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포크 프로젝트/리브레 위키/비둘기

최근 편집: 2021년 11월 1일 (월) 22:54
파일:Dulgi.jpg

비둘기는 비둘기목 비둘기과에 속하는 조류이다.

개요

마시쩡? 마시쩡!

관악기로 쓰인다.

학명: Columba livia

영어: Pigeon/Dove/Culver/MaSsiJjyung

일본어: 鳩(ハト)

한국에서 볼 수 있는 비둘기는 멧비둘기, 바위비둘기, 양비둘기, 염주비둘기, 홍비둘기, 흑비둘기의 6종이며 보통 비둘기로 불리는 종은 바위비둘기나 가까운 종인 양비둘기이다.

도시의 비둘기

한국의 경우 1988년 올림픽을 기념하기 위해 평화의 상징으로 날려보낸 것과 가요가 유행할 당시 발라드 가수들이 컴백할 때 멋진 무대연출을 위해 날려 보내던 것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그 누구도 날려 보냉 이후의 일을 생각지도 않은 것이다.

공해

비둘기 중 도시에서 사는 녀석들은 일종의 공해로 인식되고 있는 측면이 있다. 일단 비둘기의 배설물이 워낙에 강한 산성인지라 도시 내부의 건축물이나 청동으로 만든 동상 등을 부식시키는 주 원인이 되는 것. 또한 도심지에는 비둘기가 진드기나 먼지 같은 것을 털어낼 모래목욕을 할만한 모래가 있는 곳이 거의 없다. 덕분에 도시지역에 사는 개체들은 때가 꼬질꼬질한 비위생적인 모습으로 돌아다니는 경우가 많다.

닭둘기

본문을 가져온 내용 이 내용은 닭둘기 문서의 본문을 가져와 보여주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에서 확인해 주십시오.

반응 속도

도시의 비둘기는 반응 속도도 느려서 로드 킬을 당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시골의 반응력 좋은 비둘기들은 3m 근처에만 와도 도망가는 반면 도시의 비둘기는 사람이 가까이 잡으러 와도 안 도망간다.

여담

평화의 상징으로 쓰인다.[1]도시의 비둘기는... 하지만 하얀 비둘기인 Dove만 평화의 상징이고 일반적으로 도시에서 돌아다니는 회색 비둘기인 Pigeon은 평화의 상징이 아니다.

식용 비둘기도 존재한다.[2]

필수요소화

본문을 가져온 내용 이 내용은 비둘기야 먹자 문서의 본문을 가져와 보여주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에서 확인해 주십시오.

2008년, 유튜브에 "안웃을 수 없는 정신나간 비둘기"[3]라는 제목으로 동영상이 올라왔는데 이것이 필수요소화가 되었다.

같이 보기

  1. 보통 하얀 비둘기가 나뭇잎을 물고 있는 모습이 평화의 상징으로 쓰인다.
  2. 원래는 방생된 비둘기였지만 중국 시민들이 무자비하게 먹어치웠다.
  3. 나중에 알려질때는 "비둘기야 먹자"로 알려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