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포크 프로젝트/리브레 위키/대수학의 기본 정리

최근 편집: 2021년 11월 14일 (일) 13:48

대수학의 기본 정리(fundamental theorem of algebra)는 다항식의 근에 관한 정리이다. 이는 복소수체실수체와 달리 대수적으로 닫힘을 알려준다. 다시 말해, 복소수 계수로 만든 모든 방정식은 복소수 해가 존재한다. 뭐 당연한 거 아닌가 싶겠지만 사실 이거 꽤 신박한 거다. 옛날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수준의 이목을 끌었다고 한다.

진술

다음 둘은 서로 동치이며, 둘 중 꼴리는 하나를 대수학의 기본 정리라고 한다:

  • 상수 아닌 복소계수 다항식은 하나 이상의 근을 갖는다.
  • 차 복소계수 다항식은 중근을 고려하여 정확히 개의 근을 갖는다. ()

증명

리우빌의 정리(Liouville’s theorem)를 이용하는 해석적 증명

다음은 복소해석학을 이용한 증명이다.[1]


복소 다항식

가 영점을 갖지 않는다고 가정하자. 즉 모든 복소수 에 대해 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는 전해석함수이다. 이제 삼각 부등식을 이용하여

를 얻고, 라 하면, 양수 에 대해 이면

이다. 여기서 을 충분히 큰 값으로 선택하여 가 되도록 하면 부등식

이 성립하므로 식 (a)로부터

을 얻는다. 즉, 는 유계인 전해석함수이다. 따라서 리우빌 정리에 의해 는 상수함수이다. 그러나 가정에서 는 상수가 아니라고 하였으므로 도 상수함수가 될 수 없다.(모순) 그러므로 는 적어도 하나의 영점을 갖는다.

갈루아 이론을 이용하는 증명

우리가 "방정식을 푼다" 고 할 때 방정식의 해를 어떤 집합에서 찾는지 생각해보자. 실수들의 집합 R, 대수학의 기본정리의 경우 복소수들의 집합 C, 종종 모듈로 연산을 할 경우 로 나눈 나머지만을 고려하여 에서 해를 찾게 된다. 이러한 작업을 할 수 있는 일반적인 집합이 바로 체(field) 이다. 체에 대한 이론을 정립하고 기존에 고려하던 실수체 R과 C를 넘어서는 수많은 체들에 대해 방정식을 풀게 되면서 기존에 가능하지 않던 접근이 가능해진다. 갈루아 이론은 두 체 가 있을 때 두 체 사이의 체를 갈루아 군이라는 대상의 부분군과 일대일 대응을 시킴으로서 분류를 가능하게 하는 이론이다. 이로서 군에 대하여 정립된 이론 (Sylow theory 등)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 증명에서 이용되는 "대수적이지 않은 성질"은 위의 홀수차수 방정식은 근을 갖는다는 중간값 정리와, 임의의 복소수의 제곱근이 복소수 집합 내에서 존재한다는, 본질적으로 이차방정식의 풀이이다.

중간값 정리는 체에 대한 명제로,"의 홀수 차수 확대체(extension field)는 존재하지 않는다"로 번역된다.

이차방정식의 풀이는 체에 대한 명제로, " 의 2차 확대체는 존재하지 않는다"로 번역된다.

대수학의 기본정리는 체에 대한 명제로, "의 유한 확대체(finite extension field) 는 존재하지 않는다"로 번역된다. 만약 어떤 복소계수 다항식 의 해가 복소수체 내부에서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러한 해들을 미지수 로 놓고, 정확히 에서 의 해를 추가하여 를 만들듯, 를 포함하는 더 큰 체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중간값 정리와 이차방정식의 풀이를 이용하여 대수학의 기본정리를 증명한다. 의 유한 확대체 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임의의 유한 확대체는 유한 갈루아 확대체에 포함된다. 를 포함하는 갈루아 확대체라 하자. 갈루아군 의 2-Sylow subgroup 를 생각하자. 갈루아 이론에 의해 가 홀수인 의 부분체 가 존재한다. 하지만 <중간값 정리>에 의해 이고, 는 2의 거듭제곱이어야만 한다. 에서 또한 2의 거듭제곱임을 알 수 있다. 이제 라 가정하자. Sylow theory의 결과를 다시 한 번 적용하면, 의 원소 개수 인 부분군이 존재하며, 갈루아 이론에 의해 이 부분군에 대응되는 의 2차 확대체가 존재하게 된다. 이것은 이차방정식의 풀이에 모순이다. 따라서 이고 이다. 이로서 대수학의 기본 정리가 증명되었다.

따름정리

대수학의 기본 정리로부터 다음의 유용한 따름정리를 얻을 수 있다. 이 따름정리를 대수학의 기본정리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2]


모든 차 복소 다항식은 중근까지 고려하여 개의 근을 갖는다. 따름정리는 다음과 같이 기술할 수 있다. 복소 다항식

에 대해 (서로 다를 필요는 없는) 복소수 이 존재하여

와 같이 쓸 수 있다.

증명

대수학의 기본 정리에 의해 인 점 이 존재하므로

와 같이 쓸 수 있다. 그런데 차의 다항식이므로, 다항식의 차수에 대한 귀납법을 사용하면(대수학의 기본 정리 이용) 증명이 끝난다.

  1. [[1]],출처는 위키백과
  2. 출처는 [[2]],그리고 [[3]],출처는 위키백과,내용 일부 각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