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성폭력/2016

최근 편집: 2016년 9월 24일 (토) 02:02
헤럴드봇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9월 24일 (토) 02:02 판 (성범죄 저지른 의료인 10년동안 취업 제한은 위헌 외 28개 뉴스 추가)

2016년 성폭력 관련 뉴스 모음

뉴스

참조

  1. “성폭행 막으려면 남자랑 둘이 있지마라?”. 《조선일보》. 2016년 4월 29일. 
  2. “치매 80대 할머니 폭행 후 유사강간까지 한 50대 '중형'. 《뉴스1》. 2016년 4월 25일. 
  3. “동료 여교사 4명 성추행한 교사 처벌 대신 '가산점'받고 영전”. 《연합뉴스》. 2016년 4월 25일. 
  4. "치킨 먹자" 10대 알바생 유인 성추행..벌금 2천만원”. 《연합뉴스》. 2016년 4월 24일. 
  5. “헤어진 한국인 여친 집 찾아가 성폭행한 미국인 집행유예”. 《뉴스1》. 2016년 4월 21일. 
  6. “모텔에서 만취한 여성 성폭행한 30대 회사원 집행유예”. 《연합뉴스》. 2016년 4월 20일. 
  7. “장애인 34시간 모텔 감금 '성고문'..'악마 여고생' 2심도 법정 최고형”. 《뉴스1》. 2016년 4월 19일. 
  8. '장애인 감금·성추행' 여고생, 2심도 법정 최고형 선고”. 《머니투데이》. 2016년 4월 19일. 
  9. '도도맘 성추행·폭행' 논란 40대 불기소”. 《뉴시스》. 2016년 4월 19일. 
  10. “약자 비하 개그, 어디까지 가려 하니”. 《한겨레》. 2016년 4월 17일. 
  11. "성인잡지 모델같다"..승무원 성희롱 사무장 파면 정당”. 《연합뉴스》. 2016년 4월 17일. 
  12. '송곳' 실제모델 하종강씨, 전교조·민주노총과 충돌”. 《한국일보》. 2016년 4월 13일. 
  13. "의대 재입학 성추행 가해자" 학생회 측 성명발표”. 《국민일보》. 2016년 4월 13일. 
  14. “카페서 잠든 여성 발가락 만진 20대男..법원 "추행 맞다". 《뉴시스》. 2016년 4월 13일. 
  15. “9년간 친딸 성추행한 아빠..항소했다 되레 형량 늘어”. 《경향신문》. 2016년 4월 12일. 
  16. “장동민 '한가정 자녀 조롱' 논란 키우는 절친의 빗나간 우정”. 《노컷뉴스》. 2016년 4월 12일. 
  17. '가슴 만지고 입맞춤' 男초등교사 회식자리서 여교사 4명 성추행”. 《연합뉴스》. 2016년 4월 12일. 
  18. “아내 노출 사진 몰래 찍어 SNS 올린 40대 '집유'. 《뉴스1》. 2016년 4월 11일. 
  19. '여성2명 성추행' 에듀윌 양형남 대표 사임”. 《뉴시스》. 2016년 4월 11일. 
  20. “장동민, 사과, 그리고 다시 장동민”. 《오마이뉴스》. 2016년 4월 8일. 
  21. “또다른 高大 의대 성범죄자.. 지방대 의대 본과 재학중”. 《조선일보》. 2016년 4월 8일. 
  22. “[단독]서울시 '성희롱' 여전..신입 女공무원 허벅지 만져”. 《머니투데이》. 2016년 4월 7일. 
  23. “강남구 한 병원 원장 부자, '간호사 성추행 혐의' 수사받아”. 《연합뉴스》. 2016년 4월 7일. 
  24. “[단독]성범죄자도 의사 될 수 있다니..”. 《동아일보》. 2016년 4월 7일. 
  25. “치마 속에 손 넣은 의사..수사받고도 병원 운영”. 《SBS》. 2016년 4월 7일. 
