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형법/무고의 죄

최근 편집: 2018년 6월 23일 (토) 20:05
탕수육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6월 23일 (토) 20:05 판 (강력 범죄 링크 추가)

무고죄란?

대한민국 형법 제11장 무고의 죄

제156조(무고)
타인으로 하여금 형사처분 또는 징계처분을 받게 할 목적으로 공무소 또는 공무원에 대하여 허위의 사실을 신고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1995.12.29.>

성폭력 무고죄

한국

2015년 대검찰청의 범죄분석 자료에 따르면 한국사회는 지난 2005년에서 2014년 동안 13~20세 아동 대상 성폭력범죄 발생 건수가 무려 279.8% 증가하였고, 2010년 이래 연평균 9.7%의 성범죄 증가율을 보이면서도 성폭력 범죄 불구속률이 90%에 육박하는 사회다. 성폭력 범죄의 심각성은 곧 '성폭력 엄단'이라는 정책 기조를 수립하도록 하였지만, 이는 다시 '무고죄를 결코 좌시하지 않겠다'는 내용으로 이어졌다.[1]

2017년 1월 10일 정춘숙 의원이 대표발의한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일부개정법률안’이 소관위에 회부되었다. 성폭력 범죄 피해자가 무고죄로 고소·고발되면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해당 성폭력 사건이 불기소 처분 종료되거나 재판이 확정되기 전까지 무고죄를 조사·수사·심리·재판하지 말라는 내용이다. 신고율이 낮은 성폭력 범죄 특성상 무고죄 고소 남발로 인해 정작 성폭력 피해자가 피의자로 되면서 진술조력권 등 지원을 받지 못하게 되면 2차 피해를 당할 수 있어 이를 차단하자는 취지다.[2]


한국외

2007년도 영국의 경찰감찰관실(HMIC, Her Majesty's Inspectorate of Constabulary)과 검찰조사국(HMCPSI, Her Majesty Crown Prosecution Service Inspectorate)에서는 2005년 영국 7개 지역에서 제출된 752건의 성폭행 수사 자료를 다시 분석하였다.

특히 당시 '무혐의'로 판명된 179건을 면밀히 검토한 결과 그중 32%에 해당하는 57건이 반드시 수사했어야 할 성폭행 사건이었음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영국 법무부는 무혐의 판단에 대한 신중한 접근과 원칙 수립 및 준수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게 된다.

2010년 6월 2일자 뉴욕타임즈는 2005년에서 2009년 사이 뉴욕시에서 성폭력으로 분류되는 사건의 비율이 무려 35.7%로 대폭 감소하였음을 보도하였다. 그러나 사실 이 기사가 주목하고 있던 것은 명백한 성범죄였음에도 불구하고 가벼운 경범죄로 처리된 비율이 6%가량 상승했으며, 성폭력 신고가 허위신고 또는 증거부족으로 판단되어 기각된 사건이 매우 가파른 속도로 증가했다는 것이었다.

--고소 취하하면 '꽃뱀'? 성폭력 피해자가 고통받는 이유, 오마이뉴스[1]

링크

워커스-한국여성의전화 공동기획. 명예훼손, 무고죄는 어떻게 여성에 족쇄를 채우나 연재:

  1. 사과를 원했는데 고소장이 날아왔다 - 피해자는 어떻게 피의자가 되는가
  2. 피해자는 어떻게 꽃뱀이 되나
  3. 무고죄, 명예훼손에 발목 잡힐 수 없다 – 법은 어떻게 존재해야 하나

함께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