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오브 레전드

최근 편집: 2018년 2월 11일 (일) 15:32
정사나눔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2월 11일 (일) 15:32 판 (→‎캐릭터: <- 손에 꼽을 정도긴 하지만. 어린 챔피언은 룰루, 트리스타나, 애니, 조이 등등 롤의 지분을 상당수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어린 챔피언의 지분이 적다는 서술을 삭제했습니다.)

개요

리그 오브 레전드(영어: League of Legends)는 미국 라이엇 게임즈(Riot Games)에서 개발한 AOS게임이다. 5명으로 구성된 두 팀이 상대방과 싸우는 대전게임으로, 사용자들이 직접 다양한 역할군의 챔피언을 선택해 상대 팀 진영을 점령해야 게임이 끝난다. 2009년 10월부터 서비스가 시작됐고, 한국에서는 2012년 1월 정식 출시됐다. 2012년 경부터 한국에 유행하기 시작하였으며 한 때 게임 순위 1위를 누리기도 하였다. 2016년에 들어서 오버워치에 밀려 순위가 낮아졌다.

앞글자를 따서 롤(LoL) 또는 엘오엘이라 부르기도 한다.

세계관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스토리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지역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캐릭터

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 중 여성 캐릭터와 남성 캐릭터를 비교해보자면, 우선 갯수로는 여성형 캐릭터의 갯수 41명, 남성형 캐릭터의 갯수가 총 94개였다. 남성 캐릭터는 동물형, 갑옷형, 괴물형 등으로 변형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으며 어린 남성의 모습은 자주 나타나지 않았지만 늙은 남성 모습의 캐릭터는 빈번히 나타났다. 또한 여성형 캐릭터의 경우 동물형이나 늙은 모습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별로 없었으며 63%에 달하는 여성형 캐릭터가 젊고 예쁘거나 몸매가 뛰어난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었다. 이는 사회의 중심이 되는 중장년층의 남성을 주로 하는 사회의 이데올로기와 남성의 대리권력을 누리는 젊고 예쁜 여성의 모습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또한 남성형 캐릭터가 동물형이나 괴물형으로 자주 나타나는 것과 대비되는 여성 캐릭터들의 모습에서 젊고 예쁜 여성이기를 기본값으로 삼는 사회의 이데올로기가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인간 남성형 캐릭터는 변형된 남성 캐릭터 58개보다 갯수가 적은 38개였으며 이 중 젊고 멋진 남성으로 나타나거나 몸매가 부각된 일러스트로 나타난 경우는 20개로 52%에 육박했다. 이는 남성에게도 적용되는 외모지상주의의 기준을 보여주는 수치였다. 또한 여성 캐릭터들의 경우 기본 스킨에는 젊고 예쁜 여성으로 나타나지 않더라도 추가 스킨에서 젊고 예쁜 여성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빈번했다.[1][2][3]

사건/사고

몬스터 게이밍 대리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승부조작 강요 폭로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여성 유저 대리 의혹제기

여성 유저 "데빌령"의 실력이 너무 뛰어나다는 이유로 인벤 커뮤니티 등지에서 대리 의혹을 제기하였으나,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실력이 뛰어난 여성이 있다는 것을 생각하지 못하는 대표적인 게임계 여혐 현상이다. 좇벤의 승리!

같이 보기

출처

  1. 여성형 챔피언인 나미, 니달리, 다이애나, 럭스, 레오나, 룰루, 르블랑, 리븐, 리산드라, 모르가나, 미스 포츈, 바이, 베인, 뽀삐, 세주아니, 소냐, 소라카, 시비르, 신드라, 아리, 아칼리, 애니, 애쉬, 엘리스, 오리아나, 이렐리아, 이블린, 일라오이, 자야, 자이라, 잔나, 징크스, 카밀, 카시오페아, 카타리나, 칼리스타, 케이틀린, 퀸, 탈리야, 트리스타나, 피오라 중 젊고 예쁜 여성으로 그려지거나 몸매가 부각된 일러스트로 그려진 경우는 나미, 니달리, 럭스, 르블랑, 모르가나, 미스 포츈,바이, 베인, 소냐, 소라카, 시비르, 신드라, 아리, 아칼리, 애쉬, 엘리스, 이렐리아, 이블린, 자야, 잔나, 카르마, 카타리나, 카시오페아, 케이틀린, 피오라, 등 41명 중 26명으로 63%에 달하는 비율이었다. 2017년 8월 25일 기준
  2. 남성형 캐릭터의 목록은 가렌, 갱플랭크, 그라가스, 그레이브즈, 다리우스, 드레이븐, 라이즈, 라칸, 루시안, 리신, 마스터이, 문도박사, 바루스, 브랜드, 브라움, 블라디미르, 빅토르, 쉔 스웨인, 신 짜오, 신지드, 야스오, 에코, 올라프,우디르, 우르곳, 이즈리얼, 일라오이, 자르반 4세, 제이스, 질리언, 케인, 코르키, 타릭, 탈론, 트린다미어, 트위스티드 페이트, 판테온, 갈리오, 나르, 나서스, 노틸러스, 녹턴, 람머스 , 럼블 , 레넥톤, 렉사이, 렝가, 마오카이, 말자하, 말파이트, 모데카이저, 바드, 베이가, 벨코즈, 볼리베어, 블리츠크랭크 사이온, 샤코, 스카너, 쓰레쉬, 아무무, 아우렐리온 솔, 아이번, 아지르, 아트록스, 알리스타, 애니비아, 오공, 오른, 요릭, 워윅, 자크, 잭스, 제드, 제라스, 직스, 진, 초가스, 카사딘, 카서스 , 카직스, 케넨, 케일, 코그모, 코르키, 클레드, 킨드레드, 탐 켄치, 트런들, 트위치, 피들스틱, 피즈, 하이머딩거, 헤카림으로 총 94개에 달했다. 2017년 8월 25일 기준
  3. 일러스트가 인간 남성형으로 나타난 가렌, 갱플랭크, 그라가스, 그레이브즈, 다리우스, 드레이븐, 라이즈, 라칸, 루시안, 리신, 마스터이, 문도박사, 바루스, 브랜드, 브라움, 블라디미르, 빅토르, 쉔 스웨인, 신 짜오, 신지드, 야스오, 에코, 올라프,우디르, 우르곳, 이즈리얼, 일라오이, 자르반 4세, 제이스, 질리언, 케인, 코르키, 타릭, 탈론, 트린다미어, 트위스티드 페이트, 판테온으로 38개였으며 젊고 멋진 남성으로 그려지거나 몸매를 부각시킨 일러스트로 그려진 경우는 가렌, 다리우스,라칸, 루시안, 리신,바루스, 브랜드, 블라디미르,신짜오, 야스오, 에코, 우디르, 이즈리얼, 자르반4세, 제이스, 케인, 타릭, 트린다미어, 트위스티드 페이트 등으로 20개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