  26. “12년간 아빠가 성폭행.."딸이 우리가족 구해줘". 《뉴스1》. 2016년 4월 3일. 
  27. “숨을 곳 없는 '친족 성폭력', 반복되는 이유는?”. 《MBC》. 2016년 4월 3일. 
  28. “성범죄 저지른 의료인 10년동안 취업 제한은 위헌”. 《MBN》. 2016년 4월 2일. 
  29. '막걸리 세례 물의 대학'..이번엔 교수 성추행 의혹”. 《연합뉴스》. 2016년 3월 31일. 
  30. “[단독] 이번엔 목원대 막장 MT..낯뜨거운 성희롱 구호 논란”. 《서울신문》. 2016년 3월 28일. 
  31. “꿈마저 짓밟힌 18세 미혼모..비극의 시작은 가정내 폭력”. 《매일경제》. 2016년 3월 28일. 
  32. “[미제사건, 시그널을 찾아라]⑧ '112'와 '성추행' 검색후 실종된 예비수의사”. 《경향신문》. 2016년 3월 27일. 
  33. “[단독] 대한항공 '부기장 성추행' 글 논란”. 《한국일보》. 2016년 3월 21일. 
  34. “길거리 인터뷰 하는 척 음란방송..檢 '헌팅' BJ 기소”. 《헤럴드경제》. 2016년 3월 21일. 
  35. "청년 票 낚아라" 여당도 야당도 '일자리 空約'. 《국민일보》. 2016년 3월 21일. 
  36. “[단독]박현정 인터뷰 "정명훈 부부가 직원 동원만 안 했어도 없었을 일". 《경향신문》. 2016년 3월 20일. 
  37. “SBS "성기 표현하는 단어 부적절, 깊이 사과드린다" (공식입장)”. 《엑스포츠뉴스》. 2016년 3월 19일. 
  38. “학생 등급 나눠 차별·성추행, 초등학교 교사 구속”. 《MBC》. 2016년 3월 19일. 
  39. “옆집 여중생 상습 성추행한 목사 2심서 징역 2년6개월”. 《뉴스1》. 2016년 3월 19일. 
  40. “수면 내시경 여성환자 성추행한 의사 구속기소”. 《연합뉴스》. 2016년 3월 16일. 
  41. “[단독]성매매 피해 10대 소녀 수사하던 경찰이 성매수”. 《한국일보》. 2016년 3월 15일. 
  42. “<노인요양원> ② 폭행·살인·성폭력..노인들 두려움에 떤다”. 《연합뉴스》. 2016년 3월 13일. 
  43. "한번 자고 싶다" 성희롱 문자보낸 공무원 면직”. 《서울경제》. 2016년 3월 10일. 
  44. '교사가 여학생에 몹쓸짓'..충북 고교 2곳서 성추행 '물의'. 《연합뉴스》. 2016년 3월 8일. 
  45. “[한수진의 SBS 전망대] "이런 남자 조심" 데이트 폭력男 식별법”. 《SBS》. 2016년 3월 8일. 
  46. "여성은 예쁘고 다소곳해야"..교수 성차별 발언 심각”. 《연합뉴스》. 2016년 3월 8일. 
  47. “경찰 "박현정 추문 허위.. '시향 거짓 호소문'에 정명훈 부인 개입". 《동아일보》. 2016년 3월 4일. 
  48. '성추행 OT' 건대, 읽기 어려운 글씨로 사과문 올렸다 다시 몰매”. 《연합뉴스》. 2016년 3월 4일. 
  49. “건국대 OT성추행에다 이번엔 '희롱체' 발칵”. 《노컷뉴스》. 2016년 3월 4일. 
  50. “박현정 前서울시향 대표 '성추행 음해' 직원 10명 檢 송치”. 《연합뉴스》. 2016년 3월 3일. 
  51.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윤병세,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위안부' 언급 안 해”. 《경향신문》. 2016년 3월 3일. 
