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은영

최근 편집: 2021년 9월 1일 (수) 12:39
사회인권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9월 1일 (수) 12:39 판 (→‎출연)

틀:작가 정보 오은영(1965년 9월 9일 ~ )은 대한민국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이자 대학 교수저술가이다. 성명 오은영 (Oh Eun-Young) 국적

대한민국

출생 1965년 9월 9일 (55세) 서울특별시 학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정신의학 /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정신의학 / 박사) 종교 개신교 가족 배우자[1], 아들(1998년생)

문제 아이는 없다, 양육에 문제가 있을 뿐 대한민국의 아동 및 육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며 사람들 계몽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문제 아동의 행동과 언어에 숨겨진 뜻을 분석해 이를 이해하지 못하는 성인과의 다리 역할을 한다. 특히 아이의 문제 행동은 보호자의 양육 문제에서 발현된다는 점을 꼬집으며 양육 태도가 교정되었을 때 문제 아동의 행동이 자연스럽게 교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사람들은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에서 진짜 달라지는 것은 보호자라고 이야기 한다. 비슷한 예로는 강아지 훈련사 강형욱이 있다. 생각하는 의자 오은영 의사의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는 '생각하는 의자'를 제시한 것. "우리아이가 달라졌어요"에서 처음 나온 이후 전국적으로 유행처럼 번져 2010년대 집집마다 없는 곳이 없는 그야말로 국민 육아 방식이 되었다. 당시 슈퍼맨이 돌아왔다 삼둥이집에서도 숱하게 목격되었다. 다만 오은영이 의미했던 생각하는 의자는 문제 상황에서 벗어나, 상황을 환기시키는 기회였으나 수 많은 가정에서는 생각하는 의자가 잘못했을 때 앉아서 반성해야하는 처벌의 도구가 되었다. 생각하는 의자 외에도 떼 쓰는 아이를 힘으로 꽉 잡고 진정될 때까지 기다린 후 모든 화와 울음이 잦아들었을 때 아이에게 문제 상황에 대해 차분하게 이야기하는 훈육법도 공개되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성공하기가 어려우며 전문가가 아닌 경우에는 생각하는 의자와 같이 묘하게 체벌로 변질되기 쉽다. 오은영 박사는 이에 대한 문제점을 인지한 듯 보이며,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와 달리 <금쪽같은 내 새끼>에서는 체벌로 곡해될 수 있는 훈육법에 대해서는 절대 언급하지 않고 언어로서, 부모의 관심과 사랑으로서 변화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만 집중적으로 컨설팅하는 것으로 보인다.

경력

여성의 전화 쉼터 자문위원 오산시 어린이정신건강센터 센터장 경기도교육청 특수교육운영위원회 위원 대한의사협회지 편집위원 발달장애아치료교육학회 학술이사 대한소아청소년정신과학회 학술부장 대한소아청소년정신과학회 정회원 대한신경정신과학회 정회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수련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정신과 전공의 서울삼성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전임의 및 임상교수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주임교수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 교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 외래교수 오은영 지능개발연구소 오은영 아카데미 원장 오은영의원 소아청소년클리닉 원장

출연

날짜 방송사 방송명 역할 비고 2006 ~ 2016 부모 고정 출연진 - 2006 ~ 2015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 2020 가장 보통의 가족 - 2020 ~ 현재 요즘 육아 금쪽같은 내 새끼 - 2021. 02. 24 라디오 스타 게스트 - 2021. 03. 30 옥탑방의 문제아들 - 2021 요즘 가족 금쪽 수업 고정 출연진 2021. 05. 27 대화의 희열 2 게스트 -

서적

엄마표 마음처방전 (2008) 학교생활 처방전 (2011, 엄마표) 불안한 엄마 무관심한 아빠 (2011) 아이의 스트레스 (2012) 내 아이가 힘겨운 부모들에게 (2015) 오늘 하루가 힘겨운 너희들에게 (2015) 못 참는 아이 욱하는 부모 (2016) 오은영의 화해 (2019) 어떻게 말해줘야 할까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