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 바하무트 토벌전

최근 편집: 2022년 12월 26일 (월) 16:20
Rhide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2월 26일 (월) 16:20 판 (절 바하무트 토벌전 문서 생성.)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파이널 판타지 14의 두 번째 확장팩, 홍련의 해방자에 등장하는 "절(絶)" 난이도 토벌전 중 첫번째 토벌전인 "절 바하무트 토벌전"에 대한 설명글.

절 바하무트 토벌전 - 대미궁 바하무트(끝없는 바하무트의 대미궁)

First Challenge: The Unending Coil of Bahamut (Ultimate)

개요

절 바하무트 토벌전.

일찍이 제 7재해의 진실에 도전한 자들이 있었다. 역사에는 결코 기록되지 않을 싸움의 기억이, 퇴색되기는커녕 더욱 찬란하게 되살아났다. 떠돌이 시인이 과장되게 각색한 절망의 시를 들으며, 빛의 전사들은 지금 대미궁 바하무트에서의 싸움을 새로 체험한다. - 파이널 판타지 14 절 바하무트 토벌전 소개글

떠돌이 음유시인은 과거 바하무트의 대미궁에서 부활한 '은빛 흉조' 넬 데우스 다르누스를 처치한 모험가의 이야기를 한껏 과장한 영웅담으로 바꿔 부른 전적이 있었다. 그러나 제7 재해의 진실에 도달한 모험가는 새로운 야만신이 다시금 탄생하는 걸 막기 위해서라도 그 진실을 어둠 속에 묻기로 결의했었고, 이로 인해 바하무트를 쓰러트린 빛의 전사의 영웅담은 어둠 속에 가라앉게 되었다. 하지만 무지코 극장에서 새로운 소재를 갈망하던 떠돌이 음유시인은, 모험가가 진실을 이야기해주지 않았지만 '만일 바하무트가 부활했다면 어떤 영웅담이 탄생했을 것인가?'라는 물음을 던지며 자기 멋대로 영웅담을 입에 담기 시작한다. 그로 인해 과장이 넘치고 말도 안되게 어려운 토벌전을 영웅담으로서 모험가가 겪는다는 이야기.

설정은 또다시 입 간수를 못한(...) 음유시인의 입방정으로 만들어진 영웅담이지만, 어쨌든 많은 유저들이 갈망했던 '어려움의 끝판왕'급으로서 만들어진 토벌전. 신생 에오르제아의 8인 레이드 시리즈였던 '대미궁 바하무트' 시리즈에서 정말 어렵다고 평가되던 패턴들과 보스들을 모아 20분 가량의 토벌전으로 만들었으며, 공략법 역시 굉장히 난해해진 편. 역대 최고난이도 토벌전을 표방한 만큼 도전 조건도 나름 까다로운데, 4.1 버전 기준 최상위 레이드였던 차원의 틈새 오메가: 델타편 4 (영웅)을 클리어하는 것. 또한 신규 레이드와 장비들이 해금된 4.2 패치 이후에도 계속해서 레벨 조율이 345레벨로 고정되어서, 높은 아이템 레벨로 찍어누르는 것도 불가능하다. 어디까지나 순수한 파일럿 개개인의 실력과 협동력을 테스트하는 레이드.

기본적으로 들어오는 피해량 값이 무시무시하고, 바하무트 페이즈 이후로는 딜컷도 나름 팍팍해서 탱커와 힐러진의 조합은 반쯤 강제되는 편. 또한 레벨 조율 조건 때문에 홍련의 해방자 확장팩에서는 델타편 영웅 난이도 장비들로 파밍을 마친 이후에 4.3 패치에 등장한 강엔 종묘 4인 인스턴스 던전 장비와 에우레카: 아네모스 장비 +2 업그레이드 장비로 마련하여 도전했었다. 하지만 칠흑의 반역자 패치 이후로는 사실상 델타편 영웅 난이도 장비나 강엔 종묘 장비 등의 파밍이 필요 없어지게 되면서 각성편 일반이나 영웅 난이도 장비로도 도전은 얼마든지 가능하니 참고하자.

