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토론 시스템 간 비교 분석 보고서

최근 편집: 2017년 9월 23일 (토) 21:27
낙엽1124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9월 23일 (토) 21:27 판 (Flow가 Structured Discussions으로 이름이 바뀌어 이를 수정했습니다 / 미디어위키재단의 연간계획 관련 내용 추가했습니다)

목적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분석 대상 및 선정 사유

참고: 토론과 포럼 확장기능들

기본 토론 방식
LiquidThreads
Structured Discussions가 LiquidThreads 문서에서 Structured Discussions로의 변환을 지원하는 것으로 보아, Structured Discussions가 생기기 전에는 LiquidThreads이 일반적인 토론 방식이었을 것으로 예상된다.조사 필요
Structured Discussions(구 Flow)
페미위키용으로 개발되던 게시판(이하 게시판)

단점 분석

방법

공식적인 Issues 창구와 버그 리포트를 참고하여 출처를 명시하여 기재하며, 보고된 것을 찾는데 실패한 Issues는 바로 기재한다.

각 방식의 단점

기본 토론 방식

  • 단순히 들여쓰기를 이용한 답장 체계가 가독성을 떨어트린다.
  • 대화가 여럿 동시에 일어나 문서가 길어졌을 때 원하는 부분을 찾기 어렵다.
  • 서명을 누락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후 처리가 필요하다.
  • 문서 충돌이 일어났을 경우 후속조치를 하지 않고 방치할 수 있다.

LiquidThreads

  • 릴리즈 상태가 unmaintained이며 마지막 버전은 2014년 3월 28일이다.

Structured Discussions

  • parsoid 서버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에는 페미위키 서버가 살아있더라도 작동하지 않는다.
  • 2015년 이후로 사실상 개발이 중단되었다.[출처 필요]
    • 기능추가만 일시적으로 중단된 것이고 유지보수는 되고 있으며 edit review improvement 프로젝트 이후에 다시 진행될 계획으로 2016 보고서의 제안도 빠진 기능들을 보완하자는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다.[1][출처 필요]
    • 2017-2018 연간계획의 다섯번째 프로그램 세번째 목표에 Structured Discussion의 피처 강화가 포함되었다. 예를 들어 Structured Discussions에서의 검색 기능은 2018년 3월 31일 이전에 완성할 계획이다.[2]
  • '자신의 사용자 문서 편집'을 제외하고 편집이 차단된 경우에, 토론 이름공간에 글을 남기는 것(사용자 문서에 새 주제를 여는 일)은 가능하지만 주제 이름공간에 글을 쓰는 것(이미 열린 주제에 메세지를 남기는 것과 자신이 남긴 메세지를 수정하는 것)은 되지 않는다는 보고가 있으며 현재 페미위키도 동일한 증상이 있는 것이 확인된다.렌즈 (토론) 리브레위키의 한 게시글에 따르면 이 문제는 2014년 11월 22일 미디어위키 파브리케이터에 제보되었다고 하는데,[3] 미디어위키 파브리케이터에서 해당 날짜에 생성된 task는 검색되지 않는다.[4] 대신 2014년 1월 10일에 작성된 task에 2017년 달린 의견에서 설명되고 있다.[5]

게시판

  • 개발 중이던 커스텀 코드로, 유지 보수에 인력이 많이 필요하다.
  • 페미위키 스킨에 부속된 자바스크립트로 실행되어, 다른 스킨에서는 보이지 않아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하다.

도입 사례 분석

리브레위키의 Flow(현 Structured Discussions) 설치 철회 건

다음 이유 등으로 철회된 듯 하다.[6]

  • 문서를 이동할 때 토론이 같이 이동하지 않았다. → 페미위키에서 재현 안 됨 혹은 문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음.
  • 하위 문서에 적용되지 않았다. → 페미위키에서 재현 안 됨 혹은 문제를 정확히 확인할 수 없음.
  • 차단되었을 때 자신의 사용자토론에서 토픽을 생성할 수 있지만 정작 댓글을 추가로 달 수 없다. → 페미위키도 동일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