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자 룩셈부르크

최근 편집: 2019년 1월 17일 (목) 16:33
Snorlax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1월 17일 (목) 16:33 판 (깨진 참조 제거)
1895년~1905년 사이의 로자 룩셈부르크 초상

로자 룩셈부르크(독일어: Rosa Luxemburg, 1871년 3월 5일 ~ 1919년 1월 15일)는 폴란드 출신의 혁명가, 정치이론가, 철학자, 사회주의자이다.

생애

거리의 전투나 감옥의 나의 자리에서 죽기를 소망한다.

로자 룩셈부르크가 평소에 하던 말.

로자 룩셈부르크는 1870년 폴란드 자모슈치의 유복한 목재상 집안 가정에서 태어났다.[1] 16살 때 프롤레타리아 당에 가입하면서 좌파활동에 뛰어들었다. [1] 스위스 취리히 대학을 다녔는데 이 곳이 여성의 입학을 거부하지 않는 곳이었다.[2] 이곳에서 정치경제, 을 공부하는 동시에 노동운동도 하였다.[1] 1898년에는 독일인과 위장결혼하여 독일 국적을 취득하고 독일 내 사회주의 활동에 발을 들였다.[1] 로자는 1899년 베른슈타인을 비판하는 사회개혁이냐 혁명이냐라는 글을 발표하면서 이론가로서의 입지를 다졌다.[1]

1919년 스파르타쿠스단 봉기를 이끌었지만 실패하면서 1월 15일 반혁명 세력 왕당파에 의해 총살당했다.[1] 사망 5개월 후 머리와 손발이 없이 발견된 한 시신이 로자 룩셈부르크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

사상

저서

평가

레닌에 필적했던 인물이며, 레닌주의가 수반할 관료주의공포정치를 끊임없이 비판했다. 그가 꿈꾸던 세상은 “혁명과 사회주의민주주의의 화해와 공존” “대중의 의지에 대한 존중”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3]

관련 자료

로자 룩셈부르크 국제 학술대회

1980년부터 2년에 한 번 세계 주요 도시에서 '로자 룩셈부르크 국제학술대회'가 열린다. 2015년에는 성공회대에서 개최되었다. [4]

같이 보기

출처

  1. 1.0 1.1 1.2 1.3 1.4 1.5 1.6 김혜미 (2009). [세상을 앞서간 여성들] 대중, 역사를 바꾸는 힘 - 로자 룩셈부르크(Rosa Luxemburg). 새가정, 26-29.
  2. “‘진짜’ 대학이 필요하다”. 《한겨레21》. 
  3. 김흥순 (2018년 1월 22일). “불요불굴의 여성혁명가, 자유로운 영혼 로자 룩셈부르크(Rosa Luxemburg)를 기억하며”. 《개미뉴스》. 2018년 4월 24일에 확인함. 
  4. “‘아시아 사회주의와 유럽 사회주의’를 이야기하자”. 《참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