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

최근 편집: 2017년 2월 3일 (금) 13:59
Daramkun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2월 3일 (금) 13:59 판 (새 문서: == 개요 == SSD(Solid State Drive)는 보조기억장치 중 하나이다. 자기디스크와 모터 등으로 구현된 하드디스크와 다르게 순수 반도체로 구현...)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개요

SSD(Solid State Drive)는 보조기억장치 중 하나이다. 자기디스크와 모터 등으로 구현된 하드디스크와 다르게 순수 반도체로 구현되어 있다.

원리

SSD는 기본적으로 플래시 메모리로 구성된다. 플래시 메모리는 원래 하드디스크보다 느리지만, 데이터 스트리핑이라고 부르는 RAID 0와 비슷한 기술을 이용해 접근하기 때문에 입출력에 있어서 하드디스크보다 훨씬 빠른 속도를 낸다.

구성

SSD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플래시 메모리,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더 빠른 입출력을 위해 사용하는 캐시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플래시 메모리 대신 DRAM 등으로 구성하기도 한다. DRAM을 사용하면 전원 공급이 중단될 경우 데이터가 소실된다.

플래시 메모리의 종류는 SLC, MLC, TLC가 있으며, SLC가 가장 빠르고 쓰기 수명이 길며, TLC가 가장 느리고 쓰기 수명이 짧다.

컨트롤러에 따라 성능 및 안정성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SSD에 들어가는 컨트롤러만 전문적으로 제작하는 회사도 있다. 컨트롤러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 가장 유명한 사건으로는 삼성 SSD 중 EVO 840 제품의 속도 저하 문제가 있다.

수명

메모리 셀이 SLC냐, MLC냐, TLC냐에 따라 수명이 크게 갈린다고 생각하지만 어떤 셀을 사용하든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수명은 100년이 넘어가며[1], SSD의 실질적인 수명은 컨트롤러가 좌우한다. 또한 어차피 현재의 용량이라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명이 다 하기 전에 바꾸게 될 것이라는 의견도 많다.

단, 플래시 메모리의 구현 한계로 사용 환경의 온도에 따라 장기간 전원 공급이 안 될 경우 데이터가 자연 소실될 수 있는 문제가 존재한다[2]. 하드웨어 자체의 수명보다는 데이터의 수명이 문제가 된 것인데, 일반적인 컴퓨터 환경에서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얘기도 있다.

규격

단자 규격

  • SATA
  • SATA-Express
  • PCI-Express
  • M.2(NGFF)
  • U.2
  • SAS

구성 규격

  • AHCI
  • NVMe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