전용 테마곡 목록:

  • 1 페이즈: Thunderer(뇌명)
  • 2 페이즈: Rise of the White Raven(은빛 흉조의 비상)
  • 3 페이즈: Answer(답하소서)
  • 4 페이즈: Beyond Redemption(속죄의 끝)

요구 역할군 스킬 목록

사용 기술 및 기본 전략

공략

공략 영상(Xenosys Vex, 탱커 시점, 영어, 정삼각 배치)

1 페이즈: 트윈타니아(Twintania)

트윈타니아(Twintania)대미궁 바하무트: 해후편 5에서 등장했던 보스로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특정 HP에 도달할 때마다 자기 위치에 구속구(Neurolink)를 떨어트린다는 점이다. 이 '구속구'는 올라갈시 '구속구' 디버프에 걸려 주는 피해량 90% 감소, 주는 회복량 10% 감소 효과를 받게되며 대신 트윈타니아가 사용하는 '마력 연성(Generate)' 구체 피격 데미지를 크게 감소시켜준다. '구속구'는 마지막 페이즈까지 계속해서 활용되기 때문에, 아군의 향후 대응 전략에 따라 배치해주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역삼각 배치 혹은 정삼각 배치를 따르는 편. 이 부분은 어떤 공략을 따르냐에 따라 향후 상세 기믹 처리 위치가 조금씩 달라지는데, 이 항목에서는 공개 파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역삼각 배치를 기준으로 기믹을 설명하도록 한다.

0. 구속구(Neurolink): 트윈타니아의 HP가 일정 수치 이하로 떨어질 때마다 자신의 위치에 떨어트리는 디버프 장판. 전투 개시부터 토벌전 종료까지 유지되며 올라갈시 주는 피해량 90% 감소, 주는 회복량 10% 감소 효과를 받으며 '마력 연성' 구체의 피격 데미지가 감소한다. 아군 전략에 따라 배치하게 된다.

2 페이즈: 넬 데우스 다르누스(Nael Deus Darnus)

넬 데우스 다르누스(Nael Deus Darnus, 본명 Nael Van Darnus)대미궁 바하무트: 침공편 4에서 등장했던 보스로 침공편 4의 후반부에 나왔던 거의 모든 기믹이 나온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거기에 넬이 특정 기믹 실행 직전에 해당하는 "대사"를 읊기 때문에 해당 대사에 관련된 기믹 처리와 불과 얼음, 번개와 관련된 원소 공격, 5마리의 용들에 의한 인두질(Cauterize) 방향의 조정이 가장 중요한 페이즈라 할 수 있다.

0. 천지 붕괴(Heavensfall) : 중앙에 라그나로크가 떨어지면서 피격 데미지와 함께 파티원 전원을 바깥으로 넉백 시키는 기술. 중앙에 너무 가까이 있으면 거리 반비례 피격 데미지에 즉사할 수 있으며, 너무 멀리 있으면 필드 끝 금에 닿아 즉사한다. 트윈타니아 페이즈에서 깔아놓은 구속구 3개가 거리 조절 역할을 시각적으로 잘 해주기 때문에 구속구를 잘 깔았다면, 그 위치가 천지붕괴를 처리하기 좋은 위치가 되므로, 보통 구속구 위로 집합한다. 이후 유성 폭풍(Meteor stream)이 추가로 오므로 보호막을 이용해 먼저 데미지를 경감 시키는 것이 중요.

1. 유성 폭풍(Meteor stream) : 랜덤 4인에게 넬의 분신이 날아오면서 받게 되는 좁은 범위의 광역 데미지 공격. 데미지 경감 상태 및 파티원 전원의 HP가 넉넉해야 안전하다. 열전자 폭발 1회 이후 나머지 4인에게 한번 더 공격이 오므로 파티원의 위치에 주의.

2. 열전자 폭발(Thermionic Burst) : 라그나로크를 중심으로 필드끝까지 뻗은 좁은 범위의 부채꼴 장판. 일부 안전 지대가 있기 때문에 유성 폭풍 공격 범위를 생각해서 산개하는 것이 안전하다.

3 페이즈: 바하무트 프라임(Bahamut Prime)

바하무트 프라임(Bahamut Prime)대미궁 바하무트: 진성편 4에 등장했던 보스로 절 바하무트 토벌전에서는 일부 기술이 진성편 4에 등장했던 기믹이 등장하며, 트윈타니아와 넬과 함께 "~의 3중주" 연계를 통한 일종의 기믹 운동회 공격을 시전한다. 초반의 "진군의 3중주" 부터 "재앙의 3중주" 까지는 비교적 쉽게 처리할 수 있어 공략 진도를 어느 정도 나갈 수 있으나, "천지의 3중주" 부터는 무작위 요소가 많이 겹쳐있어서 공략을 제대로 숙지하지 않으면 상당히 까다로운 구간이 될 수 있다. 3페이즈 부터는 "진군의 3중주" 부터 마라톤 구간이라 할 수 있는 "용들의 팔중주(군룡의 8중주)"까지 약 10분에 걸쳐 진행되기 때문에 집중력과 빠른 판단력을 요구하는 구간이라 할 수 있겠다.

