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론

최근 편집: 2016년 10월 9일 (일) 14:21
Layla0242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10월 9일 (일) 14:21 판 (새 문서: δ== 학문의 배경 == 국가의 경제성장이 국민들의 소득과 국가의 부의 증가와 곧바로 직결되기 때문에 이 분야에 대해서 수많은 경제학자들...)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δ== 학문의 배경 == 국가의 경제성장이 국민들의 소득과 국가의 부의 증가와 곧바로 직결되기 때문에 이 분야에 대해서 수많은 경제학자들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 왔다. 특히 신자유주의 이후로 경기침체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08년 금융위기 이후로 국가경제의 불안정성과 성장에 대한 폭발적인 논쟁과 리뉴얼이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이기도 하다.


성장이론 모형의 발전

경제성장론에 있어 중요한 모형들의 발전 과정을 간략히 정리한다. 학부 2학년의 수준의 거시경제학 정리부터 경제성장론에서 배울 수 있는 모형을 소개하고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소개되고 있는 중요한 모형들의 요약한다.

성장론 모형들의 발전은 주류 이론이 기초하는 전제 속에서 모형을 만들고 이 이론의 함의가 현실의 주요한 사실들과 어떤 측면에서 일치/불일치하는가를 통하여 더 정교한 이론들을 만들어 가는 과정 속에 있다.

신고전파 성장론

첫 시작은 해로드-도마 모형이지만 여러가지 이론적 문제를 극복한 솔로무 모형을 가장 기본 모형으로 삼고자 한다. 솔로우 모형의 기본 가정은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i)완전경쟁 시장을 가정한다. ii)노동과 자본을 생산 투입요소로 하는 규모에 대해서 보수불변(CRS)를 가정한다.

  이는 곧 신고전파 생산함수가 의미하는 한계생산성 체감의 법칙을 의미한다.

콥-더글라스 모형의 생삼함수를 이와 같이 가정한다.

그리고 잘 알려진 일인당 자본량(k)의 이행 경로는 이와 같은 1차 미분방정식을 따른다.

(단, 기술수준 A는 일정한 것으로 가정한다.) k: 일인당 자본량 n: 인구증가율 s: 저축율 δ: 감각상각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