영하는 사이트라고 밝히고 있어서 신뢰하기 어렵다.[15] 이 사이트에서 동의어로 소개하고 있는 'Zygarchy'의 경우 2008년 경에 영문 위키백과에 문서가 만들어진 적이 있으나 근거 부족으로 삭제되었다.[16]

참조

  1. “gender egalitarianism”. 《Google Scholar》. 
  2. “Gender egalitarianism”. 《Leadership Dimensions: Culture and Leadership》. 
  3. Wilkins, Amy C. (2004). ““So Full of Myself as a Chick”: Goth Women, Sexual Independence, and Gender Egalitarianism”. 《Gender & Society》 18 (3): 328–349. doi:10.1177/0891243204264421. ISSN 0891-2432. 
  4. Robert J. House; Paul J. Hanges; Mansour Javidan; Peter W. Dorfman, Vipin Gupta (29 April 2004). 《Culture, Leadership, and Organizations: The GLOBE Study of 62 Societies》. SAGE Publications. 371–쪽. ISBN 978-1-4522-0812-1. 
  5. “Strong Gender Egalitarianism” (PDF). 《SSCC, The University of Wisconsin》. 
  6. “What is the history and meaning of the suffix “-ism”?”. 《Stackexchange.com》. 
  7. “Feminism vs Egalitarianism: What’s the difference and why does it matter?”. 《Young Vagabond》. 
  8. “Why "feminist" as opposed to "gender egalitarian"?”. 《Happy Feminist》. 
  9. “Egalitarianism”.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10. “Egalitarianism”.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11. “gender egalitarianism”. 《Google Scholar》. 
  12. “gender egalitarianism”. 《Google Books》. 
  13. “Gender egalitarianism”. 《영문 위키백과》. 
  14. “Egalitarianism”. 《The Basics of Philosophy》. 
  15. “General FAQ”. 《The Basics of Philosophy》. 
  16. “Articles for Deletion Log: Zygarchy”. 《영어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