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포크 프로젝트/리브레 위키/시 (문학)

최근 편집: 2021년 11월 1일 (월) 23:22

(詩, 영어: Poetry)란 자신의 정신생활이나 자연·사회의 여러 현상에서 느낀 감동 및 생각을 일정한 형식에 의하여 통합된 언어의 울림, 운율, 조화 등의 음악적 요소와 언어에 대한 이미지 등 회화적 요소에 의해 독자의 감정이나 상상력을 자극하는 문학 작품이다.

개요

일반적으로 시라 할 때 그 형식적 측면을 가리켜 문학의 한 장르로서의 시 작품(poem)을 말하는 경우엔 좁은 의미의 시로서 일정한 형식에 의하여 통합된 언어의 메아리·리듬·하모니 등의 음악적(청각적) 요소와 언어에 의한 이미지·시각 등의 회화적(시각적) 요소에 의해서 독자의 감각이나 감정 또는 그 상상력에 작용하여 깊은 감명이나 고양된 존재감을 제공하는 것을 의도하는 문학작품의 일종이다. 여기에서는 언어의 감화적(感化的)·정동적(情動的)인 기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는 언어의 선택·배열·구성이 요구된다.

작품이 주는 예술적 감동의 시정(詩情) 및 시적(詩的) 요소를 말하는 경우엔 넓은 의미의 시를 말하는데, 시작품뿐만 아니라 소설·희곡·수필 등의 문학작품에서 미술·음악·무용·연극·사진·영화·건축 등의 예술작품, 더 나아가서는 자연이나 인간사, 사회현상에 이르기까지 그 존재를 인정할 수 있다. 다만 이런 의미에서의 시는 대부분 일반적인 본질 그 자체이므로 그들 사이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다.

시관

동양

'詩'라는 한자의 구조를 보면 '言'과 '寺'의 합자(合字)임을 알 수 있다. '言'은 모호한 소리인 '음(音)'이나 말을 나타내는 '담(談)'이 아닌 '분명하고 음조가 고른 말'을 뜻한다. '寺'는 '持(가질 지)'와 '志(뜻 지)'의 뜻을 가지고 있다.

서양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종류

형태상, 내용상으로 나뉜다. 내용에 따라 생활시, 사상시, 풍자시 등의 호칭도 있다.

형태상

  • 자유시 : 형식적 제약이 없는 자유로운 형태의 시.
  • 정형시 : 운율에 제약을 지닌 일정한 형식의 시.
  • 산문시(散文詩) : 시적인 내용을 산문처럼 표현한 시.

내용상

  • 서정시(敍情詩) : 시인의 주관적인 정서와 감정을 표현한 시.
  • 서사시(敍事詩) : 역사적 사건이나 신화, 전설, 영웅의 행적 등을 객관적으로 서술한 시.
  • 극 시(劇詩) : 연극적인 내용을 시적 언어로 표현하거나, 극적 수법을 사용하여 쓴 시.

시 목록

시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