0. 제 7재해(Seventh Umbral Era) : 중앙에 화염구가 강하하면서 대상에게 큰 데미지와 함께 넉백시키는 바하무트 프라임의 공격 기술. 2페이즈의 천지붕괴(Heavensfall)와 같이 중앙 근처에 있으면 화염 지속 피해 디버프와 함께 즉사하며, 멀리 있을 경우 필드 바깥쪽으로 밀려나 금에 밟혀 즉사한다. 1페이즈에 깔아둔 구속구가 거리 조절 역할을 하므로 구속구나 1페이즈 시작 전에 지정해둔 마킹 위에 서 있으면 된다. 제 7재해 피격 이후 바로 재앙의 불꽃 3연속 및 재앙의 화염 피격 공격이 강력하기 때문에 넉백 즉시 탱커 3단 리밋으로 큰 데미지를 경감시키고, 재앙의 불꽃 및 화염 대비 HP 회복을 우선으로 한다.

1. 재앙의 불꽃(Calamitus Flame) : 제 7재해 이후 3번 연속으로 들어오는 광역 데미지. 탱커 3단 리밋으로 데미지를 경감해둔 상태지만 3연속으로 공격하기 때문에 힐러들은 파티원의 HP회복에 주의해야 한다.

2. 재앙의 화염(Calamitus Blaze) : 재앙의 불꽃 3연속 공격 이후 크게 들어오는 광역 데미지. 재앙의 화염까지 모두 끝날때까지 힐러들은 파티원들의 HP 회복에 끝까지 집중해야 한다. 재앙의 화염 공격과 동시에 중앙의 화염구에서 바하무트 프라임이 등장한다.

4 페이즈: 트리니티(Trinity, Twintania & Nael Deus Darnus)

바하무트 프라임 페이즈가 군룡의 8중주에서 모든 기믹을 소화하면, 바하무트 프라임은 외곽에서 자신에 에테르를 축적하기 시작하고, 필드에는 다시 트윈타니아와 넬이 등장한다. 이 때 트윈타니아와 넬의 HP는 대략 45%인 상태에서 등장하며, 이 둘을 바하무트 에테르가 전부 차기 전까지 동시에 쳐야 하는 일종의 타임어택 페이즈라 볼 수 있겠다. 이 트리니티 페이즈에서는 트윈타니아와 넬의 평타 공격도 꽤 아픈 편이기 때문에 탱커들은 "수비(방어)" 스탠스를 항시 유지해 줘야 하며, 힐러들은 탱커들의 HP를 특히 신경써야 한다.

5 페이즈: 광기를 발산한 바하무트 프라임(Bahamut Prime)

트리니티 페이즈 종료 후 피닉스 연출 구간을 거쳐 부활과 피닉스의 가호를 받고 나면, 바하무트 프라임이 다시 재등장하여 내면의 광기를 발산하여 황금빛의 형태로 탈바꿈한다. 바하무트 프라임이 내면의 분노를 전부 토해내듯이 몬 아파와 아크 몬을 쏘아대는데, 이 마지막 페이즈에서는 전용 테마곡 때문에 처음 진입하는 경우 마지막 페이즈라는 압박감과 더불어 긴장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응될때까지는 잠시 볼륨을 낮추고 시작해 보는 것을 권장한다. 이전 페이즈와는 달리 기믹 패턴은 3가지 뿐이므로 파티 외생기를 철저히 배분해야 생존할 수 있으며, 3분 30초 시간이 지나면 몬 아파를 파티원들이 전부 죽을 때까지 쏘아대므로, 마지막까지 집중력을 발휘하여 공략하자!

보상

절 바하무트 토벌전 공략 보상으로 특수 칭호 '전설(The Legend)'과 전투 달성 업적 '절 바하무트를 쓰러트린 자(絶バハムートを狩りし者, Resistance Is Futile)', 절 바하무트 무기(ILv. 345)를 교환할 수 있는 '용신의 우상(龍神のトーテム像, Dreadwyrm Totem)' 1개를 획득할 수 있다. 4.5 영웅을 위한 진혼가 업데이트 이후부터 업적 화폐 2개로 '오케스트리온 악보 : Beyond Redemption(속죄의 끝)'을 획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