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

최근 편집: 2021년 5월 29일 (토) 16:29
사회인권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5월 29일 (토) 16:29 판 (→‎소개)

소개

금호고속 Kumho Buslines

산업 분야 운수업 창립 2011년 11월 30일 창립자 금호산업(주) 전신 금호산업 고속사업부문 해체 2017년 11월 24일 분할 전세사업부문: 금호고속관광(주) (2014.2) 국가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고속사업부 본사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시외사업부 본사 광주광역시 서구 광천동 사업 내용 고속버스, 전세버스, 자동주유기사업 모기업 금호아시아나그룹 웹사이트 금호고속

금호고속주식회사

산업 분야 운수업 창립 2006년 10월 1일 창립자 금호고속주식회사 전신 금호홀딩스주식회사 분할 고속사업부 : 금호익스프레스(주) (2020.10.5) 국가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광주광역시 서구 무진대로 904 (광천동) 핵심 인물 김현철 (대표이사 사장) 사업 내용 자동주유기사업 자본금 16,557,500,000원 (2017.12) 매출액 1,701,969,120,350원 (2017) 영업이익 27,690,482,146원 (2017) 순이익 129,177,809,448원 (2017) 자산총액 2,998,321,124,463원 (2017.12) 주요 주주 박삼구 외 특수관계인: 69.97% 기타: 30.03% 모기업 금호아시아나그룹 종업원 2,027명 (2019.12) 웹사이트 금호고속

금호익스프레스주식회사 Kumho Express Co., Ltd. 산업 분야 운수업 창립 2020년 10월 5일 국가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광주광역시 서구 무진대로 904 (광천동) 핵심 인물 이계영 (대표이사) 사업 내용 고속버스 자본금 575,000,000원 (2020.10) 모기업 금호아시아나그룹 웹사이트 금호고속 금호고속(錦湖高速, Kumho Buslines)은 여객 운송업을 주 업종으로 하는 광주광역시를 거점으로 한 기업이다. 1948년에 세운 광주여객자동차가 시초며, 1993년 금호고속으로 사명을 변경하기 이전에는 거북이 그림과 함께 "광주고속"이라는 이름을 썼다. 현재 금호아시아나그룹 지주회사다. 2020년 10월 5일 고속사업을 담당하는 금호익스프레스 주식회사를 분할했다.

목차

1연혁 1.1금호고속 주식회사 1.2금호익스프레스주식회사 2운행 차량 3운행 노선 4사진 5본점 및 지점 현황 5.1금호고속 주식회사 5.2금호익스프레스주식회사 6각주 7외부 링크


금호건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금호산업에서 넘어옴)

금호건설 주식회사 Kumho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Co., Ltd. 150px 형태 주식회사 산업 분야 건설업 창립 1960년 9월 5일 창립자 박인천 전신 제일토목건축(주) 후신 금호건설 분할 타이어 사업부문: 금호타이어㈜ (2003.6.30) 고속 사업부문: 금호고속㈜ (2011.11.30) 시장 정보 한국: 002990 상장일 1976년 6월 26일 국가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우정국로 26, A동 (공평동, 센트로폴리스) 핵심 인물 서재환(대표이사 사장) 자본금 181,638,075,000원 (2019.12) 매출액 1,597,734,215,012원 (2019) 영업이익 55,476,655,308원 (2019) 순이익 11,717,127,204원 (2019) 자산총액 1,337,430,597,464원 (2019.12) 주요 주주 금호고속주식회사 외 특수관계인: 48.81% 모기업 금호고속 자회사 충주보라매주식회사 종업원 1,129명 (2019.12) 웹사이트 금호건설


금호타이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6년 5월)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Kumho Tire Co., Inc.

형태 주식회사 산업 분야 타이어 창립 1960년 9월 5일 이전 상호 삼양타이어 시장 정보 한국: 073240 런던: KHTC 국가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어등대로 658 (어룡동)

핵심 인물 전대진 (대표이사 사장) 사업 내용 타이어 및 튜브 제조업 제품 타이어 자본금 1,436,301,435,000원 (2018.12) 매출액 2,558,681,154,748원 (2018) 영업이익 -78,851,504,248원 (2018) 순이익 -182,696,266,319원 (2018) 자산총액 4,214,736,675,782원 (2018.12) 주요 주주 싱웨이코리아 주식회사: 45.00% 주식회사 우리은행: 7.78% 한국산업은행: 7.43% 모기업 더블스타 타이어(중국어판) 종업원 4,909명 (2018.12) 슬로건 All-Ways, Go With You 60 Years, Go With You (창립 60주년)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

논란

  • 부당 돈거래


17년 5월 23일 경제개혁연대는 "금호홀딩스가 금호산업으로부터 차입한 이자율이 시장에 비하여 낮은 것이라면 부당지원이 되고, 부당지원 여부에 대한 공정위 조사가 필요하다. 상법에서는 이사 자기거래 경우 금액과 무관하게 이사회 승인 66%에 승인을 받아야 하나, 이사회 승인을 받지 않았다. 금호그룹은 부당지원 논란이 야기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하여 법상 이사회결 의무를 피하기 위하여 대여자금을 소액으로 분할하여 거래하였다. 상법에서는 상장회사가 주요주주 대상으로 신용공여를 할 수 없도록 하고 있는데, 금호산업 신용공여 위반문제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라고 비판하였다. 경제개혁연대 보고서에 따르면, 몇년 간 금호산업인수 그룹재건을 위하여 계열사 간 자금거래, 지분매각이 빈번하였다. 금호홀딩스는 16년 금호산업 특수관계인으로부터 966억 차입하여 507억 원을 상환하고 16년 말 기준으로 특수관계인으로부터 차입금은 459억이었다. 금호그룹은 차입금을 전액 상환하였다. 공정거리법상 계열사 간 대규모 내부자금거래는 공시와 이사회결의를 의무화하고 있으나, 금호그룹은 이를 피하기 위하여 편법을 사용하였다고 경제개혁연대는 비판하였다. [1]

  • 금호타이어 6촌 폭행

10년 12월 19일 민주노총 광주본부에 따르면, 박회장 6촌 동생인 금호타이어 청소도급업체 사장은 박씨가 11월 6일 12시에 광주 광산구 소촌동 금호타이어 내 사무실에서 직원 박씨를 폭행하였다. 박사장은 "청소를 제대로 안 한다" 라며 폭언과 폭행을 가하였고, 저항하던 직원을 흉기로 위협하였다. 직원은 왼손 손가락 골절과 안면 부위에 전치 5주 상해를 입고, 박사장을 고소하였다. 박 사장도 전치 2주 진단서를 발급받아 맞고소를 하였지만, 11월 10일 직원에게 치료비 200만원으로 합의하였다. 박사장은 "직원이 먼저 멱살을 잡고 위협하여 방어차원에서 커터칼을 들었다. 직원이 자해를 하여 손가락을 부러뜨린 것이다." 라고 밝혔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SK 최철원 대표 맷값 폭행이랑 다르지 않다. 도급업체들 실질적 운영이 원청인 금호타이어 감독하에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금호타이어는 박 사장과 계약을 파기하여야 한다" 라고 밝혔다. [2]

  1. “금호, 부당지원 논란 우려해 계열사 간 소액분할 돈거래 의혹”. 2017년 5월 24일. 2021년 5월 29일에 확인함. 
  2. “금호家 친인척도, 직원 폭행 논란 - 더피플뉴스”. 2010년 12월 19일. 2021년 5월 2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