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페미니즘은 틀렸다

최근 편집: 2018년 9월 30일 (일) 01:21
열심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9월 30일 (일) 01:21 판 (아닙니다)

그 페미니즘은 틀렸다.는 2018년 7월에 발매된 오세라비의 저서로 한국의 요즘 페미니즘을 비판한 책이다. 많은 여성운동가들에게 비판을 받고 있다.

내용과 반박

우선 첫번째로, 치안이 아무리 좋다고 하더라도 여성이 겪는 고통과 이는 별 관련이 없음을 밝히겠습니다. 실제로 2016년 여성가족부의 전국성폭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19~64세 여성 54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 경우,‘밤늦게 혼자 다닐 때 성폭력을 당할까봐 무섭다’76.3%,‘집에 혼자 있을 때 낯선 사람의 방문(수리기사,택배 등)이 무섭다’65.3%,‘택시,공중화장실 등을 혼자 이용할 때 성폭력을 당할까봐 두렵다’64.5%,‘평소에 폭행,강도,절도 등의 피해를 입 을까봐 두렵다’61.5%,‘길거리를 지날 때 남자들이 모여 있으면 무슨 일이 생길까봐 두 렵다’52.0%,‘성별을 이유로 범죄의 표적이 될까봐 두렵다’50.9% 등으로 결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남성의 같은 문항에 대한 응답 비율 약 11~16%에 비하면 매우 높은 수치입니다. 이는 여성이 단순히 남성에 비해 피해망상적인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것이 아닙니다. 이전에, 부유층을 증오하여 그들을 살해하는 범죄집단 지존파가 나타났을 때, 한국의 부자들은 모두 자신이 그런 범죄의 타깃이 될까 두려움에 떨었습니다. 여성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매일 하루에 두 세건 이상씩 여성이 남성에 의해 죽거나 다쳤다고 기사가 뜨는 한국에서, 여성은 자신이 절대로 그런 범죄의 타깃이 되지 않을거라고 확신하기 힘듭니다. 이렇게 여성들이 평소 범죄 피해자가 될까봐 불안감을 느끼는 것은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며, 이는 여성들의 삶에 많은 불편감을 주고 있습니다. 또한 치안이 좋아도 여성이 불안할 수 있고 공포감에 떨 수 있는 2번째 이유를 말씀드리겠습니다. 통계를 살펴봅시다. 성폭력 유형 중 스토킹 피해 경험의 경우, 가해자 중 아는 사람의 비율이 82.3%로, 성희롱 피해 경험의 경우 아는 사람이 66.7%로,폭행/협박을 수반한 성추행의 경우 아는 사람이 70.0%로, 강간미수 피해 경험의 경우 아는 사람이 60.1%로, 강간 피해의 경우 아는 사람이 77.7%로 나타났습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밤거리에 여성들이 돌아다닐 수 있다면 뭐합니까. 여성들은 모르는 사람이 아니라 아는 사람에게 스토킹당하고, 성희롱 당하고, 폭행과 협박을 수반해 성추행당하고, 강간 미수를 당하고, 강간을 당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과연 여성들이 마음놓고 일상생활을 할 수 있습니까? 심지어 이 통계조사에 의하면, 강간과 강간미수 항목에서는 남성 피해자가 존재하지조차 않았습니다.(남성 응답자는 1800명으로 충분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표본의 크기와 조사방법이었습니다) 이 나라는 과연 평등한 나라입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