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

최근 편집: 2017년 5월 20일 (토) 00:48
Salam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5월 20일 (토) 00:48 판 (새 문서: 국가보훈이란 '국가유공자'에 관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보상과 복지, 예우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국가보훈'의 시작== *1948년, '국가...)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국가보훈이란 '국가유공자'에 관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보상과 복지, 예우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국가보훈'의 시작

  • 1948년, '국가유공자 예우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국가원호의 용어 사용.
  • 1961년, 국가원호청 창설.
  • 1984년, '원호'를 '보훈'으로 바꾸어, '국가원호청' 또한 국가보훈처로 변경.

국가유공자 분류

  • 훈격에 따른 분류: 독립장, 애국장, 애족장, 건국포장, 대한민국장, 대통령포장, 대통령장

독립유공자

운동계열의 성격에 따른 분류
2011.08.08.기준
순서
국내외 운동구분
총인원
1 국내항일운동
1,877
2 문화운동
106
3 의혈투쟁
104
4 학생운동
383
5 광복군
565
6 의병
1,929
7 3.1운동
4,087
8 애국계몽운동
131
9 임시정부
351
10 국외 운동구분 - 일본방면
237
11 국외 운동구분 - 만주방면
1,738
12 국외 운동구분 - 중국방면
240
13 국외 운동구분 - 노령방면
62
14 국외 운동구분 - 미주방면
87
15 국외 운동구분 - 인도네시아방면
3
16 국외 운동구분 - 기타(미정)
2
총계
11,902(명)
독립유공자 인정자의 출신지에 따른 분류 2011.08.08.기준
국내외구분
출신지
총인원
국내(한국) 1.강원
368
국내(한국) 2.경기
767
국내(한국) 3.경남
768
국내(한국) 4.경북
1,560
국내(한국) 5.광주
125
국내(한국) 6.대구
123
국내(한국) 7.대전
33
국내(한국) 8.부산
87
국내(한국) 9.서울
230
국내(한국) 10.울산
59
국내(한국) 11.인천
44
국내(한국) 12.전남
766
국내(한국) 13.전북
623
국내(한국) 14.제주
134
국내(한국) 15.충남
831
국내(한국) 16.충북
367
국내(한국) 17.충청
2
국내(북한) 1.평남
445
국내(북한) 2.평북
790
국내(북한) 3.평안
6
국내(북한) 4.함남
298
국내(북한) 5.함북
179
국내(북한) 6.황해
369
국외 1.중국
31
국외 2.노령
3
국외 3.러시아
1
국외 4.미국
4
국외 5.북간도
1
국외 6.아일랜드
3
국외 7.영국
5
국외 8.캐나다
1

참조

심옥주; Ok-Chu Sim (31 December 2014). 《한국 여성 독립 운동 과 국가 보훈》. 정언. ISBN 979-11-8562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