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포크 프로젝트/리브레 위키/무인도

최근 편집: 2021년 11월 14일 (일) 12:44
다른 뜻
인도락샤드위프 제도에 속한 무인도 중 하나

무인도(無人島)는 인간이 살지 않는 이다. 좀 더 풀어서 설명하면 바다에 둘러싸여 있으면서 만조가 됐을 때 해수면 위로 드러나는 자연적인 땅으로 기본적으로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곳을 의미한다.

한국의 무인도

1. "무인도서"란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만조 시에 해수면 위로 드러나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땅으로서 사람이 거주(정착하여 지속적으로 경제활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하지 아니하는 곳을 말한다. 다만, 등대관리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로 인하여 제한적 지역에 한하여 사람이 거주하는 도서는 무인도서로 본다.

대한민국에는 2,900여 개에 달하는 무인도가 있으며, 국내에서 섬이 가장 많은 지역인 전라남도가 무인도 총수의 약 60%에 가까운 1,700여 개를 보유하고 있다. 무인도는 소유주에 따라 국·공유지와 사유지로 분류되는데 순수 국유지가 1,320여 개, 지방자치단체와 공사 등의 공유지가 1,270개 등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면적으로 보면 61%가 사유지로 압도적으로 많은 편이다.

무인도의 매매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무인도에서의 생존법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무인도가 배경인 작품

모험 소설의 명작 《로빈슨 크루소》(1719년 작) 이후로, 무인도는 모험 및 생존주의를 주제로 삼은 작품의 단골 무대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