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TERF의 토론 주제

1번째 줄: 1번째 줄:
그럼 해당 글에 비판 내용 따로 작성하면 충분히 해당 기능 수행하지 않나요? 젠더론에 비판적인 사람과 터프는 결이 다르다는 말을 드렸고, 그래서 해당 문서로의 유입은 GCF의 하위 분파로 TERF가 있으며 선택 가능하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고 말을 했는데 제 말에 대한 대답으로는 부족하네요.
해당 글에 말씀하신 비판 내용 따로 작성하면 충분히 의도하고자 하는 기능 수행하지 않나요? 젠더론에 비판적인 사람과 터프는 결이 다르다는 말을 드렸고, 그래서 해당 문서로의 유입은 GCF의 하위 분파로 TERF가 있으며 선택 가능하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고 말을 했는데 제 말에 대한 대답으로는 부족하네요.


비당사자의 당사자 담론에 대한 논의는 충분히 페미위키 특성상 제안될 수 있는 부분임에 공감하고, TERF가 낙인이 되어 비당사자에 대한 입막음의 소지가 있다는 부분에는 동의하나 혐오를 일삼는 사람이 사회에 실제로 다수가 존재하고 그들을 호칭하는 단어로 사용되는 현 상황에서,TERF는 혐오에 대한 경계적 단어로 충분히 기능하고 있습니다. 당사자조차 논의에 제대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지 않은 한국에서, 비당사자가 진행하는 논의를 막는다는 측면에서 당사자의 고통을 가중시키는 집단을 칭하는 단어 사용의 빈도를 줄이기 위해 단어의 결을 바꾼다는 건 언어의 자유성을 가장한 폭력에 더 가깝습니다. 마치 한남이 낙인으로 쓰일 수 있으니 긍정적으로 보일 수 있는 더 큰 카테고리에 넣어서 한남이란 단어의 결을 긍정적으로 바꾸는 것과 비슷하게 보이고요. 이러한 행위는 당사자에 대한 폭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비당사자들은 새기고 있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여전히 반대합니다. 단어의 용도, 충분히 유의미하게 쓰이고 있습니다. 트랜스가 제대로 가시화되지도 않은 환경의 한국에서, 비당사자는 과도한 경계를 가져도 모자란 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비당사자의 당사자 담론에 대한 논의는 충분히 페미위키 특성상 제안될 수 있는 부분임에 공감하고, TERF가 낙인이 되어 비당사자에 대한 입막음의 소지가 있다는 부분에는 동의하나 혐오를 일삼는 사람이 사회에 실제로 다수가 존재하고 그들을 호칭하는 단어로 사용되는 현 상황에서,TERF는 혐오에 대한 경계적 단어로 충분히 기능하고 있습니다. 당사자조차 논의에 제대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지 않은 한국에서, 비당사자가 진행하는 논의를 막는다는 측면에서 당사자의 고통을 가중시키는 집단을 칭하는 단어 사용의 빈도를 줄이기 위해 단어의 결을 바꾼다는 건 언어의 자유성을 가장한 폭력에 더 가깝습니다. 마치 한남이 낙인으로 쓰일 수 있으니 긍정적으로 보일 수 있는 더 큰 카테고리에 넣어서 한남이란 단어의 결을 긍정적으로 바꾸는 것과 비슷하게 보이고요. 이러한 행위는 당사자에 대한 폭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비당사자들은 새기고 있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여전히 반대합니다. 단어의 용도, 충분히 유의미하게 쓰이고 있습니다. 트랜스가 제대로 가시화되지도 않은 환경의 한국에서, 비당사자는 과도한 경계를 가져도 모자란 순간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