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포크 프로젝트/리브레 위키/인종 (조선)

최근 편집: 2021년 11월 8일 (월) 14:06
묘호 인종(仁宗)
생몰년도 음력 서력 1515년 2월 25일~서력 1545년 7월 1일
양력 서력 1515년 3월 10일~서력 1545년 8월 7일
재위기간 음력 서력 1544년 11월 15일~서력 1545년 7월 1일
양력 서력 1544년 11월 29일~서력 1545년 8월 7일
부모 어머니 장경 왕후(章敬王后) 윤씨(尹氏)
아버지 중종
배우자 인성왕후 박씨
후임 왕 명종(明宗)
시호 인종 헌문 의무 장숙 흠효 대왕
(仁宗獻文懿武章肅欽孝大王)
호(峼)
생몰장소 탄생장소 ?
사망장소 소침(小寢)

인종조선임금이다.

(李), 는 호(峼), 본관전주 이씨(全州 李氏), 는 천윤(天胤)이다. 사후 시호는 인종영정헌문의무장숙흠효대왕(仁宗榮靖獻文懿武章肅欽孝大王)이며 중종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영돈녕부사 윤여필(尹汝弼)의 딸 장경왕후이며, 비는 첨지중추부사 박용(朴墉)의 딸인 인성왕후이다. 문종과 함께 조선에서 짧게 재위한 임금이다.

생애

인종은 태어나자마자 어머니 장경왕후 윤씨를 잃었다. 1520년(중종 15년) 세자로 책봉되었다. 1522년성균관에 들어가 유신들과 옛 글을 강론했다. 형제간의 우애가 두터웠으며, 중종이 병이 들자 침식을 잊고 간병에 정성을 다했다. 1543년 3월부터 부왕 중종을 보좌하여 대리청정을 하기 시작하였고 이듬해 1544년 11월 28일에 부왕의 선위를 받아 즉위했으나 병으로 인하여 정사를 제대로 살피지는 못했다. 1545년 기묘사화 때 희생된 조광조, 김정, 기준(奇遵) 등을 신원하고 현량과를 다시 설치했다. 왕위에 오른 지 8개월 만에 승하했다. 능은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효릉(孝陵)이다.

사후

묘호는 인종(仁宗)인데, 의정(議定)하는 이유를 정하느라고 약간의 논란이 있었다. 원래는 현친(賢親)을 귀하게 여긴다고 하여 인(仁)이라 한다고 정했는데, 시법(諡法)에 맞지 않다고 하여 인(仁)을 베풀고 의(義)를 행했다고 하여 인(仁)이라 정한다고 고쳤다. 시호는 헌문의무장숙흠효(獻文懿武章肅欽孝)이다.


틀:조선의 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