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중에

최근 편집: 2020년 4월 24일 (금) 20:43

문재인의 반인권적 발언

2017년 2월 16일, 문재인의 싱크탱크정책공간 국민성장’ 포럼 현장에서 한 성소수자가 성소수자 인권에 대한 입장을 묻자, "나중에 말씀드릴 기회를 드릴게요"라고 답했다.[1] 질문시간이 아닌 상황이었기 때문에 이후 따로 질문시간을 내겠다는 말로 읽힐 수 있으나, 즉각적인 대답을 회피하는 발언으로 해석되어 비판을 받았다.

그는 2017년 2월 13일 이영훈 한국기독교총연합회 대표회장과 정서영 한국교회연합 대표회장에게 “동성애를 지지하는 건 아니다. 다만 성소수자가 차별받아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1]

이로써 문재인은 '동성애를 지지하지 않는' 페미니스트 대통령'이라는 듣도 보도 못한 가치관을 선보였다.

'나중에'는 6월 24일,7월 15일에 개최하는 대구퀴어축제,서울퀴어축제의 슬로건이 되었다.

문재인은 2019년 11월 19일 국민과의 대화에서 "동성혼은 사회적 합의가 이뤄져야 합법화가 가능"하다고 밝혀, 행정 최고 책임자의 책임을 방기하기도 했다.[1]

문재인 정권, 민주당의 노동정책, 사회적 약자, 소수자 관련 정책을 비판할 때 사회적 합의와 함께 많이 쓰이는 표현이다.

부사 '나중'

  1. 얼마의 시간이 지난 뒤. [비슷한 말] 이다음.
  2. 다른 일을 먼저 한 뒤의 차례. [비슷한 말] 내종(乃終)
  3. 순서상이나 시간상의 맨 끝 [2]

사용예 : 나중에 보자

출처

  1. 1.0 1.1 1.2 ““페미니스트 대통령” 되겠다는 문재인, 성소수자 인권은 “나중에”?”. 《여성신문》.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여성신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2. “나중”. 《네이버 국어사전》.