  52. “동급생 집단 성폭행한 고교생들..3명 구속”. 《연합뉴스》. 2016년 3월 3일. 
  53. '수면 내시경 환자 성추행' 혐의 의사 '구속'. 《뉴시스》. 2016년 3월 2일. 
  54. "밥 잘 먹으니 성관계도.." 인천대 성추행 파문”. 《국민일보》. 2016년 3월 1일. 
  55. "입에서 입으로 술 전달..건대 OT 성추문 작년에도". 《노컷뉴스》. 2016년 3월 1일. 
  56. '틈 나면 종업원 강제추행' 중국집 사장에 징역 6월”. 《연합뉴스》. 2016년 2월 28일. 
  57. “건국대 신입생 OT서 '성추행' 논란 게임 강요”. 《연합뉴스》. 2016년 2월 27일. 
  58. “주스에 수면제 타 딸에게 먹이고 성폭행..'충격'. 《아시아경제》. 2016년 2월 21일. 
  59. '무기수가 또'..성추행 등 교도소 내 범죄 '빈발'. 《연합뉴스》. 2016년 2월 20일. 
  60. “환자 성추행 물리치료사 '무죄'서 '유죄'로.. 왜?”. 《뉴시스》. 2016년 2월 19일. 
  61. “[단독] 졸업인사 온 제자에 교사가 '몹쓸 짓'. 《SBS》. 2016년 2월 19일. 
  62. “[단독] 새내기 검찰 직원이 여중생 성추행”. 《세계일보》. 2016년 2월 14일. 
  63. "데려다 주겠다"..술마시기 게임하다 만취한 여성 성폭행”. 《연합뉴스》. 2016년 2월 14일. 
  64. “치마입고 거리에 누운 까닭?.. "짧은치마가 강간이유 안돼". 《뉴스1》. 2016년 2월 14일. 
  65. “대형병원 의사, 지적장애 여성 환자 성폭행 혐의 수사(종합)”. 《연합뉴스》. 2016년 2월 12일. 
  66. “만원 지하철서 女엉덩이 주먹으로 꾹 누른 80대..성추행일까”. 《연합뉴스》. 2016년 2월 10일. 
  67. “10대 女조카를 또다시 성폭행한 짐승 이모부..이번엔 임신중절까지”. 《이데일리》. 2016년 2월 10일. 
  68. “러 여성 추행한 난민들 단체로 '응징'당해 병원행”. 《서울신문》. 2016년 2월 9일. 
  69. “길 가던 여성 성폭행한 고등학생들 '실형'. 《뉴시스》. 2016년 2월 7일. 
  70. “[Why] 여성 환자 울리는 나쁜 손.. 성범죄 의사들 믿는 구석 있다?”. 《조선일보》. 2016년 2월 6일. 
  71. “[단독] '성추행 전력' 변호사, 또 전철역서..현장서 체포”. 《JTBC》. 2016년 2월 5일. 
  72. “法, 탈주 성폭행범 김선용에 '화학적 거세' 명령에 징역 17년”. 《뉴시스》. 2016년 2월 5일. 
  73. '강제추행' 이경실 남편 징역10월 성폭력교육 선고, '실형'. 《뉴스엔》. 2016년 2월 4일. 
  74. “(종합)이경실 남편 결국 법정구속 "지인아내 성추행 죄질 나빠". 《뉴스엔》. 2016년 2월 4일. 
  75. “술집 화장실 침입은 성폭력 처벌법상 무죄”. 《MBN》. 2016년 1월 30일. 
  76. '아들 행세' 노인들 속여 성관계 갖고 돈 뜯은 60대 '중형'. 《뉴스1》. 2016년 1월 29일. 
  77. “이재명,"지위고하 막론하고 비위공무원 생존 포기해라". 《헤럴드경제》. 2016년 1월 29일. 
