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던 페미니즘

최근 편집: 2016년 9월 26일 (월) 01:58
로네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9월 26일 (월) 01:58 판 (새 문서: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은 '여성', '남성'과 같은 거대이론적인 정체성 규정 자체를 비판한다. 오늘날 페미니즘은 현대사회의 ‘지배문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은 '여성', '남성'과 같은 거대이론적인 정체성 규정 자체를 비판한다. 오늘날 페미니즘은 현대사회의 ‘지배문제’와 연관되어 제기됨으로써 ‘여성의 해방’뿐만 아니라 ‘인간의 해방’을 지향한다. 자유주의 페미니즘이 여성의 법적, 정치적 권리 획득에 주안점을 두었고 급진적 페미니즘은 여성의 정체성 확립과 이를 통한 인간으로서의 여성의 해방을 추구했다. 하지만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포스트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의 정체성 확립이 오히려 여성‘들’ 사이의 차이를 억압하고 여성의 가능성을 가두어버리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비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버틀러(Judith Butler)는 여성은 여성 자체의 내부로부터 열려있는 존재이기 때문에 결코 어떤 정체성으로 규정될 수 없으며 여성이라는 보편성은 무엇으로 규정되지 않은 채 미래의 재의미화에 열려 있다고 주장하고, 무퍼(Chantal Mouffe)는 여성의 정체성 규정은 필요하지만 그것은 ‘마디의 순간들’에 임시적으로 정해지며, 다른 주체적 입장들을 통해 계속 중층적으로 결정되고 전도되면서 자신의 변화과정을 겪는다고 피력한다.[1]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남성중심지배구조를 포함한 모든 억압적 지배구조로부터, 여성뿐 아니라 성소수자와 남성까지 포함하는 인간의 해방을 목표로 한다. 또 여성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것은 여성 사이의 차이를 무시하는 것이라 비판하며 여성에 대한 모든 규정을 지양한다. 포스트모던 페미니즘들은 다른 페미니즘의 여성에 대한 정체성 규정에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비판한다. 여성은 동질적인 존재가 아니다. 선진국 여성과 후진국 여성, 백인 여성과 유색인종 여성, 성다수자 여성과 성소수자 여성의 삶, 경험, 이해관계, 요구 등은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를 무시하고 여성이라는 동일 집단으로 묶는 것은 소수집단 여성을 무시하게 된다는 것이다.

  1. 이동수. (2004년).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에서 여성의 정체성과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