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포크 프로젝트/리브레 위키/스페이스 엔진

최근 편집: 2021년 11월 1일 (월) 23:28
틀:정보상자 주제칸틀:정보상자 주제칸
원작자 블라디미르 로마뉴크
종류 교육 소프트웨어
언어 영어, 러시아어 외 14개
운영체제 Windows, OS X, 리눅스
웹사이트 공식 홈페이지

파일:스페이스엔진2.PNG 스페이스 엔진(SpaceEngine)은 3D로 우주를 탐험할 수 있는 천문 시뮬레이터이다.

기본적으로 현재까지 알려진 실제 천문 데이터를 사용하지만, 그 외의 천체들은 특정 알고리즘에 따라 절차적으로 가상 생성된다. 러시아 프로그래머 한 명이 개발하고 있으며, 스팀 그린라이트를 통과해 그린릿 되었다.

2019년 6월경 유료화되어 스팀에 출시되었다.

천체

행성(planet)

행성은 기온, 구성 성분, 생명체의 존재 여부로 분류된다. 예를 들면 지구의 경우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Temperate(기온) terra(구성 성분) with life(생명체의 존재 여부)

기온에 따른 분류

위성, 소행성, 혜성에도 공통 적용된다.

  • Frozen : 100K 미만
  • Cold : 100~200K
  • Cool : 200~250K
  • Temperate : 250~300K
  • Warm : 300~400K
  • Hot : 400~800K
  • Scorched : 800K 이상. 보통 모항성과 매우 가까이에서 공전하며 표면이 그을러져 있고 모항성의 열로 인해 행성이 증발하면서 혜성과 비슷한 꼬리를 형성한다.

구성 성분에 따른 분류

크게는 고체 표면을 가진 행성과 가스로 이루어진 가스 행성 두 가지로 분류되고, 작게는 고체 행성은 다섯 가지, 가스 행성은 두 가지로 분류된다.

  • 고체 행성 (solid planet)
    • Selena
    • Desert
    • Titan
    • Terra
    • Oceania
  • 가스 행성(gas giant)
    • Ice giant
    • Gas giant

생명체 존재 여부에 따른 분류

  • 발생 원인
    • Aboiogenesis
    • Panspermia
  • 서식 환경
    • Terrestrial
    • Marine
    • Subglacial
    • Aerial
  • 세포 구조
    • Organic unicellular
    • Organic multicellular
    • Exotic unicellular
    • Exotic multicellular

왜소행성(dwarf planet)

행성과 대부분 동일한 특성을 지나지만 Terra나 Oceania, Gas giant는 존재할 수 없다.

위성(moon)

행성과 완전히 동일한 특성을 지닌다.

왜소위성(dwarf moon)

일정 반지름 이하의 위성이나 행성을 공전하는 소행성이 왜소위성으로 분류된다.

소행성(asteroid)

혜성(comet)

항성(star)

분광형

크게 OBAFGKM의 순으로 분류된다.

단계

항성의 진화 단계에 따른 분류이다. 태양의 경우 orange dwarf(황색왜성)으로 분류된다.

특수 분류

중성자별(neutron star)

블랙홀(black hole)

성단(star cluster)

성운(nebula)

은하(galaxy)

퀘이사(quasar)

프로그램상의 한계로 아직 은하와 동일한 텍스처와 특성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