  78. “부하여직원 잇단 성폭행 '최악 갑질' 40대男 징역 5년”. 《연합뉴스》. 2016년 1월 28일. 
  79. “어머니 때리고 성폭행하려한 아들 2심서 징역 4년→6년”. 《연합뉴스》. 2016년 1월 27일. 
  80. "성관계로 강박증 치료"..여성 신자 꾀낸 목회자 징역 4년 선고”. 《아시아경제》. 2016년 1월 26일. 
  81. '캐디 성추행' 징역형 박희태 전 국회의장, 상고장 제출”. 《뉴시스》. 2016년 1월 26일. 
  82. '몰카' 7개월간 49번 찍었는데 '무죄'..이유는”. 《연합뉴스》. 2016년 1월 24일. 
  83. “여고생 3명 강제추행 기간제 교사 집행유예”. 《연합뉴스》. 2016년 1월 23일. 
  84. “탈주 성폭행범 김선용 '화학적 거세' 10년 구형”. 《연합뉴스》. 2016년 1월 20일. 
  85. '캐디 성추행' 박희태 전 국회의장 항소심도 징역형”. 《연합뉴스》. 2016년 1월 20일. 
  86. "증정품 먹었지"..알바생 창고 끌고가 성폭행 시도한 편의점주”. 《뉴스1》. 2016년 1월 19일. 
  87. “[학교 성폭력 실태보고서] 성희롱에 노출된 교사들.. '벙어리 냉가슴'만”. 《세계일보》. 2016년 1월 17일. 
  88. '징역 2년 구형' 이경실 남편 "만취 상태" 선처 호소”. 《노컷뉴스》. 2016년 1월 15일. 
  89. “워터파크 몰카범들에 징역 4년6월∼3년6월 '중형'. 《연합뉴스》. 2016년 1월 14일. 
  90. '수면내시경 상습 성추행' 인정.."적절한 조치 없었다". 《JTBC》. 2016년 1월 14일. 
  91. “전 애인 알몸셀카 유포한 남성 "유죄" vs "무죄". 《노컷뉴스》. 2016년 1월 13일. 
  92. “[단독”. 《JTBC》. 2016년 1월 13일.  다음 글자 무시됨: ‘ 탐사플러스] 수면내시경 환자 '상습 성추행' 의혹..내부 문건 입수’ (도움말)
  93. “[단독] 속초 식당서 '집단 사과'한 서울시 공무원들”. 《국민일보》. 2016년 1월 13일. 
  94. “대법 "남의 나체사진 공개해도 '셀카'면 처벌 못해". 《연합뉴스》. 2016년 1월 11일. 
  95. "물리치료 중 성추행" 고소..곤혹스러운 치료사”. 《SBS》. 2016년 1월 11일. 
  96. "애인이랑 어땠어" 직장내 성희롱, 가해자 처벌하려면?”. 《아시아경제》. 2016년 1월 9일. 
  97. “독일 곳곳 '집단 성폭력'.."쾰른사태 후 이주민 히스테리"(종합)”. 《연합뉴스》. 2016년 1월 9일. 
  98. “돌체앤가바나, 흑인비하·성폭력 미화 이어 동양인 비하까지”. 《뉴스1》. 2016년 1월 8일. 
  99. “이민자 반란? 쾰른 축제장서 여성 90여 명 성폭력 수난”. 《중앙일보》. 2016년 1월 7일. 
  100. “쾰른 성폭력범 경찰에 큰소리.."난 메르켈이 초청한 시리아인". 《연합뉴스》. 2016년 1월 7일. 
  101. "역겨운 인권침해"..메르켈, 난민 집단 성폭행 격노”. 《세계일보》. 2016년 1월 6일. 
  102. “[단독] 대기업 영업사원 성희롱..내부고발하니 '날벼락'. 《JTBC》. 2016년 1월 6일. 
  103. "내부 고발에 상처만.. 교수 꿈 접고 이민 가겠다". 《한국일보》. 2016년 1월 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