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등

최근 편집: 2017년 1월 13일 (금) 01:18
탕수육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1월 13일 (금) 01:18 판 (→‎생물학적 기원: 생물학적 기원 관련 논문 세 건 추가)

평등(equality)이란 권리, 의무, 자격 등이 차별 없이 고르고 한결같음을 뜻한다.[1]

개념

평등성이란 서로 다른 사물, 인간, 과정, 상황 등이 최소 한 가지 이상의 측면에 있어서 상응하는 성질을 지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면에서 평등성은 모든 측면에서의 상응을 뜻하는 동일성(identity)과 구분되며, 정확한 상응이 아닌 대략적인 상응을 의미하는 유사성(similarity)과 통하는 면이 있다. 즉,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라는 표현은 모든 인간이 모든 면에서 똑같다거나, 모든 인간이 특정한 측면에서 정확히 동일하게 취급되어야 한다기 보다는, 모든 인간이 특정한 측면에서 유사하게(similarly) 취급되어야 함을 뜻한다.[2]

멋진 신세계, 1984, 이퀼리브리엄 등 소설이나 영화에서 등장하는 디스토피아 사회는 대체로 평등성, 동일성, 유사성의 관계를 뒤섞어 왜곡, 과장하는 방식으로 묘사된다.

역사

생물학적 기원

불평등 회피(inequality aversion)에 대한 심리 메커니즘은 인간 뿐 아니라 인간의 근연종 사이에서도 나타난다. 원숭이(capuchin monkey)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원숭이에게 1) 보상을 받긴 받지만 다른 원숭이에 비해 적게 받는 선택지와 2) 자신도 보상을 안받고 다른 원숭이도 보상을 안받는 선택지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면 후자의 선택지를 선호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3] 피험자인 원숭이들이 자신을 평등하게 취급하지 않는 실험자에게 분노를 표출하며 음식을 던지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이 SNS 등을 전파되며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널리 알려진 바 있다.

이는 호혜성(reciprocity), 공정성(fairness) 등 평등성(equality)의 유관 개념들이 인간과 원숭이의 공통조상에서 유래하였음을 보여준다. 가장 보수적으로 추정하더라도 약 2천5백만년 전이다.[4]

일반 침팬지(common chipanzee; Pan troglodytes)를 대상으로 한 유사 연구들에서도 마찬가지의 결과가 나타났다.[5][6] 참고로, 일반 침팬지는 현존하는 영장류 중 보노보 다음으로 인간과 가깝다. 논문의 저자들은 공정성 관념에 있어서는 인간과 침팬지 사이에 거의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

고대 그리스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헬레니즘 시기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계몽주의 시기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함께 읽기

참조

  1. “평등”. 《네이버 국어사전》. 
  2. “Equality”. 《스탠포드 철학 백과》. 
  3. Brosnan, S.F.; de Waal, F.B.M. (2003). “Monkeys reject unequal pay”. 《Nature425 (6955): 297–9. doi:10.1038/nature01963. PMID 13679918. 
  4. “Timeline of human evolution”. 《위키백과》. 
  5. Brosnan, S. F.; Schiff, H. C.; de Waal, F. B. M. (2005). “Tolerance for inequity may increase with social closeness in chimpanzees” (PDF).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272 (1560): 253–8. doi:10.1098/rspb.2004.2947. PMC 1634968. PMID 15705549. 
  6. Proctor, D.; 외. (2013). “Chimpanzees play the ultimatum gam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USA》 110: 2070–2075. doi:10.1073/pnas.1220806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