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최근 편집: 2017년 1월 19일 (목) 22:39
Daramkun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1월 19일 (목) 22:39 판

개요

리누스 토르발즈가 개발한 운영체제 커널이며 POSIX 호환 커널이기 때문에 일부분은 유닉스와 호환이 된다.

윈도우의 대항마라고는 하지만 현재는 서버 및 임베디드 환경에만 해당하고 PC에서는 이르다고 할수 있다.

리처드 스톨만은 리눅스를 커널로 쓰는 자유 소프트웨어 운영체제를 칭할 때는 GNU/Linux라고 해달라고 하지만 리눅스 커널의 최초 개발자인 리누스 토르발즈가 좋아하지 않는 호칭이고 일반적으로도 리눅스 운영체제라고 많이 할 정도라서 대부분은 리눅스 운영체제라고 칭한다.

리눅스 운영체제의 종류

레드햇 계열

서버에 많이 사용되는 리눅스 운영체제이다. RPM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한다.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유료 기술지원을 받을 수 있는 리눅스 운영체제 중 하나이다.

페도라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의 개인용 버전이다.

CentOS

리눅스 서버용 OS 중에서 가장 인기가 많다. 설치가 복잡하여 초보자는 잘 사용하지 않는 편이다.

데비안 계열

리눅스 운영체제 중에서 개인 사용자에게 가장 인기가 많은 계열이다. deb 및 apt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한다.

데비안 GNU/리눅스

우분투 리눅스

리눅스 민트

데비안 계열 운영체제 중에서 우분투 리눅스 다음으로 인기가 많은 운영체제이다. 우분투 리눅스의 포크.

수세 계열

수세 리눅스

오픈수세 리눅스

수세 계열 중에서 그나마 잘 알려진 운영체제이다. 서버쪽으로도 개발중에 있으나 이용자 수가 많지 않다.

오픈수세 리눅스 홈페이지에서 커스텀 배포판을 만드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 외

안드로이드

휴대용 전자기기 운영체제 중 iOS 다음으로 대중화에 성공한 OS이며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모바일 OS이기도 하다.

크롬 OS

리눅스를 커널로 사용하며 프론트엔드로 크로미움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웹 OS이다.

파이어폭스 OS

리눅스를 커널로 사용하며 프론트엔드로 파이어폭스를 사용하는 웹 OS이다.

리눅스 운영체제의 장단점

장점

상용 운영체제인 윈도우을 대신할 수 있으며 리눅스 운영체제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자유 소프트웨어 리눅스 운영체제는 무료이고 서버 및 임베디드 환경에서 가장 많이 쓰인다.

배포판에 따라 차이가 있긴 하지만 일부 리눅스 배포판은 저사양 PC에서도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소스코드가 공개되어 있어 필요한 경우 소스코드를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어지간한 환경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CPU 아키텍처만 해도 IA32, AMD64, ARM, ARM64, PowerPC, POWER 등 다양한 아키텍처로 포팅이 되어 있는데다 새 CPU 아키텍처를 만든 회사에서도 기본적으로 리눅스 지원을 1순위로 하는 경우가 많다.

단점

파편화가 심하다. 때문에 호환성 테스트하기가 까다로워지며, 일부 소프트웨어는 아예 실행 가능한 배포판을 제한한다. 설치된 라이브러리의 버전에 따라 설치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버전도 모두 달라서 패키지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기도 한다.

대부분의 배포판이 불친절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일이 다 알아서 해야 하는데, 특히 터미널을 켜서 해야 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컴퓨터를 어지간하게 다룰 수 있는 사람이 아니라면 사용하기 어렵다.

컴퓨터에 설치한 하드웨어의 제조사에 따라 다르지만 일부 리눅스 배포판용 드라이버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흔해서 사용하지 못 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NVIDIA는 리눅스용 드라이버를 오픈소스로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드라이버가 지원되지 않는 배포판에서 NVIDIA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